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신동호}}}'''[br]'''申東鎬'''}}}}}} || || '''자''' ||경백(敬伯) || || '''본관''' ||[[평산 신씨]][* 판사공파-청송파 32세 호(鎬) 항렬.] || ||<|2> '''출생''' ||[[1842년]] || ||[[경상도]] [[청송군|청송도호부]] 현남면[br](현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 ||<|2> '''사망''' ||[[1900년]] || ||[[경상북도]] [[청송군]] || || '''묘소'''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복리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7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42년 경상도 청송도호부 현남면(현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에서 아버지 신홍운(申弘運, 1809 ~ 1890. 10. 26)과 어머니 [[함양 박씨]] 박급(朴汲)의 딸 사이의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자식 없이 요절한 작은아버지 신홍건(申弘建, 1819 ~ 1834)[* 초명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25_029832|신홍진]](申弘進).]에 입양되었다. 아버지 신홍운은 1825년([[순조]] 25) 식년시 생원시에 3등 43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25_029832|입격하고]] 1885년([[고종(조선)|고종]] 22) 1월 부호군(副護軍:종4품)에 [[https://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22_01A_16A_00220|제수되었다]].[* [[https://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22_06A_11A_00410|1885년 6월 11일 승정원일기 기사]]에, 맏형 신영호(申永鎬, 1840 ~ 1893. 3. 1)가 아버지 신홍운이 1825년에 생원시에 입격하여 입격한지 60돌 되는 1885년에 회방(回榜) 백패(白牌)를 받는 것이 마땅하나 올해 나이 77세로 병이 심해서 [[한성부]]로 올라갈 수 없음을 호소하였고 이에 [[이조(조선)|이조]]에서 회방 백패를 만들어 지급한 기록이 있다.] 그는 1896년 1월 [[안동시|안동부]] 청송군에서 의병을 일으킨 [[심성지]] 의진에 입대하여 참모(參謀)에 선임되었다. 그해 4월 심성지 의진이 [[김하락]] 의진, 김상종(金象鍾) 의진과 연계 하에 의병 활동을 할 때 참전했다가, 현내면 감은동(현 안덕면 감은리) 뒷산 기슭에서 [[일본군]]과 마주쳐 교전 끝에 병사 7~8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리는 데 일조했다. 그 뒤 부동면 상평동(현 주왕산면 상평리) 마평(馬坪)과 [[경주시|경주군]] 등지에서 교전하였지만 [[중과부적]]으로 패전하였고, 얼마 뒤에 좌익장 [[권성하]] 등과 함께 영덕의진을 지원하기도 했으나 곧 해산되었다. 의진이 해산된 뒤에는 청송군에서 은거하다가 1900년 별세했다. 199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평산 신씨]][[분류:청송군 출신 인물]][[분류:1842년 출생]][[분류:1900년 사망]][[분류:건국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