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세계백화점)] ||<-2><:>
{{{#fff {{{+1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1987, 20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산신세계.jpg|width=100%]]}}} || ||<|2> {{{#fff '''개점연혁'''}}} || [[1987년]] [[12월 18일]][*성안백화점] || || [[2000년]] [[8월 17일]][*신세계백화점마산점] [* 첫 날짜는 성안백화점이 개장했던 시기이고, 신세계백화점으로 문을 열게 된 시기는 2000년 8월 17일이다.] || || {{{#fff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합포로]] 251 ([[산호동]]) || || {{{#fff '''휴무일'''}}} || 없음 || || {{{#fff '''영업시간'''}}} || 월, 화, 수, 목 10:30 ~ 20:00 [br] 금, 토, 일 10:30 ~ 20:30 [br] 식당가 11:00 ~ 20:00 || || {{{#fff '''소유'''}}} || [[신세계(기업)|[[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svg|width=120&theme=light]][[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 White(1).svg|width=120&theme=dark]]]] || || {{{#fff '''웹 사이트'''}}} || [[https://www.shinsegae.com/store/main.do?storeCd=SC00005|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합포로]] 251 ([[산호동]])에 있는 신세계백화점 지점. == 층별 구성 == * 8층 가전전문관 / 고객서비스센터 * 7층 아동 / 생활 * 6층 스포츠 / 아웃도어 / 신세계아카데미 * 5층 남성 / 골프 / 신세계아카데미 * 4층 여성 클래식 / 슈즈 * 3층 여성컨템포러리 / 란제리 * 2층 영캐주얼 / 진 스트리트 캐주얼 * 1층 화장품 / 핸드백 / 패션잡화 * B1 고메스트리트 / 푸드마켓 == 상세 == 오래된 역사를 지닌 점포다. 과거 마산의 지역향토백화점이었던 성안백화점이 [[1997년 외환 위기]] 여파로 1998년 1월 최종 부도 처리되자, 신세계가 경매에서 낙찰받아 리모델링한 후 2000년 재개점하여 탄생한 것이 신세계백화점 마산점이다. '''이는 [[신세계백화점 경기점]]보다 무려 7년이나 앞섰다.''' 특히 1990년대초부터 성안백화점은 신세계와 제휴관계에 있어 '''신세계 성안백화점'''이란 상호를 상당 기간 사용했다가 성안백화점으로 되돌리기도 했다.[* 그리고 그로부터 얼마 되지 않아 IMF를 얻어맞고 부도가 났다.] 신세계성안 시절부터 치면 '''비수도권 지역 최초의 신세계백화점'''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오랜 시간 영업을 이어오고 있다.[* [[마산시]]가 한창 잘나갈 무렵인 1990년대부터 진출해 있었던 셈이다.] 이는 '''옆 동네 [[부산]]의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개점은 마산점 개점 후 9년이 흘러서야 이루어졌고, 애초 부산 센텀시티점을 개점하기 이전에는 신세계백화점 점포가 서울 권역 외에는 광주, 마산 단 두 곳 밖에 없었다.''' 80년대에 지어놓은 성안백화점 건물을 리모델링해서 쓰고 있는지라 영업면적은 26,504㎡ (8,000평)로 신세계백화점 점포 중 제일 작은 크기에, 매출도 [[2021년]] 약 1,400억 원 정도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국 [[신세계백화점]] 점포들 중에서도 최하위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때문에 [[스타필드(쇼핑몰)|스타필드 창원점]] 건설과 발맞춰 신세계가 마산점을 매각하고 스타필드로 이전한다는 설이 꾸준히 나왔으나, 신세계는 그럴 예정이 없다고 일단 못을 박은 상태이다. 현재는 [[신세계백화점]]이 [[정용진]] 체제 하에 그룹의 공격적인 경영 덕에 점포가 많이 늘어나고, 메이저급 백화점 양성에 공을 들이고 있으나, '''불과 [[2000년대]] 초반 까지만 하더라도 신세계백화점은 경쟁사인 [[롯데백화점]] 대비 점포 양성에 많이 소극적이었던''' 역사적 맥락이 존재한다. 다른 이유 없이 이건 그냥 마산 상권이 쪼그라들어버려서 그렇다(...) 마산수출자유지역이 예전만큼 핫하지 않게 되고, 특히 중심상권이 구 창원시 권역으로 넘어가버린 상태에서 90년대 말~2010년대 초까지 산호동뿐만 아니라 마산의 가장 중심상권이던 불종거리-창동까지 몰락해버리게 된다.[* 마창진 통합을 기점으로 소득수준이 높은 창원의 상남동이나 용지동에 밀리기도 했고 마산 내에서도 마산역과 터미널을 끼고있는 합성동 상권에 주도권을 내주게 되었다.] 이렇게 쪼그라들어버린 배후지에서 매출을 수성하기 위해서는 공격적 경영보다는 수세적 전략을 취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다 인근에 [[창원 메트로시티]]를 시작으로 옛 [[마산시]] 지역의 [[e편한세상|대규모]] [[SK VIEW|아파트]] [[롯데캐슬|재개발]]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창원 메트로시티]]는 물론 기존의 마산만 [[아이파크]] 아파트, [[무학자이]] 같은 곳의 입주자들도 여전히 구매력이 있는데, 이들이 굳이 소비 활동을 위해 옛 [[창원시]] 지역까지 이동하지는 않으며, [[명품]] 등 고급 소비를 원한다면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이나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으로 간다. 이 동네는 옛 [[마산시]]에 남아있던 알부자들이 거주하는 동네이기 때문이다. 덕분에 [[2011년]] [[창원 메트로시티]]의 입주 이후 [[홈플러스]] 마산점과 함께 매출을 양분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7년]]에 [[창원 메트로시티]] 2단지와 함께 개점한 [[롯데마트]] 양덕점이 '제3세대 [[롯데마트]]'를 컨셉으로 고급화 전략에 나서면서, 다시 소비자들을 빼앗기는 모양세가 되었다.[* 참고로 [[롯데마트]] 양덕점은 개점 첫 해에 전국 [[롯데마트]] 지점들 중에서 3번째로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그래도 앞서 설명했던 것처럼, 마산점은 [[2009년]]까지만 하더라도 지방에서 단 2곳밖에 없는 [[신세계백화점]] 점포들 중 하나였다. 그리고 옛 [[마산시]] 일대 전성기의 상업적 영광을 상징하는 곳과 같았기 때문에, [[신세계백화점]] 자체도 '''지역 밀착형 사회공헌'''에 힘쓴 적도 있다. 인근의 [[롯데백화점 마산점]][* 옛 [[대우백화점]]을 인수했다.]에서도 비슷한 컨셉으로 운영한 적이 있었다. 지역 언론에서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철수설'''이 나올때마다, 백화점 곳곳에 '''SHINSEGAE LOVES MASAN''' 포스터를 붙이며 민감하게 대응했던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현재는 옛날과 비교하면 많이 매출이 하락했지만, 워낙에 매장 규모가 협소하기 때문에 매장 면적 대비 고정 매출이 상당하다. 게다가 [[마산역]]에서 출발하여 웬만한 외곽지역으로 나가는 농어촌 버스들이 이곳을 지나고, '''경상남도 공업 중심의 마산자유무역지역'''을 바탕으로[* 근방에 [[한일합섬]], 마산자유무역지역, 봉암공단, 그리고 타 지역에서 고속도로타고 옛 [[창원]], [[진해]]로 넘어가려면 무조건 지나야만 하는 어린교광장 등 유동인구와 교통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입지가 뛰어난 곳이다.][* [[노키아 TMC]]와 한국[[소니]]전자 등 외국계 투자기업이 이곳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인근 코앞에 위치해 있었으므로 직장인들이 퇴근하고 이곳에서 쇼핑하는 패턴은 일상적이었다. 지금이야 옆 동네 창원에 대체할만한 쇼핑 공간이 많아졌기에 옛 말이 되어버렸지만.] 쏠쏠한 매출을 안겨다주었기 때문에 [[경남]]에서 신세계백화점 브랜드 이미지를 확실하게 보여준 점포이기도 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2010년대 이후로는 대단위 아파트 단지들이나 [[창원 NC 파크]] 개장 등 몰락 상권에 다시 활기가 돌기 시작했고, 2010년대 중반부터는 타 업체들과의 유통 경쟁이 점차 심화되면서 2016년 들어서는 지하 1층에 신세계푸드마켓(식품관)을 밀어내고 '고메스트리트' 로 대대적으로 리뉴얼을 시도하는 등 마산점에 이런저런 투자도 한 상황에다, 여전히 점포규모 대비 고정 매출은 상당하기 때문에 영업 자체는 꽤 준수하게 운영되어오고 있는 중. [[마산역]]에서 출발해서 지역 내 웬만한 외곽으로 나가는 농어촌지역으로 향하는 읍면버스들이 죄다 이곳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앞을 지나는지라 50대 이상의 이용 또한 출중한 편이며, [[버거킹]]과 [[스타벅스]] 매장을 [[마산]]에서 처음으로 개점한 장소이기도 하다. '''특히 신세계백화점 마산점의 [[스타벅스]]는 2007년에 개점한 [[경상남도]] 최초의 [[스타벅스]] 매장이기도 하다.'''[* 그만큼 신세계백화점 마산점은 2000년대 중반 까지만 하더라도 점심시간이나 퇴근시간이 되면 마산자유무역지역 직장인들로 붐비는 핵심 상권이였기 때문에 스타벅스 개점에 야심차게 나섰던 것으로 보여진다.][* 어찌보면 옛 [[창원시]] 시가지에 스타벅스가 들어선건 2009년 초 [[시티세븐]]이 입주하고 나서의 일이니 마산은 비수도권 지역에서 스타벅스 개점이 다소곳 일렀던 셈.] 다만 버거킹은 지금은 폐점해서 없다. [[분류:마산합포구의 건축물]][[분류:신세계백화점]][[분류:1987년 건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세계백화점/점포, version=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