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신도출}}}'''[br]'''愼道出'''}}}}}}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도출.jpg|width=100%]]}}} || || '''본관''' ||[[거창 신씨]][* 통례공파(通禮公派) 34세 중(重) 항렬. 이후 신중련(愼重鍊)으로 개명했다.] || ||<|2> '''출생''' ||[[1898년]] [[2월 7일]] || ||[[경상남도]] [[거창군]] 동부면 동동[br](現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대동리 동동마을)[* 인근의 양평리와 함께 [[거창 신씨]] 집성촌이다. [[신중하]] 전 국회의원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1959년]] [[5월 13일]] (향년 61세) || ||[[경상남도]] [[거창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797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2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8년 2월 7일 경상남도 거창군 동부면 동동(現 거창군 거창읍 대동리 동동마을)에서 아버지 신명재(愼名縡, 1865 ~ 1917. 1. 27)와 어머니 [[유(성씨)|거창 유씨]](居昌 劉氏, 1873 ~ ?. 8. 8)[* 유순옥(劉淳玉)의 딸이다.] 사이에서 4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거창면 하리(現 거창읍 중앙리 하동마을)로 이주하였다. 1919년 8월 거창면에서 [[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2004|이덕생]](李德生)·[[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6389|김태연]](金泰淵) 등이 국권회복운동에 필요한 군자금과 의용병을 모집하여 [[중화민국]] [[동삼성]] 소재 만주군정서에 송금 및 파견할 계획을 세우자 이에 호응하여 군자금 모금액 813원을 제공하였으며 『신한별보(新韓別報)』를 배부하던 중 이른 바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일본 제국 경찰]]에 체포되었다. 1921년 1월 8일 거창경찰서에서 조사를 받고 검사국에 [[http://db.history.go.kr/id/su_006_1921_01_08_0160|송치되어]] 1년 5개월여에 걸쳐 구류된 후에야 석방되었다. 그 후에도 항일활동을 계속하다가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어 1935년 2월 10일 이른 바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 혐의로 금고 8개월형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이후 1959년 5월 13일 거창군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 199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1999년 11월 2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거창 신씨]][[분류:거창군 출신 인물]][[분류:1898년 출생]][[분류:1959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