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신동원)]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신동원]]의 2011년 사항을 다룬 문서이다. [목차] == 1월 == 1월 6일에 열린 [[피디팝 MSL]] 16강 1세트, 1월 13일에 열린 2세트에서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를 이기며 2:0으로 [[피디팝 MSL]] 8강 진출에 성공하여 다음 시즌 [[MSL]]의 시드를 확보했다.. 1월 20일에 열린 [[피디팝 MSL]] 8강 1세트에서, 상대가 [[김윤환(1989)|김윤환]]이기 때문에 쉽지 않을 경기가 될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예측이었고, 실제 초반 빌드에서도 밀리고 저글링 다수를 동원한 공격마저 막혀 불리했지만, '''스커지 대박'''으로 순식간에 전세를 역전시키고 1세트를 가져갔다. 그리고 1월 29일, [[피디팝 MSL]] 2, 3세트를 연달아 무난히 이기며 4강 합류. 4강 상대는 진짜 [[이제동]]이었다. == 2월 == 2월 1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5.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라운드 [[SKT T1]]전에서 팀이 세트 스코어 1:2로 지던 4세트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 브레이커]] 나와 '''[[김택용]]''', 5세트 [[아즈텍(스타크래프트)|아즈텍]]에서 [[어윤수]], 6세트 [[포트리스(스타크래프트)|포트리스]]에서 [[도재욱]]을 잡아내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2월 12일 [[피디팝 MSL]] 4강에서 저저전 최강자 최종전까지 가는 혈전 끝에 [[이제동]]을 꺾어내며 [[피디팝 MSL]]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긴 세 세트는 전부 뮤탈컨트롤로 이겼다. 특히 세트 스코어 2:2 상황에서 5세트는 [[신동원]]은 [[12드론 앞마당]], [[이제동]]은 [[12드론 스포닝 풀]]으로 빌드가 갈렸었다. 그 차이로 인해 먼저 드론을 생산해 [[신동원]]이 자원에서 잠시 동안 우위를 차지하고, 그 벌어진 자원차로 [[신동원]]이 먼저 저글링 싸움을 걸어서 [[이제동]]의 뮤탈이 1마리 덜나오게 하였고, 그 직후 바로 나오는 뮤탈로 뮤탈 싸움을 건 결과 6뮤탈 vs 5뮤탈 2스커지 싸움이 되었고, 그 싸움에서 스커지를 모두 잡아내면서 [[신동원]]에게 유리하게 뮤탈싸움이 전개되었다. 그 이후 뮤탈 컨싸움에서 실수를 하지 않으면서 낙승!! 멋지게 결승에 진출하였다. '''뮤탈컨트롤에서 당시 현존 최강이라 불리던 [[이제동]]'''을 '뮤컨으로 다전제에서 이긴 것'이기에 의미가 더욱 컸다. 오히려 [[이제동]]이 저글링 초반 몰아치기로 이겨서 두 선수의 이미지와는 정 반대의 결과가 나온 격. 어쨌거나 [[차명환]] VS [[신동원]] 이라는 결승대진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저저전]] 하이브 운영의 대가였던 [[차명환]]과의 대결이기 때문에 또 몰랐다. 2월 19일에 열린 [[피디팝 MSL]] 결승전 1세트 [[단테스 피크(스타크래프트)|단테스 피크]]에서 [[차명환]]의 하이브 운영에 밀려서 패했다. 하지만 2세트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 브레이커]]에서는 [[차명환]]의 초반 대규모 저글링 러시를 성큰콜로니를 건설함으로써 막아내어 승리를 거두고 3세트 [[벤젠(스타크래프트)|벤젠]]에서는 [[차명환]]의 [[버로우 저글링]] 전략에 말려들지 않고 공격을 서두르지 않는 침착함을 보이다가 [[차명환]]의 오버로드를 잡아 인구 수 트러블을 일으킨 후 뮤탈리스크와 저글링 러시로 승리하였다. 4세트 [[트라이애슬론(스타크래프트)|트라이애슬론]]에서는 3인용 맵임에도 9풀 발업 저글링 빌드를 시전하고 저글링이 바로 [[차명환]]의 진영으로 공격을 가하여, [[12드론 앞마당]]을 시전한 [[차명환]]에게 빌드싸움으로 승리를 하였다. 결국 세트 스코어 3:1로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신동원]]은 이날 흥행 대파토의 이유로 까이기도 좀 까였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찬양도 받았다. 왜냐면 이날 모든 경기에서 오버로드 정찰이 [[차명환]]보다 운이 없었음에도 끝내 우승을 차지했다는 점이 컸다. 그리고 당시 은퇴한 상태였던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가 응원차 왔는데 [[신동원]]은 우승소감에서 정우형에게 정말 고맙다고 했다. 2월 20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5.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라운드 [[화승 OZ]]와의 경기에 7세트 [[아즈텍(스타크래프트)|아즈텍]]에 대장으로 나와 [[박준오]]에게 무난히 진행하다 자신의 주특기인 기본기에 밀리며 졌다. 그러나 2월 22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5.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라운드 [[kt 롤스터]]전에서 팀이 세트 스코어 1:2로 지던 4세트 [[라만차]]에 출전했는데 [[김성대]]에게 저버리면서 [[피디팝 MSL]] 우승 후 '''2'''연패를 당하고 말았고 팀도 1:4로 졌다. 2월 26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5.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라운드 [[MBC GAME HERO]]를 상대로 1세트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 브레이커]]부터 출전했으나 [[염보성]]의 [[레이트 메카닉]]에 당하면서 1킬도 못했다. [[피디팝 MSL]]우승 후 3연패. 이로인해 [[MSL]] 우승자가 아니라 [[MSL]] '''우스운자'''라고 까였다. 2월 28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5.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라운드 [[웅진 스타즈]]전에서 1세트 [[이카로스(스타크래프트)|이카루스]]에 출전하여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2세트 [[아즈텍(스타크래프트)|아즈텍]]에서 [[김명운]], 3세트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피의 능선]]에서 [[김승현(프로게이머)|김승현]]을 잡고 3킬을 달성한 후 4세트 [[벤젠(스타크래프트)|벤젠]]에서 [[박상우(1989)|박상우]]에게 졌지만 팀은 세트 스코어 4:2로 승리했다. == 3월 == 3월 20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5.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라운드 은 [[공군 ACE]]전에서 팀이 세트 스코어 0:1로 지던 2세트 [[라만차]]에 출전, [[안기효]]를 잡았지만 3세트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 브레이커]]에서 [[변형태]]에게 패배해버렸다... 그리고 팀도 2:4로 패했다. 3월 26일 [[위너스 리그#s-4.3|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 준플레이오프 對[[SKT T1]]전에서 [[신상문]]의 뒤를 이어 차봉으로 2세트 [[이카로스(스타크래프트)|이카루스]]에 출전, [[최호선]]을 상대로 밀리는 듯 했지만 [[폭탄드랍]]과 뒤를 이은 방업뮤탈의 활약으로 [[최호선]]을 잡아내었다. 하지만 3세트 [[태양의 제국(스타크래프트)|태양의 제국]]에서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을 상대로 패스트 가디언을 가다가 멀티가 털리고, 중간 병력 싸먹으려다 뮤탈이 털리는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모든 병력을 동원한 러시도 막히고 결국 패배. 팀도 1:4로 패하여 탈락했다. == 4월 == 4월 7일 [[ABC마트 MSL]] 조지명식에서 한 건 터트리고 말았다. 조지명식이 다 끝나가던 3부의 마지막 차이코패스라고 불리운 준우승 시드 보유자인 [[차명환]]이 자신의 차이코패스면목을 보여주며 D조 시드권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이제동]]의 옆에 [[김택용]]을 앉혔고 바로 [[염보성]]이 아래자리에 놓이게 되었다. 이 상황으로 이미 스갤은 폭발 하였지만...우승자 시드 보유자 [[신동원]]은 D조에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유대현|유병준]]과 [[이영호]]를 교환 택리쌍조를 만들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염보성]]과 [[김택용]]의 자리를 바꾸며 [[DSL|조지명식의 끝을 냈다]]...~~리그 브레이커가 되고 싶었던 신 모씨~~[* 사실 [[염보성]]과의 대화와 조 배분 상황을 보면 [[염보성]]의 위치에다가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을 넣어버렸을 가능성이 컸다. ~~그리고 [[MSL]] PD는 [[신동원]]을 소주병으로 내려치겠지.~~ 다만 [[염보성]]이 ~~애사심을 발휘해~~ [[신동원]]의 제안을 거절해서 결국 죽음의 조에 남게 되었다. ~~어차피 [[염라인(스타크래프트)|염라인]] 수장이니깐 16강은 자동으로 진출이고 그나마 얼마 안남은 흥행카드인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도 살리고 일석이조. 근데 결과적으로 [[염보성]]과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은 [[광탈]] 크리.~~ ] 이런 활약(?) 덕분에 말은 별로 안했지만 [[ABC마트 MSL]] 조지명식 토크왕을 수상하게 되었다...~~PD살해자 신동원...~~ [[http://www.fomos.kr/gnuboard4/data/file/free_11/2039100151_T6jSBdrM_ABCB8B6C6AE_MSL_C1B6C1F6B8EDBDC4.gif]] 그런데 지명권으로 택리쌍+염 조를 만들다 보니 중요한 걸 망각했는데 [[ABC마트 MSL]] 32강 첫 상대가 2011년 4월 현재 저그전 승률 100%의 [[이재호(프로게이머)|슈퍼컴퓨터]]가 되었다. 4월 14일에 열린 [[ABC마트 MSL]] 32강 개막전에서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와 [[김경모(프로게이머)|김경모]]을 연달아 이기고 2연승으로 가볍게 16강에 진출하였다. 16강 상대는 [[송병구]]. 4월 28일 열린 [[ABC마트 MSL]] 16강 1세트에서 [[송병구]]가 스톰 업그레이드를 늦게 누르는 실수를 저지르자 이 때를 타이밍을 노려 히드라로 몰아쳐서 1승 선취, 8강 진출에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되었다. == 5월 == 5월 1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라운드 [[kt 롤스터]]와의 경기에는 팀이 세트 스코어 3:2로 이기던 6세트 [[아즈텍(스타크래프트)|네오 아즈텍]]에 출전했으나 [[임정현(프로게이머)|임정현]]과의 뮤탈싸움에서 지면서 패배했고, 7세트 에이스 결정전 [[이카로스(스타크래프트)|이카루스]]에서 [[이영호]]를 만나 [[스탑러커]]가 스캔에 잡히면서 밀리다가 패배하면서 하루에 2패를 하고 말았다. 5월 7일 열린 [[ABC마트 MSL]] 16강 2세트를 [[송병구]]에게 헌납했으나 3세트를 히드라 몰아치기로 승리하여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8강 상대는 같은 [[MSL]] 1회 우승경력이 있는 [[박성균]]. 사진 기자가 안티인지 모르겠지만 항상 사진 찍을 때마다 구도가 [[신동원]]이 가장 최고참인 걸로 착각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얼굴이 원래 [[노안#s-2]]이라 그렇겠지만 저렇게 중앙에 세워 놓으니 동안인 동료 게이머들과 더더욱 비교된다. 그렇지만 알아둘것은 '''[[신동원]]은 [[CJ 엔투스]] 1군 중에서 어린 축에 속했다는 거. 같은 팀 1군 내에서 동갑은 [[조병세(프로게이머)|조병세]],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 5월 8일부터 소속 팀 [[하이트 엔투스]]가 [[CJ 엔투스]]로 다시 네이밍이 변경되었다. 5월 11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라운드 [[화승 OZ]]전에서는 팀이 세트 스코어 1:0으로 이기던 2세트 [[얼터너티브#s-3]]에서 [[박준오]]를 이기면서 팀의 셧아웃 승리에 공헌했다. 5월 12일에 열린 [[ABC마트 MSL]] 8강 1세트에서 [[박성균]]의 [[벙커링]] 이후의 탱크+바이오닉 공격을 막아내지 못하고 패배하였다. 그러나 웬걸...5월 19일에 열린 [[ABC마트 MSL]] 8강전 2세트에서 자신이 제일 자신 없어했던 [[라만차]]에서 승리를 거두더니만 분리형 5전제의 진수라고 할 수 있는 1주차 패배, 2주차 셧아웃이라는 통쾌한 승리를 거두며 [[박성균]]에게 압승. 상대전적을 뒤집음과 동시에 2연속 [[MSL]]으로 4강에 올라 자신의 조지명식때 했던 선언에 힘을 싣는데 성공. 5월 26일에 열린 [[ABC마트 MSL]] 4강에서 [[이영호]]를 상대로 1승도 못해보고 0:3으로 압살당했다. 1세트 [[라만차]]에서는 뮤탈리스크 견제를 컨셉으로 잡았지만 오히려 자기가 더 큰 피해를 입어버렸고, 결국 럴커를 준비했으나 제대로 된 병력 손실을 전혀 겪지 않은 [[이영호]]의 압도적인 한방 병력 밀리면서 GG를 쳤다. [[몬테크리스토(스타크래프트)|몬테크리스토]]에서 벌어진 2세트에서는 1시 멀티를 정말로 '''신의 한 수라고 불러도 아무도 뭐라 못할 다크스웜'''으로 방어해내면서 압도적인 우위를 가져갔으나, [[이영호]]의 2시 멀티에 대한 집요한 공격에 2시를 잃고 드랍이 계속 실패하면서 서서히 열세에 몰리더니 말 그대로 대역전패를 당해버렸다. 2세트 패배가 결정적이었는지, 3세트 시작 전까지 부스 안에서 망연한 표정으로 앉아 있다가 3세트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 브레이커]]까지 갔는데, [[이영호]]를 휘두르기는 커녕 4배럭 바이오닉에 압도적으로 휘둘리며 [[GG]]. 완벽하게 압살당해 버렸다. 이를 보던 [[이승원(게임 해설가)|이승원]] 해설은 신동원에게 "정신이 무너졌습니다!"라고 외쳤다. == 6월 == 그나마 6월 4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라운드 [[화승 OZ]]전에서는 1세트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에 출전하여 [[방태수]]를 잡으며 팀의 세트 스코어 4:2 승리에 기여했다. 6월 24일에 열린 스타리그 듀얼 B조 2경기에서 [[박재영(프로게이머)|박재영]]이 자신의 본진 안쪽에 2게이트웨이를 올리는 전략을 썼으나, 드론 뭉치기, 저글링, 성큰 콜로니 건설로 질럿들의 공격을 수비하는 동시에 저글링들을 [[박재영(프로게이머)|박재영]]의 본진으로 보내 프로브들을 잡으면서 승리하였고, 승자전에서 [[박성균]]의 발키리에 뮤탈들이 쫓기면서 위기를 맞았으나 저글링 다수를 짜내어 [[박성균]]의 바이오닉 병력들을 잡아내면서 주도권을 가져가더니 결국 승리를 거두었다. 2연승으로 16강 진출 성공. == 7월 == 7월 13일에 열린 [[진에어 스타리그]] 16강 B조 [[이영호]]와의 라만차 경기에서 패하였다. 7월 20일에 열린 [[진에어 스타리그]] 16강 B조 [[이영한]]과의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 경기에서 기가 막힌 스커지 컨트롤로 [[이영한]]의 뮤탈리스크들을 떨구는 패기를 보이고 역전승을 만들어 냈다. 7월 23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플레이오프 對[[kt 롤스터]] 1차전에서 팀이 세트 스코어 2:3로 지던 6세트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에 출전했지만 [[김대엽]]에게 졌다. 7월 24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는 1세트 [[얼터너티브#s-3]]에 출전해서 [[박재영(프로게이머)|박재영]]을 이겼다. 하지만 팀이 세트 스코아 2:4로 역전패하면서 결국 1, 2차전 모두 팀이 지면서 탈락. 7월 29일 [[진에어 스타리그]] 16강 B조 [[패스파인더#s-8]] 경기에서는 [[송병구]]를 잡아 2승 1패가 되어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 8월 == 8월 12일에 열린 [[진에어 스타리그]] 8강 1세트 [[라만차]] 경기에서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에게 승리하였다. 8월 26일에 열린 [[진에어 스타리그]] 8강 2세트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 경기에서 김현우에게 패하였지만 3세트 [[패스파인더(스타크래프트)|패스파인더]]에서 승리하여 세트스코어 2:1로 4강 진출에 성공했다. 4강 상대는 친구인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 9월 == 9월 2일에 열린 [[진에어 스타리그]] 4강에서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을 상대로 1세트 [[글라디에이터(스타크래프트)|글라디에이터]]를 패하고 2세트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을 승리했으나 3세트 [[패스파인더(스타크래프트)|패스파인더]], 4세트 [[라만차]]를 연달아 패하여 세트스코어 1:3으로 탈락하였다. == 11월 == 11월 27일에 열린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20|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팀의 첫 경기였던 [[STX SouL]]전에서 선봉으로 [[체인 리액션(스타크래프트)|체인 리액션]]에 출전하여 [[김현우(프로게이머)|저저전기계]]를 잡으며 승리를 거뒀다. 그리고 팀도 세트 스코어 3:0으로 승리하였다. 11월 30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20|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1라운드 [[공군 ACE]]전에서 팀이 세트 스코어 1:0으로 이기던 2세트 [[아웃라이어(스타크래프트)|아웃라이어]]에 출격해 [[김경모(프로게이머)|군제동]]을 이겼다. 팀은 3대0으로 승리했다. == 12월 == 12월 8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20|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1라운드 [[삼성전자 칸]]전 마지막 세트 [[아웃라이어(스타크래프트)|아웃라이어]]에서 [[임태규]]를 이기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로써 시즌 3연승을 거뒀다. 12월 18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20|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1라운드 [[kt 롤스터]]전에서 4세트 [[체인 리액션(스타크래프트)|체인 리액션]]에 출격. 상대는 [[고강민|결승전 이후 오른손을 봉인한 패왕]]. 팀은 세트 스코어 2:1로 앞선 상황 이었고 [[CJ 엔투스|CJ]]팬들은 물론이며 [[kt 롤스터|KT]]팬들까지 모두 [[신동원]]의 압승을 예상했지만 뮤탈싸움에서 실수를 하는 바람에 졌다.[* [[임태규]]는 인터뷰에서 이 날 [[신동원]]이 술을 마시고 들어갔다고 한다.[[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122016&db=news&cate=&page=10&field=&kwrd=|#]]] 팀은 결국 2:3으로 재역전패당했고 이때 들고 나온 BGM이[* [[공군 ACE]] 대 [[STX SouL]]전부터 선수 소개할 때 개인 BGM을 트는 것을 도입했다.] '''[[넥스트(밴드)|N.EX.T]]의 Lazenca, Save Us'''[* [[삼성 라이온즈]]의 마무리 투수 [[오승환]]이 등판할 때 나왔던 BGM이었다.]였기 때문에 더더욱 까였다. 12월 24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20|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1라운드 [[제8게임단]]과의 경기에서 팀이 세트 스코어 2:1로 이기던 4세트 [[일렉트릭 써킷]]에 출전했는데 [[박준오|작은북]]에게 져서 또 [[블론세이브]]를 했다. 하지만 팀은 3:2로 이겼다. 12월 27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20|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1라운드 [[웅진 스타즈]]전에서 팀이 세트 스코어 2:1로 이기던 4세트 [[아웃라이어(스타크래프트)|아웃라이어]]에 출격하여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을 이기며 팀의 승리를 마무리를 지었다. [각주] [[분류:프로게이머/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