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만의 경제]][[분류:통화]] [include(틀:다른 뜻1, from=NTD, other1=같은 약자를 가진 언론사, rd1=신당인TV)] [include(틀:동아시아의 통화)] [include(틀:근현대 중국 화폐 변천사)] [include(틀: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3> {{{+1 {{{#black,#dddddd '''신 대만 달러'''}}}}}} || ||<-3> {{{+1 {{{#black,#dddddd '''新臺幣 / New Taiwan dollar'''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新台湾ドル.png|width=100%]]}}} || || '''[[ISO 4217|ISO 4217 코드]]''' ||<-2> TWD || || '''중앙은행''' ||<-2> [[중화민국중앙은행]] || || '''사용국''' ||<-2>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 '''기호''' || NT$ || || '''동전''' || 자주 사용됨 :NT$1, NT$5, NT$10, NT$50 [br] 드물게 사용됨 :NT$0.5, NT$20 || || '''지폐''' || 자주 사용됨 :NT$100, NT$500, NT$1,000 [br] 드물게 사용됨 :NT$200, NT$2,000 || || '''인쇄처''' || [[http://www.cepp.gov.tw|대만 중앙인쇄창]] || || '''조폐국''' || [[http://www.cmc.gov.tw|대만 중앙조폐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중화민국중앙은행 엠블럼.svg|width=200]] [[대만]]의 [[법정]] [[화폐]]. [[중화민국]] 정부가 [[국부천대]] 직전인 [[1949년]]에 기존에 대만에서 쓰이던 화폐를 [[디노미네이션]]하여 새로 만든 화폐이다. [[ISO 4217]] 코드는 TWD, [[대만]]에서 쓰는 약자는 NT$[* 간혹 NTD로 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중국 본토에서는 파룬궁 계열 반중공 위성방송인 [[신당인TV]]와 약자가 같기 때문에 쓸 수 없다.]. 발행처는 [[중화민국중앙은행]][[http://www.cbc.gov.tw/mp1.html|링크]]이다. 보조단위로 자오(角, 또는 毛(마오))와 펀(分)이 있는데 구어로는 둘 다 사용하지만 공식적으로는 "자오" 단위만 존재하는데 이것도 사실상 사장되어 무의미하다. 100펀(센트) = 1대만 달러(위안). 정식명칭은 '''신''' 대만 달러이나, 일반인들은 물론 [[은행]], FX 투자를 위한 [[HTS]], 외환딜러 사이에서조차 그냥 '대만 달러'라 칭한다. 1949년 이후로 [[디노미네이션]]을 진행하지 않아 명칭이 바뀔 리 만무하여 한동안은 이런 현상이 지속될 듯하다. 그 반대인 '중화민국 달러'는 네이버에서는 검색이 안되고 다음, 구글에선 처리가 된다. == 환전 및 환율 == 1 대만 달러당 원화 기준(장중 포함) * 최저 :33.69, 최고 :43.04 미국 1달러당 기준 대만 달러 흐름(2019년 기준) * 최저 : 29.903, 최고 : 33.645 KEB하나은행 기준 현금 사실때가 43.36원 || 100달러: 4,340원 |||| 200달러: 8,670원 |||| 500달러: 21,680원 |||| 1,000달러: 43,360원 |||| 2,000달러: 86,720원 || 국내 시중은행에서도 취급하는 통화 중 하나이나, 보유 수량이 많지도 않고 비주류 통화이기에 우대가 거의 되지 않으며 무엇보다 [[베트남 동]] 다음으로 2번째로 환전 수수료가 매우 크기에[* 여행자 사이에서 인기가 많지만 금융권(하나은행,신한 등 시정 은행들)입장에서는 그렇지 않은 통화로 인식하고 있다.]가급적 대한민국에서 미국 달러로 환전한 후 대만 현지에서 바꾸든지, 아니면 현지 ATM에서 인출하는 거나 혹은 명동 및 동대문의 사설환전소에서 바꾸는 것이 좋다. 대만 현지 은행 환전 가능 통화 - 현지 은행에서 환전(매수/매도)할 때마다 일정률의 환전 수수료를 받는 탓에 북유럽, 일본 다음으로 세계에서 비싼 수수료를 자랑한다. [[https://www.findrate.tw/currency.php|시세]] * 아시아: [[한국 원]], [[일본 엔]], [[중국 위안]], [[홍콩 달러]], [[호주 달러]], [[싱가포르 달러]], [[태국 바트]], [[필리핀 페소]], [[인도네시아 루피아]], [[베트남 동]], [[말레이시아 링깃]], [[뉴질랜드 달러]], [[마카오 파타카]],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잉글랜드 은행권만 가능],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 상세 == 영어 및 대외 표기로는 [[달러]]라고 하는데 중화민국 국어로는 圓(ㄩㄢˊ[*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 상 '위안'이라고 적으나, 실제 발음은 '위엔'이다.])이라고 읽는 것이 특이점이다. 중국어권에서는 한자문화권의 화폐단위나 '달러'를 위안으로 표기한다. 대만환전소 기준으로 외국화폐 표기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원]] : 韓圓(ㄏㄢˊㄩㄢˊ) [[일본 엔]] : 日圓(ㄖˋㄩㄢˊ) [[미국 달러]] : 美圓(ㄇㄟˇㄩㄢˊ)[* 타오위안 공항 환전소 등 대부분은 美金(ㄇㄟˇㄐㄧㄣ)으로 표기한다,무슨 이유로 그렇게 표기하는지는 알 수 없다.] [[유로]] : 歐圓(ㄡㄩㄢˊ))[* [[유럽|歐洲]] 달러] [[캐나다 달러]] : 加拿大幣(ㄐㄧㄚㄋㄚˊㄉㄚˋㄅㄧˋ) 등.[* 여담으로, 한국 금융업계나 외환딜러들 사이에서는 국가 약칭을 따서 "캔불"이라 부른다.] [[중국 위안]] : 人民幣(ㄖㄣˊㄇㄧㄣˊㄅㄧˋ)|| [[중국]]처럼 대만에서도 자기네 화폐단위 圓(ㄩㄢˊ)을 구어(口語)체로 塊(ㄎㄨㄞˋ)라고 한다.[*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중국계 싱가포르인]]에도 비슷한 관습이 존재하는데 이 지역에서 콰이는 [[말레이시아 링깃]]이나 [[싱가포르 달러]]를 의미한다.] 여행을 가면 구어체로는 현지인들 아무도 위안이라고 하지 않고 달러로는 더더욱 하지 않는다. 구어에서는 무조건 콰이(塊)나 숫자를 쓴다.[* 가령, 38TWD의 경우 싼쓰빠 콰이 또는 싼쓰빠라고 한다.] 이는 [[표준중국어]] 기준이고, [[대만어]]나 [[객가어]]로는 용어가 달라져서 塊에 해당하는 말이 箍(khoo: 대만어, khiêu: 객가어)가 된다. 元과 圓의 표기가 혼용되는 이유는 "[[갖은자]]"를 쓰기 때문이다.[* 중국 대륙의 인민폐도 단위는 元(위안)이지만 돈에다가는 圆(圓의 [[간체자]])를 쓴다. 또 [[홍콩 달러]]는 元, 마카오 [[파타카]]는 圓로 쓴다. 그냥 元이라고 하면 어느 쪽 돈인지 혼동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구분이 필요한 경우는 人民幣元, 新臺幣元 등으로 구분해서 말하기도 한다.] 다만 중국어 방언이나 다른 한자 문화권 언어에 따라서는 圓과 元의 발음이 같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이건 양자의 발음이 같은 중국어 방언에서 생긴 습관을 공식적으로 채택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금융업계나 외환딜러들 사이에서는 대부분 "대만 위안"이라고 부르거나, 호칭은 달러라고 부르되 금액은 위안으로 읽는 경우가 많다.(예: "대만달러 10만 위안입니다") 일부만 대만 달러를 고집한다. (예: 500대만달러 환전 완료 되었습니다.') 2022년 11월 2일 기준 공식환율은 '''32.15TWD/USD'''이다. 한화로는 1대만 달러에 44.08원이다. 발행년도는 [[민국기년]]을 쓴다. == 역사 == === 중화민국 위안 === 1949년 이전의 중국 화폐 제도는 그야말로 [[춘추전국시대]] 못지 않게 복잡했다. 지역별 및 은행별로 모조리 시스템이 달랐기 때문이다. [[국민정부]]는 [[중일전쟁]] 이전이나 이후에나 중국 전역의 화폐를 통일하고자 했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실패했다.(은원 화폐개혁을 하긴 했는데 실패하며 중화민국 정부세입을 박살냈다.) 중화민국 중앙정부 운영 [[중화민국중앙은행]]에서도 중국의 법정통화(중화민국 위안)를 발행하기는 했다. 하지만 [[군벌/중화민국|군벌]]들이 소유한 [[은행]]에서 별도의 은행권을 발행했고, 일반 회사들도 자기네들이 화폐를 마구 발행하는 바람에 화폐 종류가 너무 많았다. 덕분에 [[1949년]] 이전까지 [[중국 대륙]]에서는 화폐로 물건 거래하려면 거래 상대방이 '''화폐 도안 카탈로그를 봐야'''했다. === 구 대만 달러와 신 대만 달러(1949~2000) === 그러다가 2차 대전 이후 일본에서 회수한 타이완에 [[대만은행|타이완 은행]]을 재인가해서[* [[대만일치시기|식민지 시대]]에 중앙은행 역할을 하기 위해 설치한 타이완 은행의 후신이다. 국영은행이었으며 [[타이완 성]]이 설치된 이후 타이완 성에서 운영했는데 중앙은행 기능은 중화민국중앙은행으로 넘어갔으므로 타이완 은행은 상업은행의 역할만을 했다. 1998년에 타이완 성이 실질적 기능을 정지해 다시 국영은행이 되었고 지금은 민영화가 이뤄지고 있다.] [[타이완 섬]]에서만 통용되는 돈을 발행했다. 이것이 '구 대만 달러'이다. 그러나 당시 [[국민정부]]는 중일전쟁 당시 마구 찍어낸 화폐로 인해 발생한 인플레이션을 전혀 통제하지 못했고, 더불어 [[국공내전]] 수행을 위해 타이완섬의 물자를 뜯어가 품귀현상이 발생해 구 대만 달러의 가치는 폭락했다. 그래서 국민정부가 인플레이션을 가라앉히기 위해 [[국부천대]] 직전에 대만에서 화폐개혁을 하여 만들어진 것이 지금의 신 대만 달러이다. 처음에는 5위안=1달러의 고정환을 채택했지만 이후 조정과정을 거치며 1960년대에 1 미국 달러=40 대만 달러 선에서 거래되었고, 이러한 환율이 경제상황 변화에 따라 다소 변동이 있었지만 대체로 큰 변화없이 이어졌다. 국부천대 이후로는 타이완 섬과 부속 도서 이외에 중화민국의 영토가 거의 없었다. 그러다 보니 본래 중(화민)국의 일부 지방인 대만에서 쓰이는 지방화폐로 만들어진 신 대만 달러는 사실상 전국에서 통용되는 화폐로 간주되었다. 그래도 명목상 타이완 은행에서 발행하는 지방의 통화였지만 1961년부터는 [[중화민국중앙은행]]이 발행하되 이름만 타이완 은행을 쓰는 식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큰 개편이 들어간 현행권이 발행된 2000년부터 명목상으로도 중화민국의 법정통화로 인정됨과 동시에 발행처가 타이완 은행에서 중화민국 중앙은행으로 넘어갔다. 그리고 2002년 7월 1일을 기해 타이완 은행 발행 신 대만 달러의 통용이 완전히 중지되었다. 타이완 은행은 단지 국가 혹은 타이완 성에서 운영하는 상업은행이었으므로 2000년 이전의 대만 달러는 드물게 중앙은행에서 발행하지 않는 통화였다. 이런 시스템은 [[홍콩 달러]]와도 유사하다. === 진먼마쭈다천 전용지폐 === 한편 1950년대 이후 타이완 이외의 중화민국의 실질통치구역([[진먼]], [[마쭈]], 다천[* [[저장성]]에 속한 섬으로, 1955년에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해 점령되어 상실했다.])에서는 역시 타이완 은행에서 발권한, 각 지역에 한해서 사용할 수 있는 지폐를 사용하였다. 이를 진먼마쭈다천 전용지폐(金門馬祖大陳專用紙幣)라 한다. 전용지폐라는 말을 쓰기는 했지만 타이완 은행권과 도안이 같았고 진먼 전용, 마쭈 전용, 다천 전용이라는 빨간색 마크가 새겨져 있을 뿐이었다. 이들 은행권의 교환비율은 1:1이었으며, 모두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했지만, 명목상 다른 화폐를 쓰도록 하여, 타이완 섬 지역의 사람들은 이쪽으로 갈 때 돈을 바꿔서 사용하는 형식적인 절차가 필요했다. 그리고 진먼, 마쭈, 다천의 지폐를 뭉뚱그려 하나인 것처럼 이야기했지만 진먼, 마쭈, 다천의 지폐는 모두 달라서 서로를 오갈 때에도 환전이 필요했다. 어차피 서로 오갈 때 직접 이동이 불가능하고 타이완섬을 거쳐야 한다. 이렇게 된 것은 대륙 본토를 잃고 섬 몇 개만 남은 [[푸젠성(대만)|중화민국 푸젠성]](진먼, 마쭈) 및 [[저장성]](다천, ~1955) 지역의 경제력이 약했기 때문이다. 푸젠성의 경우 1987년 대만 섬의 계엄령이 해제될 때에도 군정 상태가 지속되고 있었기 때문에 경제력이 미약해서, 타이완 은행권을 푸젠 지역까지 써버릴 경우 푸젠 지역의 산업(주로 [[사탕수수]] 농업이나 [[고량주]] 제조업)이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만약 푸젠 지역이 [[중화인민공화국]]에 넘어가면 대만 섬의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1990년대]] 후반 [[타이완 성]]과 푸젠 성의 성 정부가 동결되면서 [[중화민국중앙은행]]이 중화민국(대만) 전국의 통일화폐를 만드는 것으로 결론을 내고 타이완 은행권 기준으로 도안을 딱 맞춰서 푸젠 지역까지 쓸 수 있게 했다. 이 통일 신대폐 체제는 [[2000년]]부터 시작되었으니 국부천대를 하고 51년간 그 좁은 [[대만]] 영토에 화폐가 여럿인 시대가 [[2019년]] 기준으로 통일화폐 시대보다 길었던 셈이다. 2002년 7월 1일을 기해 타이완 은행 발행 신 대만 달러와 함께 통용이 중지되었다. == 현행권 (2000년) == === 지폐 === |||| || 앞면 || 뒷면 || || [[파일:壹佰圓.jpg|width=100%]] || NT$100 || [[쑨원]]과 [[예기]] 예운편 [[대동]]장 || [[매화]], [[양밍산]] 중산루[* 中山樓. 국민당 독재시절 지어져 외국인 영빈관, [[국민대회]] 청사 등으로 쓰였던 건물.] || || [[파일:貳佰圓.jpg|width=100%]] || NT$200 || [[장제스]]와 [[토지개혁]] 및 교육 || [[총통부(대만)|총통부]], [[난초]] || || [[파일:伍佰圓.jpg|width=100%]] || NT$500 || 난왕초등학교 야구부[* [[타이둥현]]에 있는 [[대만 원주민]]들이 중심인 중학교이며, 1998년 전국 초등학교 대회에서 우승했을 때 사진. 사진에 나온 일부 선수는 신권이 나온 2000년 당시에 현역으로 활동했다가 현재는 감독이나 코치 혹은 완전 은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사슴]]과 [[대나무]], 다바젠 산 || || [[파일:壹仟圓.jpg|width=100%]] || NT$1,000 || [[초등학교]] [[교육]][* 1999년 당시 [[타이베이]] 푸싱 초등학교 학생들.] || 미카도꿩[* 대만 위산에서만 살며 현 멸종위기종이다.] 부부, [[위산(대만)|위산]], [[국화]] || || [[파일:貳仟圓.jpg|width=100%]] || NT$2,000 || [[대만]]의 [[위성]]기술 || [[소나무]]와 포모산육봉연어 및 난후 산 || * 200달러와 2,000달러의 경우 발행량이 워낙 적고 단위가 애매해서 미국의 2달러 지폐와 일본의 [[2000엔권 지폐]]마냥 잘 유통되지 않는다. 다만 중앙은행에서는 2단위 화폐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2단위 화폐의 사용이 늘어야 조폐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심지어 홍보영상까지 여러 개 만들었다. 홍보영상에서도 여러 장 들고다닐 거 공간을 줄일 수 있어 편리함을 강조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IfGaCHhC2w|#]], [[https://www.youtube.com/watch?v=KJqBkCx9zeQ|#]] 국내 은행 및 사설환전소에서는 시재를 구비하지 않아 그냥 구할 수 없다고 보면 되며, 심지어 대만 현지에서도 구경하기가 어렵다.[* 다만 이는 대만 현지인들이 2단위가 불편하다고 굳이 이걸로 받지를 않아서 그런 것으로, 엄연히 현재진행형으로 발행중인 현행권이기 때문에 현지 은행이나 우체국에 가서 바꿔달라고 부탁하면 잘만 바꿔준다. 관광객이면 이런 곳에 갈 일이 거의 없다보니 희귀하게 느껴질 뿐 구하려 한다면 구하는거 자체는 쉽다보니 희소성은 떨어지는 편. 그 외에도 '''[[중정기념당]] 구내 우체국'''에서도 장제스가 그려진 기념품 목적을 겸해 200달러권 보유량이 많은 편이다. 총통부 구내 우체국에는 없으며 주변 은행으로 가라고 한다. 200달러권 갖고싶으면 중정기념당으로 가자. 2000달러 지폐의 경우는 불명] 200달러 지폐의 경우 첫 발행 당시 [[천수이볜]] 정권 시절이었기에 장제스 격하 운동의 일환으로 의도적으로 발행을 적게 한 것도 있다. * 500달러 및 1,000달러 지폐는 홀로그램이 있는 권종만 통용이 가능하니 주의. 홀로그램이 없는 구권은 2007년 8월부터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현행 신권으로 교환은 가능한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 * 타이완 은행권은 현재 사용할 수 없지만 타이완 은행에 가면 현 대만 달러 화폐(중화민국 중앙은행권)로 바꿔준다. * 지폐에 나오는 동물들 서식처의 해발 고도는 액면과 관련 있다. 사슴은 해발 500m 정도, 꿩은 1,000m 정도, 포모사산천어는 해발 2,000m 정도의 냇물에서 산다고 한다. * 위조방지장치 중 하나인 미세문자로 THE REPUBLIC OF CHINA가 여러 차례 반복되어 나와 있다. * [[워터마크]]는 각 권종당 뒷면에 그려진 식물이 들어가 있다. === 동전 === ½달러(50센트) 및 1, 5, 10, 20, 50달러가 있으며 그 이하(1,2,5,10,20 센트)는 발행한 적이 없다. 이 중에서 ½(0.5달러), 20달러짜리는 거의 쓰이질 않아 사실상 1과 5 시스템이다. 발행 연도는 민국 연호를 사용하지만 20달러[* 홀로그램으로 표기해두었으며, 보는 각도를 기울이거나 빛에 비추어야만 보인다.]와 50달러 동전은 서기를 병기한다. 1, 5, 10은 1981년 이후에 나온 동전만이 통용되며, 20은 2001년 이후, 50은 2002년 이후 나온 동전만이 통용된다. ||<:>액면||<:>사진||<:>직경||<:>앞면||<:>뒷면|| || NT$50 || [[파일:伍拾圓.gif|width=100%]] || 28mm || [[쑨원]] || 액면 || || NT$20 || [[파일:貳拾圓.jpg|width=100%]] || 26.85mm || [[모나 루다오]] || 타오족[* [[대만 원주민]] 중 하나.]의 전통 선박 || ||<|2> NT$10 || [[파일:拾圓.gif|width=100%]][* 신형. 현행 동전 중 유일하게 연도 표기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되어 있다.] ||<|2> 26mm || [[쑨원]] ||<|5> 액면 || || [[파일:拾圓.jpg|width=100%]][* 구형. 위조 동전이 많아서 신형을 발행했고 점차 유통량이 줄고 있다.] ||<|3> [[장제스]] || || NT$5 || [[파일:伍圓.jpg|width=100%]] || 22mm || || NT$1 || [[파일:壹圓.jpg|width=100%]] || 20mm || || NT$½[* 한국의 [[일원화|1원 주화]] 및 [[오원화|5원 주화]]와 완전히 같은 포지션. 현재도 발행은 하고 있지만 유통 목적이 아닌 [[민트세트]]용이며, 수집가들 이외에는 사실상 볼 일이 아예 없다고 보면 된다.] || [[파일:半圓.jpg|width=100%]] || 18mm || [[매화]] || 아래는 2001년 이전까지 발행된 50달러 동전이며, 현지에서는 유통 정지되어 사용할 수 없다. 만약 갖고 있다면 현지의 [[타이완 은행]]에서 교환은 가능하나 절차가 복잡하며, 두 시리즈 모두 위조로 골머리를 앓아서 '''위조여부를 확인한 후에 교환해준다.''' ||<:>액면||<:>사진||<:>직경||<:>도안||<:>발행기간|| ||<|2> NT$50 || [[파일:伍拾圓(1).jpg|width=100%]] || 24mm || [[매화]] || 1992년 ~ 1995년 || || [[파일:伍拾圓(2).jpg|width=100%]] || 28mm || [[총통부(대만)|총통부]] || 1996년 ~ 2001년 || == 이야깃거리 == * 1961년까지의 신 대만 달러는 드물게 '''세로''' 도안의 지폐였다. [[https://zh.m.wikipedia.org/wiki/第一套直式新臺幣|중국어 위키백과 1949년 발행 신 대만 달러 항목]] 세로 도안의 지폐는 [[스위스 프랑]] 등 몇 있지만, 이들은 비교적 최근에 들어서 세로 도안이 된 것이고 옛날에 세로 도안이었다가 가로 도안으로 바뀐 경우는 매우 드물다. * 200달러에 [[장제스]]가 들어간 데에 대해 [[음모론]]이 존재한다. 현행권에 들어갈 인물이 결정된 건 2001년으로 당시 [[민주진보당]]의 [[천수이볜]]이 집권하고 있었는데, 민주진보당 등의 [[범록연맹]]에서 싫어하는 [[장제스]]를 빼버리고 싶지만[* 2001년에 실제로 [[http://www.taipeitimes.com/News/local/archives/2001/02/17/74035|민주진보당에서 장제스를 지폐에 넣는 것에 대한 반발이 있었다.]]] [[중국 국민당]]을 비롯한 [[범람연맹]]의 반발을 고려해 잘 안 쓰일 것으로 보이는 200달러에 넣었다는 것. 실제로 200달러는 잘 쓰이지 않으니 음모론이 사실이라면 목적이 달성된 셈이다.[* 현행권 이전의 지폐에서는 온통 장제스 아니면 쑨원 천지였다. 지금은 많이 줄어든 것이다.] 그 외에도 강경한 대만 독립파에서는 [[쑨원]]이 지폐에 들어간 것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사실 500, 1000 지폐에 나오는 '평범한 인물들'을 제외하고 지폐에 나오는 인물은 쑨원, 장제스 두 명이 전부이며, 1, 5달러 동전은 현재까지도 장제스가 나오고 10달러 동전은 2010년까지 장제스가, 2011년부터는 쑨원이 나온다. 그 밖에 [[장징궈]]와 장웨이수이[* [[대만일치시기]] 때 대만의 의사이자 항일 운동가.]가 나온 10달러 기념주화(워낙에 발행량이 많아서 액면가 가치밖에 없다.)도 있다. * 초판 1,000달러 지폐 도안에는 중대한 오류가 하나 있었는데, 아이들이 만지고 있는 [[지구]]가 '''좌우반전'''되어있다는 것. [[한국]]이 중국의 왼쪽(서쪽)에 있다. 2004년판에서 수정되었다. * 1,000달러 지폐를 대만에선 四個小孩(네명의 아이)라고 빗대어 표현하는데 실은 5명이다. 빛을 등지고 비춰보면 워터마크에 검은 아이 한명이 보인다. 이 문서에 있는 1,000달러 지폐에도 살짝 보이는데, 가장 오른쪽에서 현미경을 들여다 보는 모습이다. 이 현미경을 보는 아이를 두고 대만 현지에서는 '''[[귀신]]'''이라는 드립이 유행하기도 했다. 지금도 대만 현지에서 간간히 귀신돈 드립을 치는 사람이 나오는 중이다. * 위조 동전이 의외로 많은 편이다. 액면가가 2천원에 달하는 50달러 동전은 위조방지장치가 철저함에도 적잖은 양이 위조되었다. 1차 디자인부터 테두리에 톱니와 문구를 함께 새겨놓았고, 2차는 바이메탈 주화였으며 3차는 일본의 [[500엔 주화]]처럼 [[홀로그램]]까지 삽입하였다. 그러나 이미 위조 문제로 2번이나 디자인을 개정했음에도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이전 발행분 50달러 동전은 따라서 현재 통용되지 않는다. 환율상 400~450원 정도 하는 10달러도 절찬리에 위조해서 위조방지장치를 강화했다. 대부분이 [[대륙의 기상|옆동네 대륙산]]이라고 하며 중국의 [[삼합회]]가 위조 동전을 만들어서 대만쪽 지부를 통해 암암리에 유통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자국어로만 국호와 액면을 표기한 통화이다. 이는 [[북한 원]], [[몽골 투그릭]]도 동일하다. 한가지 다른점은 대만 달러와 몽골 투그릭의 경우 일련번호가 알파벳(AA000000AA)으로 되어 있다면 북한 원 화폐만 한글 자음(ㄱㄴ000000)으로 되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