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1 폐역}}}}}}''' || '''신성''' - --[[신곡역|[ruby(신곡, ruby=~1974)]]]-- - [[광천역|{{{#000000,#ffffff 광천}}}]] || {{{+1 新城驛 / Sinseong Station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신성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6.5667652 126.6602777,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inseong || || [[한자]] ||<-2><|2> 新城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新城, ruby=シンソン)] || ||<-3> '''주소''' || ||<-3>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대학길 179 [br](학계리 230-3)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홍성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 ||<-3> '''운영 기관''' || || [[장항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장항선]] ||<-2> 1923년 3월 11일 || ||<-3> '''철도거리표''' || || [[천안역|{{{#!html
천안 방면}}}]][[홍성역|홍 성]][br]← 4.1 ㎞ || '''[[장항선]]'''[br]신 성 || [[익산역|{{{#!html
익산 방면}}}]][[광천역|광 천]][br]8.6 ㎞ →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신성역.jpg|width=100%]]}}} || || 신성역 전경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신성역 구역사.jpg|width=100%]]}}} || || 신성역 구역사 시절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항선]]의 [[철도역]].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대학길 179 (학계리 230-3) 소재. == 역사 == [[2007년]] [[6월 1일]]부로 여객취급은 중단되었다. 하지만 인근에 [[아세아시멘트]] 공장이 있어서 전용선을 통한 양회화물을 취급하고 있다. 한 해 약 7만 톤 정도의 화물을 받고 있는 중. 단 무인역으로 역무원이 상주하지 않으며 역으로 들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2008년]] [[12월 1일]]에 장항선이 직선화되면서 구역사는 철거되고 선로따라 상행선 3백미터 위쪽으로 신역사를 이전했다. 신역사는 2면 7선으로 규모가 상당히 커졌으며 [[쌍섬식 승강장]]. 2007년 6월 1일부터 이미 여객취급이 중지됐는데 승강장을 지었다. 신성역에서 대천역까지는 아직 복선화가 되어있지 않다.[* 2020년 12월 개량된 군산~익산 구간은 아예 처음부터 복선 전철로 개통되었고, 이듬해인 2021년 1월 노선이 이설된 남포~간치 구간은 복선으로 기개통되었으나 아직 비전철이다. 충남 아산시 신창역에서 홍성군 홍성역까지는 최근에 복선전철화가 완료된 구간이다.] == 기타 == 북쪽으로 1~2km만 가면 [[혜전대학교]]와 [[청운대학교]]가 있다. 물론 여객영업이 중지되었기에 해당 학교 학생들은 기차를 타려면 [[홍성역]]을 이용해야 한다. 일본([[신시로역]])과 대만(신청역)에 한자가 같은 역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장항선의 역 목록)] [[분류:192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장항선의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홍성군의 철도역]][[분류:한자가 같은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