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신구대학교 UI.svg|width=25]] '''신구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 [include(틀:경기도의 전문대학)] [include(틀:성남시의 대학)] }}} || ||<-3> {{{+1 {{{#ffffff '''신구대학교'''}}}}}} [br] {{{#ffffff '''新丘大學校'''}}} [br] {{{#ffffff '''Shingu College'''}}} || ||<-3> [[파일:신구대학교 로고.svg|height=90]] || ||<-2> {{{#ffffff '''건학이념'''}}} || '''성실, 근면, 정직''' || ||<|3> {{{#ffffff '''상징'''}}} || {{{#ffffff '''동물'''}}} || 백마 || || {{{#ffffff '''교목'''}}} || 잣나무 || || {{{#ffffff '''교화'''}}} || 철쭉 || ||<-2> {{{#ffffff '''국가'''}}} ||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2> {{{#ffffff '''분류'''}}} || 2/3년제 [[사립]] [[전문대학]][* 학사학위과정 개설] || ||<-2> {{{#ffffff '''개교'''}}} || [[1973년]] [[10월 20일]] || ||<-2> {{{#ffffff '''설립자'''}}} || [[이종익]] || ||<-2> {{{#ffffff '''총장'''}}} || 이숭겸 || ||<-2> {{{#ffffff '''재단 및 법인'''}}} || 신구학원 || ||<-2> {{{#ffffff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광명로(성남)|광명로]] 377 || ||<-2> {{{#ffffff '''재학생'''}}} || 7,587명^^(2022년 4월 1일)^^ || ||<|2> {{{#ffffff '''교직원'''}}} || {{{#ffffff '''교원'''}}} || 510명^^(2019년 4월 1일)^^ || || {{{#ffffff '''직원'''}}} || 63명^^(2019년 4월 1일)^^ || ||<-2> {{{#ffffff '''대학기본역량진단'''}}} ||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 ||<-2> {{{#ffffff '''홈페이지'''}}} || [[https://www.shingu.ac.kr/|[[파일:신구대학교 UI.svg|width=25]]]] || ||<-2> {{{#white '''본교'''}}} ||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광명로 377, 너비=100%, 높이=1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DigABhFrLDw, width=720, height=480)]}}} || || {{{#ffffff '''신구대학교 공식 홍보영상'''}}}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성남)|금광동]]에 위치한 [[전문대학]]이다. 신구대학교는 [[1973년]] [[7월]] 학교법인 신구학원이 설립한 신구산업전문학교가 전신이다. [[1974년]] [[3월]] 조경원예과를 최초로 만들고,물리치료과, 방사선과, 치기공과를 증설하고, 교명을 신구전문학교로 바꾸었다.1975년 3월 조경원예과가 조경과와 원예과로 분리되었다. [[1979년]] [[1월]] 신구실업전문대학으로 개편하고, [[1985년]] [[3월]] 신구전문대학을 거쳐 [[1998년]] [[5월]] 신구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2011년]] [[12월]] 지금의 신구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보건 계열과 수목원을 가지고 있는 조경학과 계열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 계열 및 학과 == 6개의 [[학부]]가 있다. 별도의 표기가 없으면 2년제. [[전공심화과정]] 학사 학위 취득이 가능한 과도 있다. 오랜 전통에 따라 전국 최초 물리치료 학과와 수도권 최초 방사선학과 필두로 보건계열과 [[유아교육과]] 및 환경조경과가 강세이고 최근엔 [[항공운항과|항공서비스과]]가 [[항공사]]에 취업하는 졸업생을 내기 시작하면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분당신도시]], [[성남]] 쪽의 [[유치원]]에선 신구대 유아교육과를 인정해 주고 있고 유치원장 중에서 이 학교 출신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하는 전국고등교육기관 취업률을 보면 유아교육과가 가끔 전국 1위를 차지하기도 하고 상위권에 주로 포진하고 있다. 또한 성남시 대부분의 유초중고는 신구대학교 식물원을 방문하는 게 연례행사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를 조성하는 관련학과인 환경조경과는 수도권을 넘어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입학을 할만큼 많이 알려져 있다. === 산업디자인학부 === * 영상디자인과(3년제) * 시각디자인과(3년제) * 패션디자인과(3년제) * e-스포츠과(2023년 신설) === 생명환경학부 === * 환경조경과(3년제) * 가드닝전공(3년제) * 플로리스트전공 * 정원문화산업전공(야간)(2023년 신설) * 애완동물과 * 바이오생명과학과(3년제) * [[유아교육학과|유아교육과]](3년제) * [[식품영양학과]](3년제) * 호텔외식베이커리과 === 정보미디어학부 === * 사진영상미디어과(3년제) * 그래픽커뮤니케이션과 * IT소프트웨어과(3년제) * AI소프트웨어과(3년제) * 정보통신보안과 * 미디어콘텐츠과(3년제) * [[https://namu.wiki/w/%EC%82%AC%EC%9A%A9%EC%9E%90:present47|VR게임콘텐츠과(3년제)]] === 비즈니스실무학부 === * 마케팅학과 * 세무회계과 * 호텔관광과(3년제) * [[항공운항과|항공서비스과]](3년제) * [[사회복지학과|사회복지과]](3년제) * 보육복지과(3년제) === 보건복지학부 === * [[물리치료학과|물리치료학과]](3년제) * 방사선학과(3년제) * 치기공학과(3년제) * 치위생학과(3년제) * 뷰티케어과 * 보건의료행정학과(3년제) * 스포츠재활과(2023년 신설) === 공간시스템학부 === * 스마트건설정보과 * 지적공간정보학과 * 실내건축과(3년제) * 건축학과(3년제) === 자율전공학과 === == [[전공심화과정|학사학위과정]] == * 토목과 * 패션디자인학과 * 환경조경학과 * 원예디자인학과 * 바이오생명과학과 * 유아교육학과 * 식품영양학과 * 사진영상미디어학과 * IT미디어학과 * 미디어콘텐츠학과 * 호텔관광학과 * 항공서비스학과 * 물리치료학과 * 방사선학과 * 치기공학과 * 치위생학과 * 사회복지학과 * 보육복지학과 * 공간디자인학과 * 그래픽커뮤니케이션학과 * 지적공간정보학과 == 부속 및 부설기관 == 부속 및 부설기관을 보면 전문대 답지않게 4년제 못지 않다. 부속[[유치원]], 학술정보원, 우촌[[박물관]], [[평생교육원]], 신문방송국, 글로벌센터, 부속[[치과]]의원, [[신구대학교식물원]], 창업보육센터 등이 있다. 특히 박물관과 부속치과, 신구대학교식물원 등이 유명하다. 특히 [[전문대]]로서는 드물게 우촌학사라는 신축 [[기숙사]]가 있고 그 외 별도로 남,여 구분된 기숙사가 있다. 캠퍼스 풍경은 언덕이 등산 수준으로 매우 심하다는 것만 빼면[*2 운동삼아 다닐만 하다.] 부지가 작은 편에도 있는건 다 있다는 평가. 특히 기숙사가 있다는 점이 멀리 타 지방에 사는 학생들의 선택에 영향을 주고 있다. == 백마체전 == 신구대학교는 매년 5월마다 백마체전이라는 [[체육대회]]를 한다. 그런데 이 체육대회 참가가 학과마다 차이가 있으나 반강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참가하지 않을 경우 결석 처리와 같은 불이익이 있을 수도 있다고 한다. 그 외 10월에는 축제인 백마대동제가 있고 그 밖에 대학EXPO로는 최초로 개최한 진로탐색 기회제공 목적의 신구 EXPO가 있는데 보통 백마대동제와 신구 EXPO가 같은 기간에 열린다. == 학교 주변 == 대학 주변이라 음식점, 카페, 호프집 등이 많다. 학교에서 제일 가까운 지하철역은 8호선 [[단대오거리역]]으로, 약간의 경사이므로 걸어서도 15분 정도면 학교까지 오갈 수 있다. 버스도 많이 다니고, 학교 셔틀버스도 있으므로,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셔틀버스는 정문과 단대오거리역을 오가는 노선이 있고 아침(등교)시간에만 운영하는 [[남한산성입구역]]에서 후문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있다. --후문에서는 8호선 남한산성입구역이 더 가깝다고..-- --등산해야 하는 것은 덤-- --(2022년 8월 기준 남한산성입구역 노선은 폐선되었다)-- 2023년 3월 기준 남한산성입구역 노선이 다시 운행되고 있다. 인근에는 하원초등학교, [[숭신여자중학교]], [[숭신여자고등학교]] 등의 학교들이 있다. 조금 더 떨어진 곳에는 대원중학교와 금광중학교가 있다. == 주변 교통편 == === 지하철 === * [[서울 지하철 8호선]] - [[단대오거리역]](신구대학교) * [[서울 지하철 8호선]] - [[남한산성입구역]] 두 역 모두 도보로 20~25분 걸리니 시내버스나 학교 셔틀버스를[* 단대오거리역과 남한산성입구역 노선만 있으며 장거리 통학버스는 없다.]타는 것이 낫다. [[분당구|분당]]에서 수인분당선을 타고 올 때 환승하기 귀찮다면 [[모란역]]에 내려서 시내버스로 환승하면 된다. 참고로 [[분당구|분당]]에서 신구대까지는 거리가 가까운 편은 아니기 때문에 분당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지하철 이용이 권장된다. === 버스 === * [[성남 버스 3-1]] * [[경기광주 버스 17]] * [[경기광주 버스 17-1]] * [[성남 버스 33]] * [[성남 버스 33-1]] * [[성남 버스 55]] * [[성남 버스 57]] * [[성남 버스 60]] * [[성남 버스 87]] * [[성남 버스 100]] * [[성남 버스 340]] * [[성남 버스 382]] * [[성남 버스 7(영상교통)|성남 버스 7]] * [[성남 버스 720-1A]] 광역버스나 서울 시내버스([[서울 버스 4425|4425]], [[서울 버스 303|303]], [[서울 버스 452|452]]번이 해당)를 타고 온다면 단대오거리역에 내려서 시내버스로 환승하거나 학교 셔틀버스를 타면 된다. == 출신 인물 == * [[김보성]]: 토목학과 졸업 * [[이나영]]: 경영학과 졸업 * [[유현서]]: 항공서비스학과 재학 * [[류시원]]: 산업디자인과 졸업[* 1998년에 이곳을 졸업한 후, 1999년에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 학사편입하여 졸업한 것이다.] * [[문지은]]: 의상디자인과 졸업 * [[민준기]]: 패션디자인과 중퇴 * [[김도연(배우)|김도연]]: 식품영양과 졸업 * [[김윤경(1976)|김윤경]][* [[옥중화]], 왕가네 식구들 등에 나온 배우다.]: 사진과 졸업 * [[MC신건]]: 시각디자인과 졸업 * 사진작가 최원석 * 이제규[* [[메타코미디클럽]] 소속 스탠드업 코미디언] * 스포츠트레이너 최주영: 물리치료학과 졸업.[* 1994년도부터 2012년도까지 [[대한축구협회]] 의무팀 팀장으로 있었다. 그 후 자신의 이름을 내건 스포츠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 [[딕헌터|신동훈]]: 사진영상학과 중퇴.[* [[쿠쿠크루]]의 前(전)멤버이고, 현재 [[딕헌터]]라는 이름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 활동하고 있다.] * [[신성은]] * [[최승준(정치인)|최승준]]: 강원도 정선군수 * [[안윤상]]: 지적정보학과 졸업 * [[가랏 혜수몬]] : 미디어콘텐츠과 * [[강철원(사육사)]] : 자원동물학 == 여담 == * 기존 로고는 사람 안에 '新丘'가 아니라 [[:파일:신구대학 구 로고.png|'大學'이라 써 있었다]]. 1980년대 신구전문대학 시절부터 써 오다가[[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0020300209212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0-02-03&officeId=00020&pageNo=12&printNo=21028&publishType=00020|#]], 신구대학에서 신구대학교로 교명을 바꾸던 2011년경 무렵에 로고도 변경되었다. * 로고가 [[거열형]]을 연상시킨다고 한다.[[https://www.facebook.com/sgtalk/posts/2281010841942820/|#]] * 학교 재단인 신구학원은 출판사 신구문화사를 운영 중이다. [[분류:신구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