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당시 [[CCB]]의 해설자였던 [[하광석|빛돌]]에 관한 ~~대서사시~~ 유머. 2008년 2월 19일 카오스 커뮤니티인 [[도탁스]]에 아나키 라는 유저가 올린 글이 그 시작이다. 이를 성경에 미견한 사람도 있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 1 장 빛돌복음 == * [[먼치킨(클리셰)|게임이 시작하기도 전에 20킬]] * 악동할 때는 4~5명 임페일은 기본. 심지어 [[병영(스타크래프트 시리즈)|배럭까지 띄운 경우도 있었다.]] * 흡안을 너무 잘하기때문에 안티를 쓰지 않기로 약속함 * 노 안티로 1:5 승리 * 우물에 짱박혀서 잠수하면서 20킬 달성 * 빛돌이 있는 화면은 Bitdol Zone이라 불리우며 피해야 할 곳으로 간주. * 경기의 재미를 위해 스킬을 쓰지 않는다. * 하지만 평타로만 20킬 달성 * 자존심이 강하므로, 다른사람이 때리던 영웅은 치지 않는다. * 첫번째 웨이브에 크립캐에게 라인을 양보했으나 둘째 웨이브엔 이미 1킬이 추가되어 있다. * 심지어 게임을 하지 않은날조차 10킬을 달성 * 뱀이 없는데도 1렙 레인으로 중보링 성공 * 몹잡으려고 쓴 크러싱웨이브에 상대영웅 올킬 * [[베이브 루스|한 게임을 18킬로 끝내면 그날은 "잡채"가 먹고 싶다는 신호]] * 겜 시작 직후 포즈 중에 벌써 1킬 추가 * 한 게임 끝나고 다른 팀을 잡고있을 때 이미 10킬 * 임페일 쿨타임이 없기 때문에, 임페일이 한 번 뜨면 상대편은 담배에 불을 붙이거나 화장실에 간다. * 상대 본진에 있는 영웅숫자를 확인한 뒤 5명이 아니면 들어가지 않음 * 상대편 악동이 쓴 핑거를 마방갑으로 튕겨내서 악동 사망 * 상대팀이 경기를 포기하려고 지옥에 떨어졌을 때 그 곳엔 염라대왕 대신 빛돌이 기다리고 있었다. * 한 게임에 8킬만 했다는 건 팀원들이 도저히 참을 수 없을 정도로 허접하다는 무언의 항의 * [[이스터 에그|맵의 나무를 확대해서 관찰하면 모두 빛돌의 아이디가 적혀있다.]] * CCB는 빛돌의 목소리를 듣고 싶다는 이유 하나로 추진된 프로젝트 * 맵핵을 켜도 평소와 실력이 같기 때문에 아무도 모른다. * 체력 회복은 항상 치즈로만 * 눈이 너무 좋은 나머지 5분 뒤 상대 영웅 중 누가 전광판에 있는지까지 보인다. * 고교시절 동네 초딩과 카오스대회 우승은 하지 않기로 약속함[* 빛돌이 해설자가 아닌 일반유저로 활동할 당시 빛돌이 소속한 팀이 대회에서 우승한 적은 한번도 없었다. 당시엔 CCB같은 메이저 대회는 없었으나 각종 작은 대회들이 많았기 때문에 어찌보면 의아한 일. (아니 당연한 건가...)] * 레퍼드를 하면 무적쿨이 없기 때문에 재미가 없어서 하지 않는다. * 6:6이 가능해진건 5명으로는 빛돌 1명을 막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CCB를 위한 옵저버 맵을 만드는 과정에서 6:6이 가능한 맵이 제작되었던 중간 단계가 있었다.] * 그의 메두사에게 만렙 풀템 혈귀는 1렙몹과 다를 바가 없다. * [[돈지랄|나무를 팔고도 부엉이를 사는건 일상다반사]] * 자신의 팀은 본진건물만 남아있고 상대팀은 올타워 상황. 팀원 전원 전광판의 상황에서 혼자 역전 * 우물 안에 짱박혀 있는 상대도 여유있게 킬 * 어쩌다 운좋게 상대 악동이 그의 혈귀를 헥스하면 개구리나 물개가 아닌 염라대왕으로 변신 * 힐링 스프레이로 올킬 * [[보아 행콕|방에 들어간 것만으로 상대가 울면서 사과, 심장발작을 일으키는 사람까지....]] * 올킬을 하고도 뭔가 자기 마음에 안들면 상대 본진의 타워만 깨고 크립을 감 * 미친듯이 잘 하기 때문에 그의 피를 500 이하로만 깎아도 한 번 죽였다고 치기로 함 * 하지만 상대편 모두 달려들어 그의 피를 1000까지 남겼을 때 일격에 올킬. 모두 전광판 * 크립만 잡고 있는데도 10킬 *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 키보드로만 게임한 적도 있음 * 자신이 죽인 상대가 부활하기도 전에 죽여서 전광판에 5분동안 떠 있게 한 적이 있다. * 체라 3킬은 자주 있는 일, 알 수 없는 이유로 5킬 하는 때도 있음[* 체인라이트닝은 3명까지만 튕긴다.] * 무뇌 궁을 썼더니 같은편과 수호신까지 멈춰버린 것은 유명 * AWL이 시작된 계기는 그가 심심풀이로 래더를 하다가 모든 워크 프로게이머들을 발라버렸기 때문 * 핸드폰으로도 카오스를 자주 함[* 지금 와서는 뭐 그럴 수도 있지 할 만한 대목이나, 이 글이 작성되었을 당시에는 '''[[스마트폰]]이라는 개념이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 듀얼모니터로 그의 생방송을 보면서 겜을 하던 어느 플레이어는 자신에게 10데스를 선사한 상대가 다른 방에 있던 빛돌이라는 걸 깨닫고 기절함 알 만한 사람은 알겠지만 '이치로 전설'을 적절히 패러디 한 글. 그냥 다들 웃고 금새 잊혀지는 유머가 될 수도 있었으나, [[하광석|본인]]의 자뻑 성향과 엄청난 시너지를 이루며 폭풍처럼 당대의 트렌드로 떠오른다. 당시에는 검색엔진에 '신세기'를 입력하면 자동 완성으로 빛돌전설이 링크 될 정도였으며,(~~[[신세기 에반게리온|에반게리온]] 지못미~~) 지금도 '빛돌'을 입력하면 '빛돌전설'이 자동 완성으로 뜬다. 인터넷 유명인 중에 찬양 글 하나 없는 사람은 드물지만, 이 글은 찬양하는 내용은 둘째치더라도 그 자체로 훌륭한 유머이며, 빛돌 본인이 그것을 ~~전략적~~적극적으로 본인의 PR 수단으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찬양 글들과 궤를 달리 하는 전무후무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관련된 일화로는 당시 CCB 후원사이자 중계를 하던 온게임넷 플레이플에서 대세를 포착하고 CCB 배너에 '신세기빛돌전설. 빛돌을 이길 5명의 용사는 누구인가'라는 내용을 띄웠다가, 네이버지식인과 나겜 홈페이지 등에 '빛돌이 누구죠? [[코랜드 파일날|CCB 우승하면 정말 빛돌과 싸워야하는건가요]]?'라는 질문이 여럿 올라오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기도 하였다.그리고 그 배너가 온게임넷에 그대로 송출되는 바람에 여파가 더욱 커졌다. 빛돌이 군대에서 복귀하는 시점에 나겜이 만든 영상클립의 타이틀이 '[[https://tv.kakao.com/channel/2658153/cliplink/43249202|쉰세기빛돌전설]]'이었으니, 이제 빛돌과 본 항목은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할 듯... == 제 2 장 빛돌 묵시록[* 1장이 이치로 패러디였다면 2장은 [[척 노리스]] 패러디] == * 빛돌이 죽으면 배틀넷에서 게임하던 모든 이의 계좌로 1억이 송출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빛돌은 죽지 않는다. * [[더글러스 맥아더|빛돌은 상대를 낚지 않는다. 오직 기다릴 뿐.]] * 사실 빛돌은 낚시를 하지 않는다. "낚시"란 단어가 실패의 가능성을 내포하므로. 빛돌에겐 오직 "살상"만이 있다. * 빛돌은 수호의 나무를 깨보았다. 그것도 두 번씩이나. * 당신이 빛돌과 게임을 한다면, 포탈을 타기 전에 항상 본진 우물 앞에 빛돌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 당신이 빛돌의 위치를 알고 있다면 빛돌도 당신의 위치를 알고 있다. 빛돌의 위치를 모른다면 당신은 수 초 내로 전광판에 올라갈 것이다. * 빛돌의 주캐는 [[염라대왕]]이다. * [[엄친아|빛돌이 나이스겜티비에 입사할 때 빈 서류에다가 키보드로 플레이했던 자신의 리플레이 하나만을 첨부하여 보냈다. 그는 나이스겜티비의 종신재직권을 얻었다.]] * [[임요환]]이 카오스를 접하고 우연히 빛돌을 적으로 만난적이 있었다. 그것이 그의 인생 처음이자 마지막 카오스였다. * 빛돌은 카오스를 할 때 가족들의 눈을 피한다. 빛돌이 가족들의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다. 가족들이 빛돌의 카오스 하는 모습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 빛돌은 사이다가 군대에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이다에게 일부러 죽어준 적이 있었다. 사이다는 더 이상 이 세상에 미련이 없다며 군대로 떠나버렸다. * 빛돌은 웨스트나, 이스트, 유럽 서버에서도 종종 카오스를 즐기곤 한다. 그 서버들에 카오스 유저가 드문 것은 그 때문이다. * 언젠가 빛돌의 상대편 중 한명이 빛돌에게 안티와 디스펠을 쓰는 것이 좋을 것이라 충고해준 적이 있었다.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인류 역사상 최대의 실수로 기록하고 있다. * 빛돌은 게임 중에 종종 죽기도 한다. 다만 맵 시스템이 그 사실을 인정하지 못해서 죽은 그를 도로 살려낼 뿐. * 빛돌이 사카잔을 주캐로 삼기 전까지는 사카잔이 일반영웅이었다. * 원래 옵저버 맵에서는 양 진영 몹의 조종이 가능했다. 하지만 빛돌이 한번 옵저버를 본 후에 바로 패치되었다. * 실제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빛돌은 당신을 "어제" 전광판에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 '빛돌'이라는 영웅이 카오스 맵에 등록된 적이 있었으나 베타 테스터들이 제거하였다. 빛돌과 같은 화면에 들어선 상대영웅들이 이유없이 죽어버렸기 때문이다.훗날 빛돌에게 이 "버그"가 왜 생긴 것이냐고 묻자 빛돌은 "그건 버그가 아니었다"라고 대답했다. * 피씨방의 흡연석 표시는 사실 그것이 흡연자를 위한 공간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공간에 앉은 사람이 카오스를 하다가 빛돌을 만나면 곧 담배를 피우게 될 것임을 시사하는 표지일 뿐이다. * 카오스는 계절마다 맵타일이 바뀌곤 한다. 그러나 빛돌과 게임을 하면 맵타일을 알 수가 없는데, 온 맵이 영웅들의 피와 눈물에 젖어서 시뻘겋기 때문이다. * 빛돌은 마우스로 게임하는 것이 너무 쉬워서 키보드를 발명했다. * 빛돌에게 시간을 물어 보면 빛돌은 언제나 "2초 전"이라고 대답한다. 이 때 당신이 "무슨 2초 전이냐?"고 되물으면 바로 그 순간 당신은 전광판에 올라가 있다. * 공방유저들에게 있어 사망 원인 1위는 '포탈을 못타서'이지만 비방, 릴채, 클채, 팀전 유저들에게 있어 가장 큰 사망 원인은 여전히 빛돌이다. * [[나루토|빛돌은 분신으로 수호의 나무를 부숴본 적도 있다.]] * 빛돌은 영웅을 이동시키는 적이 없다. 맵을 움직일 뿐. * Fatal Error는 빛돌이 맵을 죽였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서버를 죽이면 서버다운이 발생하기도 한다. == 제 3 장 명언 모음집 == * 빛돌이 없다면 왜 카오스가 존재하는가? - 제리 그린필트 * 모든 죄악의 기본은 빛돌의 플레이를 보지 않는 것이다. - [[프란츠 카프카]] * 당신이 바로 빛빠이다. - [[데일 카네기]] * 최고에 도달하려면 빛돌을 보아라. -P. 시루스 * 항상 빛돌을 듣고 빛돌을 생각하며 빛돌을 배우자. - 아서 헬프스 * 대통령이건 노숙자건 자신의 플레이에 빛돌을 재현할 수 있는자가 가장 고수인 자다. -[[괴테]] *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즐기는 사람은 빛돌을 이길 수 없다. -롤프 메르쿨레 * [[윌리엄 스미스 클라크|Boys, be Bitdol.]] -클라크 * [[공리주의|최대다수의 최대빛돌]] - 벤담 * 빛돌이 힘이다. - 프란시스 베이컨 * 빛돌에게 죽어보지 않은 자는 카오스의 참맛을 알지 못한다 - [[괴테]] * [[게티스버그 연설|빛돌의, 빛돌을 위한, 빛돌에 의한]] - [[에이브러햄 링컨]] * 어떻게 하면 빛돌을 죽일것인가를 생각하지 말고, 어떻게 하면 빛돌에게 보다 멋있게 죽을것인지 생각하라. - [[움베르토 에코]] * 빛돌은 칼보다 강하다. - 피터 피터스튼 * 빛돌은 분명히 우리에게 허락된 단 하나의 확실한 영웅인 것이다. - D.M. 토마스 * [[어린왕자|카오스가 아름다운 것은 어딘가에 빛돌을 숨기고 있기 때문이다]] - 쌩텍쥐베리 * [[빅 브라더|빛돌은 항상 너를 지켜보고 있다.]] - [[조지 오웰]] * 나는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한 번 더 빛돌의 vod를 보겠다. - 스피노자 *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나는 생각한다, 고로 빛돌에게 죽는다]] - 데카르트 * 빛돌은 그 어떤 살인마보다도, 위대한 독재자보다도 많은 킬을 하였다 - 아인슈타인 * 가장 큰 어려운 일 중 세가지, 첫째는 빛돌을 보는 것, 둘째는 빛돌에게 죽지 않는 것, 셋째는 빛돌에게 죽고 나서 다시 죽지 않는 것.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 * 강한 사람이란 빛돌에게 죽기까지의 시간이 가장 오래걸린 사람이다. - 쉴러 * 내가 오늘 빛돌에게 당한 죽음은, 어제 죽은 이가 그토록 바리던 죽음이다. -랄프 W 애머슨 * 청소년기에 가장 불행한 일은 자신이 빛돌과 같은 시대를 살고 있다는것을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 - 프랭클린 * < 제 4의 빛돌 > - 앨빈 토플러 저서 * 빛돌이 없다면 수호신은 침묵을 지키고, 중보는 잠자며, 타워는 정지되고, 보이드도 페어리도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 - 토마스 바트린 * [[슬램덩크(만화)|수백만번을 당한 죽음이다]] - [[서태웅]] [각주] [[분류:유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