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3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fff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제16회[br]([[1980년]]) || {{{+1 →}}} || '''제17회[br]([[1981년]])''' || {{{+1 →}}} || 제18회[br]([[1982년]]) || || [[이대근]][br](심봤다) || {{{+1 →}}} ||<#ffffff,#191919> '''신영일[br](매일 죽는 남자)''' || {{{+1 →}}} || [[안성기]][br]([[만다라(영화)|만다라]]) || ||<-5>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영일(1951).jpg|width=100%]]}}} || || '''성명''' ||신영일([[申]][[永]][[一]])|| || '''본명''' ||정인식([[鄭]][[仁]][[植]])|| || '''출생''' ||[[1951년]] [[12월 10일]] ([age(1951-12-10)]세)|| || '''학력''' ||[[영덕고등학교(경북)|영덕고등학교]]|| || '''경력''' ||동양정밀 대표이사[br][[신성일|강신성일]] [[국회의원 보좌관]]|| || '''데뷔''' ||《연애교실》(1971)||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기업인. [[신성일]]의 발탁으로, 1971년 신성일이 연출한 영화 《연애교실》로 데뷔했다. 1976년까지 47편[* [[KMDb]] 기준]의 영화에 출연하며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배우를 그만두고 동양정밀에 취직했다. 1980년 다시 영화계에 복귀해 1984년까지 19편에 출연했으며, 이후 다시 동양정밀에 복귀, 대표이사를 지냈다. 마지막 출연작은 1991년 [[임권택]] 감독의 《[[장군의 아들|장군의 아들 2]]》이며 이후 D&J엔터프라이즈를 설립했고, 2000년 국회의원 [[신성일|강신성일]]의 [[국회의원 보좌관|보좌관]]을 역임했다. == 수상 == * 1972년 제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상(봄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 * 1981년 제17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매일 죽는 남자) [[분류:1951년 출생]][[분류:영덕군 출신 인물]][[분류:연일 정씨]][[분류:한국 남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영덕고등학교(경북)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