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가공인민간자격)] [목차] == 개요 == 국가공인 민간 [[자격증]] 중 하나 신용상담사는 개인의 재무상태 및 부채구조를 파악하고 신용 문제의 원인을 찾아 예방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신용유의자 및 금융 채무불이행자의 재무관리와 채무조정을 통해 채무불이행 위험을 감소시키고 경제적 회생의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실시하는 신용상담 전문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이다. 신용상담사의 자격 유효기간은 3년으로, 보수교육을 이수한다면, 3년간 유효기간이 연장된다. 연간 1회{보통 8월 즈음에 접수를 받고 ([[http://www.educredit.or.kr]]), 10월에 시험을 친다.} 실시되며 4과목으로 나누어져 시행된다. 응시 수수료는 무료이며, 응시료 4만원, 자격증 발급비 8천원이 소요된다. 1과목은 신용상담의 이해, 2과목은 신용상담을 위한 재무관리, 3과목은 신용상담 관련 법규, 4과목은 다양한 채무자 구제제도 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관식 문제도 없이 100% 객관식 5선다형만 출제되며, 한 과목당 25문제씩 총 100문제으로, 각 문제당 1점씩 배정되어 있다, 각 과목 40점 (100점 만점) 이상으로,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합격률은 대체로 한 해는 20% 가량으로 상당히 많이 낮고, 그 다음해에는 50% 가량의 합격률로, 많이 높아지는 패턴을 보인다. 합격률이 심하게 낮을 때였던 2016년에는 합격률이 8.13%로 매우 낮았다. (2022년 약13%) 따라서, 전년도 합격률이 낮은 해에 응시하면 합격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이해해도 될 듯 하다. == 응시자격 == 별다른 응시제한이 없다. ※ 단,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람은 응시가 제한된다. * 가. 자격등록 취소 및 부정행위 처분이 있은 날부터 3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 나.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 다. [[피한정후견인]] 및 [[피성년후견인]] == 시험과목 == * 1과목 신용상담의 이해 - 신용상담의 의의와 필요성 / 신용상담방법론 및 윤리 / 관련 상담사례 * 2과목 신용상담을 위한 재무관리 - 가계재무관리에 대한 이해 / 신용 및 부채에 대한 이해 / 관련 상담사례 * 3과목 신용상담 관련 법규 - 채권・채무의 발생과 담보 / 채권・채무의 관리와 이행 / 관련 상담사례 * 4과목 다양한 채무자 구제제도 - 국내・해외 채무자 구제제도 / 다중채무자 금융․복지지원제도 / 관련 상담사례 === 시험공부의 팁 === [[민법]]과 관련된 내용이 많아, 법률을 처음 접해본 사람들은 법률용어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나, 교재가 쉽고 자세히 잘 구성되어 있다고 하니 여러번 정독하면 그리 어렵지 않게 취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민법]], 회생 및 파산법, 신용정보 규약 등은 [[신용관리사]]와 중복되므로, 신용관리사 기출문제 등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문제지 및 답안지는 전혀 공개하지 않고, 인터넷에도 기출문제가 거의 없는 탓에 신용관리사보다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educredit.or.kr]])에 있는 교재들을 활용하여 공부하는 방법이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게다가 1년에 한 번 치러지는 시험이다보니, 만약 불합격한다면 재도전까지 1년을 기다려야 하기에, 해당 자격증이 꼭 필요한 수험생이라면 충분히 수험기간을 잡고 공부하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그나마 교재는 신용교육원 포털에서 (신용상담사 > 고객센터 > 자료실) 무료로 PDF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다고 하며, 문제 등이 부족하다고 느꼈다면 시대고시 등에서 나온 수험서 등도 있으니 이를 활용하면 될 것이다. 모두들 열심히 준비해서 원하던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자. == 쓰임새 == * 신용상담 분야, 채권추심, 취업 등 사회취약계층 상담, 교육훈련 등의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고 한다. * 신용상담사 자격 취득자는 신용회복위원회 입사 전형시 가산점(필기전형 +5%)을 부여한다고 한다. * 취득시 [[학점은행제]]에서 법학사 [[법학]] 전공과 경영학사 [[경영학]] 전공, 그리고 경영[[전문학사]] 경영 전공으로 14학점이 인정된다. == 기타 등등 == * 민간자격정보서비스 신용상담사 - [[https://www.pqi.or.kr/inf/qul/infQulBasDetail.do]] * 신용회복위원회 신용교육원 - [[https://www.educredit.or.kr/ccedu/cc/ccEduIntro.do]] * 한국공인신용상담사회 - [[http://kacpcc.or.kr/]] * 제 23차 학점은행제 자격 학점인정 기준 고시 - [[https://www.cb.or.kr/creditbank/impartion/nImpartion2_View.do?m_szNum=654]] [[분류:자격면허]][[분류:금융]][[분류:여신(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