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대한민국 제13·14대 국회의원[br]{{{+1 신재기}}}[br]辛再基 | Shin Jae-g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30801o1738656_P2.jpg|width=100%]]}}} || || '''호''' ||낙송(硌松) || || '''본관''' ||[[영산 신씨]][* [[https://www.rokps.or.kr/profile/profile_view.asp?idx=731&page=1|#]].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 31세 기(基) 항렬.] || ||<|2> '''출생''' ||[[1933년]] [[8월 10일]][* [[음력]] [[6월 19일]]. 영산·영월신씨대동보 14권 399쪽에는 6월 9일생으로 등재돼 있다.]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689482#home|#]]] || ||<|2> '''사망''' ||[[2010년]] [[11월 4일]] (향년 77세) || ||[[서울특별시]] || || '''묘소'''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선영 || || '''자녀''' ||아들 신종혁[* 辛鐘奕.], 장녀 신수정[* 辛殊貞.], 차녀 신수진[* 辛殊珍.] || || '''학력''' ||마산중학교 {{{-2 (졸업)}}}[br][[마산고등학교]] {{{-2 (졸업)}}}[br][[육군보병학교]] {{{-2 (졸업)}}}[br]미국 육군보병학교 지휘관과정 {{{-2 (졸업)}}}[br][[육군대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 ([[행정학]] / [[석사]] 과정 수료)}}} || || '''종교''' ||[[불교]]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13대 국회의원|'''13''']], [[제14대 국회의원|'''14''']] || || '''경력''' ||한국강업 사장[br]수협중앙회 부회장[br]한일어업위 한국대표단 단장[br]영산·영월신씨대종회 회장[br]민주자유당 농어촌 발전특위위원장[br]국회 농림수산위원[br]국회 예결위원[br]국회 운영위원 ||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13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57년 ~ 1973년 || || '''최종 계급''' ||[[대령]] {{{-2 (대한민국 육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정치인]]. [[종교]]는 [[불교]]이다. 호는 낙송(硌松)이다. == 생애 == 1933년 8월 10일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서 아버지 호신(皓晨) 신복도(辛福道, 1910 ~ 1957. 8. 6)[* 족보에 기록된 이명은 신용도(辛容道).]와 어머니 [[창녕 성씨]](1907 ~ 1937. 2. 6)[* 성대섭(成大涉)의 딸이다.] 사이에서 4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마산고등학교|마산중학교, 마산고등학교]], [[육군사관학교]](13기)를 졸업하였다.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육군사관학교 동기인 [[최세창]] 등과 군부 사조직인 [[하나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73년 초 [[대한민국 육군본부]] 인사운영실에서 근무하던 도중 [[윤필용 사건]]에 연루되어 모진 고문을 받았다. [[대법원]]에서 징역 5년에 추징금 771,000원을 선고받고 2년 동안 복역하다가 육군 [[대령]]으로 예편하였다. 이후 한국강업주식회사 [[사장]]을 지냈고, 1980년대 중반에는 [[수산업협동조합|수협]]중앙회 부[[회장]]도 지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남도 창녕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민주자유당 시절에는 당 내의 농어촌발전특별위원회에서 위원장을 지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는 [[신한국당]]에서 [[노기태]]와의 공천 경합에서 탈락하였다. 공천 탈락 이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이후 2010년 11월 7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사인은 [[폐암]]. 그의 사망 후, 유족이 제기한 [[국가배상법|국가배상]] 소송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6&aid=0002126074|패소하였으나]], [[연금|군인연금]]지급청구 소송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3078326|일부 승소하였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창녕 || [include(틀:민주정의당)] || '''26,688 (52.99%)''' ||<|2> '''당선 (1위)''' || '''초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밀양시·창녕군|창녕]]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2,190 (46.03%)''' || '''재선''' || == 기타 == 해당 인물이 아직 정치에 입문하기 전인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와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 같은 경상남도 창녕군 출신의 동명이인 신재기(辛'''{{{+1 在}}}'''基, 1930. 10. 28 ~ )가 선거구 분구 이전의 밀양군·창녕군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2연속 출마한 사실이 있다. 결과는 2연속 낙선. 이쪽은 다이토분카대학 [[정치경제학|정치경제과]]을 다니다가 4학년 때 중퇴했고, 이후 계전상사주식회사 사장을 지내다가 언론계에 투신해 [[코리아헤럴드]] 일본부지사, 고려신문사 사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3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경상남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영산 신씨]][[분류:창녕군 출신 인물]] [[분류:마산고등학교 출신]] [[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1933년 출생]][[분류:2010년 사망]][[분류:제13대 국회의원]][[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민주정의당 국회의원]][[분류:민주자유당 국회의원]][[분류:신한국당 국회의원]][[분류:하나회]][[분류:폐암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