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서)] [목차] == 개요 == 辛恭靖 생몰연도 불명 [[동진]]의 인물. 양주 농서군(隴西郡) 적도현(狄道縣) 출신. == 생애 == 젊어서부터 재기와 도량이 남들보다 뛰어나, 융안 연간(397년 ~ 401년)에 하남태수에 임명되어 낙양을 지켰다. 융안 3년(399년) 7월, 일찍이 낙양 경략을 꿈꾸던 [[후진(오호십육국시대)|후진]]의 문환제 [[요흥]]이 동생인 제공(齊公) 요숭(姚崇), 진동장군 양불숭(楊佛嵩)을 파견해 낙양을 공격해오자, 신공정은 성문을 굳게 닫고 농성하였다. 옹주자사 [[양전기]]는 후진의 침공 사실을 보고받고 [[북위]]에게 원군을 보내줄 것을 청하며, [[강족]]이 낙양을 얻느니 차라리 북위가 낙양을 가져갈 것을 권했다. 북위의 도무제 [[탁발규]]는 그 제안을 받아들이고 태위 목숭(穆崇)에게 60,000 기병을 주어 후진군을 몰아내게 했다. 융안 3년(399년) 10월, 신공정은 100여 일 동안 버텼으나, 북위의 구원군이 미처 이르기도 전에 패하고 낙양성은 후진군에게 넘어갔다. 문환제 요흥이 붙잡혀온 신공정을 향해 물었다. > "짐은 장차 그대에게 동남(東南)의 일을 맡기고자 한다. 그대의 생각은 어떠한가?" 이에 신공정이 얼굴에 노기를 가득 띄우고 답했다. > "나는 나라의 귀신이 될지언정 강적(羌賊)의 신하가 되지 않겠다." 요흥은 분노하여 그를 별실에 유폐시켰다. 원흥 원년(402년), [[환현]]이 후진에 사자를 보내 포로로 잡힌 신공정과 하담지(何澹之)의 신변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요흥은 하담지를 보내는 것만 승낙하고 신공정은 후진에 그대로 남게 했다. 이 소식을 들은 신공정이 감시자를 속이고 담을 넘어서 하담지와 동진의 사자를 따라 강동으로 도망쳐 오니, [[안제(동진)|안제 사마덕종]]이 이를 경사스럽게 여겼다. 환현은 표를 올려 신공정을 자의참군으로 삼고, 조정의 수장이 되어 국정을 이끌게 하였다. 그리고 얼마 뒤 병으로 사망하였다. [[분류:동진 및 오호십육국시대/인물]][[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