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당 사키가케]]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0C8, #F8E018)" [[일본/정당|{{{#FFF '''일본의 보수·자유주의 정당'''}}}]]}}}|| ||<|2> [[자유민주당(일본)|{{{#3CA324 자유민주당}}}]] ||<|3> {{{+1 →}}} ||<|3> {{{#fff '''신당 사키가케'''}}} ||<|3> {{{+1 →}}} || [[민주당(일본 1996년)|{{{#DA2128 구 민주당}}}]][br],,{{{#DA2128 (분당)}}},, || ||<|3> [[자유민주당(일본)|{{{#3CA324 자유민주당}}}]][br],,{{{#3CA324 (개별 합류)}}},, || || [[일본신당|{{{#037766 일본신당}}}]][br],,{{{#037766 (일부[* [[마에하라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 [[아라이 사토시]], 타카미 유이치 4인이 결성한 회파 '민주의 바람(民主の風)' 및 [[오자와 사키히토]], 이가라시 후미히코, 나카지마 아키오 3인이 결성한 회파 '그룹 아오쿠모(グループ青雲)'가 참가했고, 이 외에도 [[이시이 코키]] 의원도 개별 입당했다.])}}},, || ||<-3><:>[[파일:新党さきがけ.png|width=70%]]|| ||<-3> {{{+1 {{{#ffffff '''[ruby(新党さきがけ,ruby=しんとうさきがけ)] | 신당 사키가케'''}}}}}} || ||<-2><:>'''영문 명칭'''||New Party Sakigake: '''NPS'''|| ||<-2><:>'''약칭'''||さきがけ(사키가케), NPS|| ||<-2><:>'''한글 명칭'''||신당 사키가케|| ||<-2><:>'''창당일'''||[[1993년]] [[6월 21일]]|| ||<-2><:>'''당명 변경'''||[[2002년]] [[1월 16일]] ,,(미도리의 회의),,|| ||<-2><:>'''전신'''||[[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일부)|| ||<-2><:>'''분당해 나간 정당'''||[[민주당(일본 1996년)|민주당]] (일부)|| ||<-2><:>'''이념'''||[[보수자유주의]][br][[환경주의]]|| ||<-2><:>'''대표'''||나카무라 아츠오 (中村敦夫)|| ||<-2><:>'''간사장'''||구로이와 치즈코[* [[구로이와 다카히로]] 전 의원의 어머니로 참의원 의원을 역임하였으며 남작가문 출신이다.] (黒岩秩子)||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ly1506210001-f1.jpg|width=100%]]}}} || [[1988년]]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의 일부 의원들이 결성한 "유토피아 정치 연구회"를 모체로 하는 일본의 정당으로 [[1993년]]에 창당했으며 [[2002년]]까지 존속하였으나, 의원들중 대부분은 [[1996년]]에 [[민주당(일본 1996년)|민주당]]으로 이적하거나 자민당에 복당하였고, 일부는 미도리의 회의라는 당명으로 바꾸면서 해산되었다. 신당 사키가케는 훗날 총리가 되는 [[하토야마 유키오]]와 [[간 나오토]]를 배출시킨 정당이고 이 외에도 [[에다노 유키오]], [[마에하라 세이지]], [[겐바 고이치로]] 등 훗날 유명해지는 야권 정치인들을 배출시켰다. 번역이 어려운 사키가게(さきがけ/先駈け/魁)는 선구자 할 때 그 선구라는 뜻이지만, 수괴 할 때 괴(魁)의 훈독음도 동일하여 정당 로고도 魁를 기반으로 했다.[* 해당 한자에는 우두머리라는 뜻도 있으므로 '선구자'와도 어느 정도 통하는 면은 있다.] 일본어상의 상징성이라 '괴'나 '선구'라고 직역하기 어렵고, 1등정당, 선도정당이란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 상세 == [include(틀:일본의 자유주의 정당(호소카와 내각-노다 내각))] === 창당 === [[1993년]] [[6월 21일]]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의 불신임안이 가결된 것을 계기로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의 연구회인 "유토피아 정치 연구회" 소속 중의원 의원 10명이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을 탈당하여 신당 사키가케를 결성한 것이 그 시작이었다. 창당 한 달 후 [[7월 18일]] 열린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13석을 획득했다. 다음 날 19일 [[일본신당]]과 함께 중의원 회파 "사키가케·일본신당"을 결성했다. === 연정 참여 === [[8월 9일]] [[호소카와 내각]]의 발족으로 [[일본신당]]을 포함한 7당 연립 내각에 참여하였다.[* 참고로 호소카와 내각에서 관방장관을 맡았던 [[다케무라 마사요시]]였다.] [[1994년]] [[4월 8일]] [[호소카와 모리히로]]가 총리 사임을 표명했다. 그에 따라 [[일본신당]]이 중의원 회파에서 이탈했다. 15일 차기 내각에서 협력할 것을 표명했다. 25일 [[호소카와 내각]]이 총사퇴하고 28일 차기 내각인 [[하타 내각]]이 발족되었다. [[6월 25일]] [[하타 내각]]이 총사퇴하고 30일 자민·사회·사키가케 연립 내각인 [[무라야마 내각]]이 발족되었다. 여기서 다케무라 마사요시, 이데 쇼이치 2명이 각각 내각관방장관, 후생대신으로 입각하였다. [[7월 5일]] 중의원 회파명을 "신당 사키가케"로 개칭하였다. [[1995년]] [[4월]] [[통일지방선거|제13회 통일지방선거]]에서는 [[1995년 일본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내각관방|내각관방장관]] 등을 역임한 이시하라 노부오를 지지하였으나 패배하였고 홋카이도지사 선거에서는 [[일본사회당]]에서 제명된 이토 히데코를 지지하였으나 홋카이도부지사에게 패배하였다. 이 외에도 도도부현 의회에서는 9석, 시구정촌 의회에서는 단 3석을 획득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7월 23일]]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3석을 차지하며 지속적인 저조한 의석수를 보였다. 한편 [[8월 8일]] [[무라야마 개조내각]]이 발족하였다. [[1996년]] [[제1차 하시모토 내각]]이 발족하였다. [[8월 28일]] [[사회민주당(일본)|사회민주당]]의 초대 당수가 된 [[무라야마 도미이치]]가 신당 사키가케와의 신당합당을 모색했지만 [[하토야마 유키오]] 등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9월 28일]]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마에하라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 [[겐바 고이치로]], [[이시이 코키]] 등이 탈당하여 [[민주당(일본 1996년)|민주당]]을 창당하였다. [[10월 20일]]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단 2석을 획득하여 당시 대표였던 이데 쇼이치(井出 正一)[* 현 [[나가노 3구]] 의원 이데 요세이의 큰아버지, [[무라야마 내각]]에서 제77대 후생대신직을 지냈다.]가 사임을 표명했다. 22일 이데 대표의 사임 뒤 새 대표인 도모토 아키코 의원은 차기 내각과의 협력을 결정했다. [[1998년]] [[5월 31일]] 제1차 당대회가 개최되어 초대 대표였던 [[다케무라 마사요시]]가 새 대표로 취임하였으며 [[6월]]에는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과의 연립 내각을 종료시켰다. 그리고 [[녹색당]]으로서의 재출발을 표명했다. === 연정 참여 이후 === [[7월]]에 열린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당선자를 배출시키지 못했다. [[10월 20일]] 당명을 "사키가케"로 개칭하였다. [[2000년]] [[6월 25일]]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중의원 의원 2명이 모두 낙선하였지만 참의원 의원 1명(나카무라 아츠오(中村 敦夫))이 복당하여 겨우 법령상 정당으로 존속하게 된다. 그리고 나카무라 의원은 [[7월 3일]]에 새 대표로 취임했다. [[2001년]] [[3월 10일]] 당의 유일한 지방 조직이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에 합병되었다. [[7월 29일]] 법령상 정당 조건을 잃어 정치 단체로 전락하였다.[[https://www.soumu.go.jp/senkyo/seiji_s/data_seitou/2001/0918.html|#]] === 당명 변경 === [[2002년]] [[1월 16일]] 당명을 "미도리의 회의"로 변경하면서 해산되었다.[* 이후 미도리의 테이블, 미도리의 미래 등의 당명 변경을 거쳐서 오늘날의 [[녹색당 그린스 재팬]]으로 계보가 이어진다.] == 역대 선거 결과 ==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의석 증감은 직전회차 선거 의석 수와의 비교임. ||<|2> '''{{{#ffffff 연도(회차)}}}''' ||<-2><|2> '''{{{#ffffff 후보자}}}''' ||<|2> '''{{{#ffffff 당선자 [증감]}}}'''[* 비개선의석 포함] ||<-2> '''{{{#ffffff 정당투표}}}''' || || '''{{{#ffffff 득표수}}}''' || '''{{{#ffffff 득표율}}}''' ||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3(40회)]] ||<-2> 16 || 13 [{{{#red,#ff0000 ▲3}}}] || 1,658,098 || 2.64%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41회)]] ||<-2> 15 || 2 [{{{#blue,#0000ff ▼7}}}] || 1,309,739 || 2.34%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42회)]] ||<-2> 0 || - [{{{#blue,#0000ff ▼2}}}] || || || == 신당 사키가케 출신 정치인 == [include(틀:마에하라 세이지)] [include(틀:에다노 유키오)] * '''[[하토야마 유키오]][*A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 출신] (내각총리대신)''' * '''[[간 나오토]][* [[사회민주연합]] 출신] (내각총리대신, 재무대신)''' * '''[[에다노 유키오]][*B [[일본신당]] 출신] (내각관방장관, 외무대신, 경제산업대신)''' * '''[[마에하라 세이지]][*B] (외무대신, 국토교통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겐바 고이치로]][*A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 출신] (외무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도모토 아키코]][* [[일본사회당(1945년)|일본사회당]] 출신] (치바현지사)''' * [[아라이 사토시]]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오자와 사키히토]] (환경대신) * [[이시이 코키]] * [[다나카 겐(1966)|다나카 겐]] (에도가와구의원) * [[가와우치 히로시]] (중의원 의원) * [[곤도 쇼이치]] * [[이와야 다케시]] (방위대신) * [[혼다 히라나오]] * [[아즈미 준]] (재무대신) * [[나가츠마 아키라]] (후생노동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