[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신숙, rd1=신숙)] [목차] == [[신주쿠구]]의 지명 == === 개요 === [[파일:Skyscrapers of Shinjuku 20090125.jpg|width=500]] [[파일:Kabukicho.jpg|width=500]] 일본 [[도쿄도]] [[신주쿠구]]에 위치한 지명[* 신주쿠구의 하위 행정구역은 유난히 많은 편이어서 94개나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신주쿠역]] 동쪽과 [[히가시신주쿠역]] 동쪽 일대로 신주쿠구의 남단에 위치해있다. 대개는 니시신주쿠(西新宿)와 기타신주쿠(北新宿)도 신주쿠에 포함되며, 넓은 의미로는 [[신주쿠역]] 남쪽의 [[시부야구]] [[요요기]]와 센다가야 일대도 신주쿠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지도를 보면, 신주쿠역은 시부야구와 신주쿠구에 반씩 걸쳐 있다. 원래는 신주쿠구에만 있었던 역이 확장으로 인해 시부야구까지 넘어가버리게 된 것. 마찬가지로, 신주쿠 다카시마야 백화점은 신주쿠역 남쪽에 있지만, 주소는 시부야구 센다가야다.] 도쿄의 3대 부도심(신주쿠, [[시부야]], [[이케부쿠로]]) 중 하나이자, 제일 큰 부도심이며, 시부야와 함께 도쿄 최대 양대 번화가로 여겨진다. 이 지역을 지나는 [[신주쿠역]]은 하루에 평균 '''351만명'''[* 부산 전체 인구보다 조금 더 많은 수치다.]이 이용하는 역일 정도로 유동인구가 매우 많다. JR 단독으로만 150만 명이 넘는 이용객이 타고 내리는 엄청난 곳이다. === [[부도심]]으로서의 역사 === 의외로 신주쿠가 부도심의 기능을 하게 된 역사는 짧다. 20세기 초만 해도 이 일대는 사람들이 드문드문 사는 한적한 동네였는데 이는 [[신주쿠교엔]], 요요기공원과 같은 도쿄 내에 큰 규모의 공원들이 신주쿠 근처에 여러 개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신주쿠교엔은 1905년, 요요기공원 옆의 [[메이지 신궁]]은 1920년에 조성되었다.] 이러한 대규모 녹지 지역들이 여러 개 밀집하여 조성될 수 있을 정도로 이 일대에 사람들이 별로 안 살았다는 의미. 그러나 1923년 [[간토 대지진]] 이후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한다. 엄청난 피해를 입은 구도심 지역과는 달리 이 지역은 비교적 고지대[* 일본에서는 고지대 지역을 저지대 지역과 비교하여 야마테(やまて) 또는 야마노테(やまのて)라고 불렀는데 [[야마노테선]] 명칭의 유래가 되었다.]로 지반이 단단해 지진의 피해가 경미한 편이었다. 실제로 연구자료에 따르면, [[히가시신주쿠역]], [[요요기역]], [[신주쿠역]], [[이케부쿠로역]], [[요츠야역]]은 지진에 의한 진동의 증폭률이 적은 반면, [[아키하바라역]], [[스이도바시역]], [[하마마츠쵸역]], [[도쿄역]], [[칸다역(도쿄)|칸다역]]은 진동의 증폭률이 도쿄에서 가장 높은 지역들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https://ja.wikipedia.org/wiki/表層地盤増幅率|#]] 이를 계기로 1920년대부터 신주쿠 일대에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도쿄 도심에 들어가는 철도 노선이 [[츄오 본선|주오선]]뿐이었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각종 사철이 [[신주쿠역]]을 메인 터미널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신주쿠는 큰 변화를 맞게 된다. 전후 1980년대에 [[신주쿠역]] 서부에 대한 대대적인 재개발이 이루어져 신주쿠는 상업지구뿐만 아니라 업무지구로서도 기능하기 시작했다. 1991년 마루노우치에 있던 [[도쿄도청]]을 신주쿠에 신축 이전하게 되면서 기존의 환락가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명실상부한 부도심으로 전격 부상할 수 있었다. 이후 수많은 오피스 건물들이 신주쿠에 들어오게 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도청이 있는 니시신주쿠(西新宿)는 원래 요도바시(淀橋) 정수장이 있는 곳이었다. 정수장을 [[히가시무라야마시]]로 이전시키고 정수장 터에 건설된 것이 니시신주쿠의 고층빌딩들이다. === 지명 유래 === 신주쿠는 [[에도]]에서 서쪽 지방으로 이어지는 옛 도로 [[코슈 가도]](甲州街道)에 세워진 [[역참]]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고슈(甲州, こうしゅう)는 가이(甲斐, かい) [[율령국]]의 별칭으로 오늘날 [[야마나시현]] 일대에 해당한다.] 여행자가 쉬고 가는 역참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잘 숙]](宿) 자를 쓰며 인근에 위치한 다른 지명인 [[하라주쿠]]도 비슷한 의미다. 일본은 길에 위치한 역참을 슈쿠바(宿場, しゅくば)이라고 불렀는데, 원래는 도쿄(당시는 에도)에서 출발한 뒤 첫 역참이 현재 [[타카이도역|다카이도]](高井戸, たかいど)에 위치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도쿄에서 다카이도까지의 거리가 조금 먼 관계로, 중간에 새로운 역참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을 느꼈는데, 나이토(内藤, ないとう) 가문이 막부에 새로운 역참 부지를 제공하였기에, 새로 지어진 역참을 나이토 신주쿠(内藤新宿, ないとうしんじゅく)라고 부른 데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 세부 지역 === [[파일:shinjuku2.jpg|width=400]] 세부 지역으로 신주쿠1[[丁目|초메]]에서 7[[丁目|초메]]까지 존재한다. [[신주쿠역]] 바로 동쪽 출구 앞은 왼쪽(북쪽)이 3초메, 오른쪽(남쪽)이 4초메이다. 3초메에서 바로 북쪽에 [[가부키초]]가 있다. 1, 2, 3, 5초메는 야스쿠니도리(靖国通り)를 끼고 있지만 6, 7초메는 약간 북쪽으로 올라가고 7초메는 [[히가시신주쿠역]]보다도 북쪽에 있다.[* 초메는 한국에서 '-가(街)'로 번역됐던지라 가도를 따라 순서대로 매겨져 있을 것 같아보이고 종로에선 실제로 그렇지만 대부분의 경우 별 순서 없이 붙어있다.] 정확한 주소가 아닌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말하는 '번화가 신주쿠'는 위 지도의 붉은 범위에 추가로 가부키초와 오쿠보 일부, 그리고 신주쿠역 남쪽의 일부 시부야구 범위까지 포함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 가장 인파가 몰리는 최중심부도 신주쿠역부터 신주쿠구청[* 위 지도에는 [[시청]]으로 번역돼 있는 곳. 신주쿠가 영어 명칭으로 City를 쓰긴 하지만 원어 일본어 지명도 구 글자를 쓰고, [[http://www.foreign.city.shinjuku.lg.jp/kr/aramashi/aramashi_5/|공식 한국어 홈페이지에서도 신주쿠구청이라고 한다.]]] 일대까지, 가부키초를 포함하는 범위다. 신주쿠2초메(新宿二[[丁目]])는 일본 제일의 [[게이]] 거리로도 유명하다. 만화나 소설에서 묘사되는 것처럼 크지는 않다. 2초메에 대한 지도 등 자료가 필요하면 2초메 중심가에 있는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에이즈]]예방센터 AKTA 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http://www.akta.jp/|AKTA(일본어) 위치 참고]]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신주쿠구, version=124, paragraph=2)] === 둘러보기 === * [[신주쿠역]] * [[도쿄도청]] * [[가부키초]] == 도쿄도의 23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주쿠구)] 1번 항목에서 이름을 따온 [[도쿄도]]의 23구 중 하나. 신주쿠는 물론, 요쓰야, 오쿠보, 가구라자카 일대까지 관할한다. [[가부키초]] 역시 신주쿠구에 속한다. == [[신주쿠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주쿠역)] 1번 항목에 위치한 전철역. 이 역 동쪽으로 1번의 신주쿠 지역이다. 북서쪽은 니시신주쿠(西新宿), 남서쪽은 [[시부야구]] [[요요기]]이다. [[분류:이름이 같은 지역/일본]][[분류:신주쿠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