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신동수}}}[br]申東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동수.png |width=100%]]}}} || ||<|2> '''출생''' ||[[1930년]] || ||[[충청북도]] [[청원군]] [[북일면]] [[비중리]] || || '''사망''' ||[[2023년]] [[7월 21일]] (향년 93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직업''' ||[[기업인]] || || '''학력''' ||[[청주교육대학교|청주사범학교]] {{{-2 (학사)}}}[br][[서울대학교]] {{{-2 (토목공학 / 학사)}}} || || '''경력''' ||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회장[br]현대건설 현장소장 || || '''가족''' ||배우자, 슬하 1남 신희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기업인. == 생애 == 그는 1930년 [[충청북도]] 청원군에서 태어났다. 1950년 청주사범대학을 나와 잠시나마 교편을 잡았으며 1956년 서울대학교 토목공학과를 졸업한 뒤 내무부 건설처, 현대건설 현장소장으로 근무했다. 당시 한국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에 따른 복구사업이 한창인 시기였기에 한강교와 공주대교, 경부선 철도 복구, 충주 목행대교, 당진교, 단양 상진대교 등 국가경제 재건사업에 열중했다. 1964년 우리나라 최초 지하철인 서울시 ‘지하철1호선 타당성조사’를 비롯해 경부고속도로와 경부고속철도 등 국내 대형 국책사업 등을 동업자들과 함께 수행했다. 동시에 그는 1970년대 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전신인 국전설계사무소를 인수한 뒤 교통인프라 건설을 통한 경제성장에 이바지했다. 또 그는 해외에서도 과감한 투자를 통해 2010년대까지 20여년간 30개국에 달하는 시장 개척에 성공했다. 특히 알제리 [[부그줄]] 및 [[하시메사우드]] 신도시 설계와 [[고원중앙지역]]을 잇는 총 연장 505.3km 고속도로 사업 등은 대표적 성과로 꼽힌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를 국내 대표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으로 성장시킨 그는 2020년 고속철도 설계 등 교통인프라 구축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아 금탑산업훈장의 영예를 안았다. == 사망 == 2023년 7월 21일 오후 3시 30분께 세상을 떠났다. 향년 93세. [[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청주교육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흥덕구 출신 인물]][[분류:1930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