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흥시의 버스회사)] [include(틀:경원여객(안산) 계열사)] ||<-2><:> '''{{{+2 주식회사 시흥교통}}}'''[br]株式會社 始興交通[br]Siheung Transport Co., Ltd. || || '''설립일''' ||[[2003년]] [[11월 7일]] || ||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민충기 || || '''주요 주주''' ||'''민충기: 57.92%'''[br]이순옥: 17.54%[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중소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면허대수''' ||288대[* 맞춤형 버스 미포함] || || '''직원 수''' ||530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22억 3,295만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466억 4,006만 2,605원^^(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4억 1,384만 8,461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24억 4,158만 3,662원^^(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236억 1,740만 9,523원^^(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66억 8,911만 3,311원^^(2022년 기준)^^ || || '''부채비율''' ||39.51%^^(2022년 기준)^^ || || '''소재지''' ||'''본사''' - [[경기도]] [[시흥시]] 청룡저수지길 366 (방산동, [[방산공영차고지]])[br]'''포동영업소''' - [[경기도]] [[시흥시]] 신현로 181 (포동, [[포동공영차고지]]) || || '''별칭''' ||경제학[* 대표의 경제학 박사 경력을 빗댄 표현이다.] || || '''홈페이지''' ||[[http://www.shbus.net|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 시흥교통 홈페이지]][* 반월공단과 안산스마트허브, 시화공단과 시흥스마트허브. 기존명칭과 개정명칭 순으로 나열했다. 다만, 버스노선과 관련해서는 관련기관과 버스업체에서는 기존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위 지역을 언급할 때는 가급적 기존명칭으로만 표기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흥시]] [[시내버스]] [[버스 회사|회사]]로, 안산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의 계열사다. 본사는 방산동에 있다. 원래는 오이도에 있었다가 시기미상 포동으로 이전했고, 2021년 5월에 방산동으로 이전했다. 시흥교통의 대부분 노선들은 포동 차고지를 쓴다. 오이도차고지 소속 노선인 21번, 23번, 25번 등 여러 노선들도 방산차고지에 가끔 등장한다. 1960년대 서울특별시 시흥동을 본거지로 하는 시흥교통과는 관계없다. 이 회사는 1971년에 신도운수(현 [[범일운수]])에 인수 합병되어 사라졌다. == 연혁 == 1990년대 중후반에 경원여객 계열사로 설립됐다. 이때 당시에는 마을버스를 운행했으나, 2003년을 기해, 시흥교통의 모든 마을버스 노선을 전부 시내일반으로 전환했다. == 현황 == 유일한 [[시흥시]] [[버스 회사]]이지만 정작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안산시]]로 가는 노선이 아니면 배차간격이 30분을 넘어가는게 다반사고, 시흥에서 강남역으로 가는 [[직행좌석버스]] 3200, 3300, 3400은 차가 고장이라도 나면 배차가 완전히 맛이 간다.[* 최근에 증차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명목상으로만 배차 간격이 줄어들었지 체감 상의 배차 간격은 거의 40분에 달해서 이용객들의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게다가 이 노선에는 예비차도 없어서, 차고지 구석에 잠들어 있던 '''도시형버스 차량'''을 예비차로 굴린다.[[http://gall.dcinside.com/list.php?id=bus&no=99873|#1]][[http://gall.dcinside.com/list.php?id=bus&no=99230|#2]] [[http://gall.dcinside.com/list.php?id=bus&no=178401|#3]] 이외에도 [[서울 버스 6640|6640]] 단축과 관련해서 [[시흥 버스 520|대체노선]]을 신설하긴 하는데 정작 노선이 완벽한 대체를 못하는 등 이래저래 답답한 회사다.] 가장 큰 문제는 이 회사의 설립시기. 시흥군 시절은 그렇다 쳐도, 시로 승격되고 무려 '''11년'''이나 지나서 그것도 [[경원여객(안산)|별로 좋은 소리 못 듣는 회사]]의 계열사 형태로 설립됐는데 그 사이 수익을 내 줘야 할 주요 간선 노선들은 이웃 도시 업체들 손에 쥐여져 있던 상태라 시흥교통이 뭘 할 수가 없는 신세였다.[* 그나마 경원여객은 계열사라 나은 편이다.] 해봐야 500번 시리즈처럼 노선을 개설만 해 두고 남의 파이 야금야금 갉아먹는 정도가 전부.[* [[시흥 버스 510|510번]], [[시흥 버스 520|520번]]은 [[광명 버스 1|1번]], [[광명 버스 2|2번]]에게 계속 얻어터지다가 폐선됐고, [[시흥 버스 530|530번]]은 현재도 [[광명 버스 39|39번]], [[광명 버스 11-1|11-1번]]에게 두드려맞고 다닌다. 심지어 서울 구간도 11-1번, [[광명 버스 11-2|11-2번]]도 모자라 부천시 버스인 [[부천 버스 10|10번]], [[부천 버스 83|83번]], [[부천 버스 88|88번]]과 서울 버스들에게도 얻어터진다.][* 단적인 예로, 만약 시흥시 관내업체가 90년대 초중반에 일찌감치 설립되어 있었다면 [[광명 버스 1|화영운수 1번]]이 시흥으로 연장되지 않고 37번의 대체노선을 시흥 측 업체가 만들었을 수도 있다. [[광명 버스 1|1번]]이나 [[안산 버스 61|61번]] 같은 노선 두어개만 있었어도 시흥교통이 지금 이 지경은 아닐지도 모른다.] 다만 그렇다고 주요 간선 노선이 없는건 아니라서 [[시흥 버스 23|23번]]같은 경우는 배차간격이 미친듯이 짧긴 한데 정작 가장 중요한 서울 가는 노선들, 특히 광명을 거치는 노선들은 배차간격 20분이면 양호한 수준이다. 그나마 최근들어 56XX 시리즈들은 배차간격 10분 수준으로 양호해졌다. 이런 상황을 타파하려면 이웃 업체들의 몇배 정도로 적극적인 노선 발굴과 행정 협상 능력이 필요하지만 일단 위의 이유로 인해 기본적인 자금 확보가 안 되니 뭘 할 수가 없는 상황. 시흥교통의 [[http://m.culturein.co.kr/a.html?uid=8232&page=1&sc=&s_k=&s_t=|근무여건이 워낙 처참해]] 지금도 인력유출이 진행중이다.[* 링크된 기사에서 시흥교통 노동조합장의 발언으로는 경원여객보다도 임금이 50~60만원 낮다고 한다. 사람이 남아있을 수가 없는 구조다.] 시흥교통이 서울로 직접 나가는 노선에서조차 농어촌버스 수준의 배차간격을 유지하는 데는 이런 이유가 크게 작용한다. 배차를 늘리고 싶어도 기본적인 차량이나 인력 수급조차 힘들기 때문. 이런 회사를 딴에 관내 업체라고 어떻게든 안고 가자니 시흥시청도 오만 무리수를 두며 이웃 도시들과 시민들의 어그로를 끌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광명시청에게는 아주 찍힐대로 찍혔다는 소문이 업계 내에선 파다하다.[* [[시흥 버스 27|27번]], [[시흥 버스 5602|5602번]], [[시흥 버스 5604|5604번]]이 절묘하게 광명시를 빗겨나간다는 점에서 알 수 있지만, 광명시가 시흥교통에서 노선 신청하는 것을 전부 부동의 시키다보니 다른 지역의 자동차전용도로나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를 이용해서라도 광명시를 빗겨나가게끔 노선을 신청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시흥시의 진정한 버스 업체는 이 업체가 아니라 [[화영운수]]라는 웃픈 얘기도 있다. [[광명 버스 1|1번]]과 [[광명 버스 2|2번]], [[광명 버스 39|39번]]처럼 배차 간격이 준수한 업체들을 다름 아닌 타 도시의 업체가 굴려주니 이런 얘기가 나오는 셈.[* 심지어 화영운수 시흥시 진입 노선 중 가장 배차가 안 좋은 [[광명 버스 11-3|11-3번]]마저도 목감지구, 장곡동 수요와 서해선, 수인분당선 역 연계 수요를 늘려가면서 호평을 받고 있는 중. 30~60분 배차긴 한데 최소한 시흥교통처럼 막장으로 굴리진 않으니.] 그 이외에도 [[부천 버스 23-2|23-2번]], [[안양 버스 81|81번]]처럼 타 도시 업체가 실질적으로 좋은 배차로 운행 중인지라 시흥교통의 이미지가 더욱 구려진다.[* 다만 관외업체들이 굴리는 노선들은 대부분 간선 노선으로써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만 운행하는 점을 감안하긴 해야한다.] 시흥교통과 시흥시청의 이런 상황을 적나라하게 볼 수 있는 현장이 바로 [[배곧신도시]]다. 간척지에 개발된 신도시인 만큼 [[바다|기존 노선이란 게 있을 수가 없었고]], 시흥시 내 다른 지역과는 좀 다르게 여기는 시흥교통 버스가 주력이다. 그나마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는 서울 방향 광역버스 [[시흥 버스 3400|3400번]], [[시흥 버스 3500|3500번]]과 더불어 [[시흥 버스 23|23번]], [[시흥 버스 99-2|99-2번]] 등의 버스는 시흥시 치고는 꽤 괜찮은 운영을 보여주는 편이긴 하다. 다만 여기서도 [[시흥 버스 60|60번]]이나 [[시흥 버스 70|70번]][* 60번은 배곧신도시 북-중-남부를 잇는 내부 순환 노선이고 70번은 배곧 북부-중부를 거쳐 [[오이도역]], [[정왕역]]과 정왕본동을 잇는 역할을 하는데 60번은 배곧을 절대로 벗어나지 않으며 70번은 중복 노선이 너무 많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사이좋게 갖고 있는데다 배차까지 좋지 않다. 차라리 [[시흥 버스 63|63번]]에 배곧신도시 내부 순환 기능을 몰아주거나 노선 우회가 다소 있더라도 60번과 70번을 합쳐 전철역 연계를 잡는 수준의 개선이 필요하지 않나 싶은 정도.]같은 삽질을 보여주는 걸 보면 확실히 외적인 문제만 있는 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지어진 [[은계지구]]에서조차 시흥교통의 삽질이 여럿 드러나는데, 가령 이미 [[녹색교통]]이 운행 중인 [[시흥 버스 2|2번]] 마을버스 경로랑 엄청나게 겹치는 [[시흥 버스 15|15번]]을 신설하는가 하면, 폐선된 [[시흥 버스 520|520번]]의 대체 노선이랍시고 [[시흥 버스 27|27번]]을 은행 순환도로로 경유시키면서 운행 소요시간을 갉아먹는 짓을 자행한다.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은계지구를 운행하는 노선들의 대규모 감차는 덤이다. 2020년 11월에는 아예 [[시흥 버스 510|510번]]을 폐선시키고 [[시흥 버스 530|530번]] 노선에 인가대수를 전부 밀어넣었다. 하지만 증차 이후 530번의 배차간격이 개선됐다해도 평일 아침에만 15~20분 간격이지 이외 시간에는 20~30분이며 주말에는 30~40분 간격으로 다니고 있다. 이게 결코 짧은 배차는 아니지만 [[광명 버스 39|39번]]의 수요를 가져오는데에는 문제가 없는 배차이며 실제로도 39번의 수요가 많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39번도 기존 평일 10분 간격, 휴일 15~20분 간격으로 운행하던 멀쩡한 노선이 평일 25~30분, 휴일 35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전구간에 두세대만 운행하는 등 간격이 많이 길어졌다. 결국 이런 무리수는 오히려 매화동, 도창동, 과림동 교통을 불편하게하는 악수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이미 매화동과 과림동은 [[광명 버스 39|39번]]이 잘 다니고 있었지만 굳이 이 노선을 왜 신설하고 일부러 510번을 폐선시켜서 이 노선에 엄청나게 투자했는지 여러모로 의문을 많이 낳은 노선이다. 서울로 향하는 노선도 주로 [[구로디지털단지역]], [[영등포역]], [[사당역]], [[강남역]], [[교대역(서울)|교대역]] 등 서울의 서남부 지역만을 경유하며 [[강변역]]이나 [[잠실역]]같은 서울 동부 지역과 [[합정역]], [[홍대입구역]], [[서울역]]으로 가는 서울 서북부 노선은 지금까지 단 하나도 없다. 가뜩이나 배차 간격도 별로인데 서울 동부에서 시흥으로 오가는 사람들이 직행좌석버스를 타려고 지하철을 타고 또 환승을 해야하는 불편함과 배차를 놓쳤을 때의 타격이 매우 크다. 참고로 서울 동부 및 서북부행 버스노선이 없는 건 옆 동네인 [[안산시]]도 마찬가지.[* 안산의 경우 잠실로 가는 시외버스가 있다. 다만 안산, 시흥 쪽에서 잠실이라면 모를까 서울역행이 실현되기 어려운 것이 간선도로들이 심각한 교통체증으로 제 역할을 못하고 그렇다고 시내도로 경유로만 굴리기도 어려운 실정이라 기껏해야 여의도가 전부이다. 거기다 경기도 버스의 도심 진입을 저지하려는 서울시 입장상 신도림역 가는 버스도 가까스로 만들었다.] 여담으로 이 회사 민원게시판에도 [[태화상운(안산)|태화상운]] 민원이 올라오기도 했다. 2012년 11월 22일에 전국의 버스들이 파업을 하는 와중에도, 이 업체는 정상운행을 했다. 출범 초기에는 [[자일대우버스]]만 운용하다가 경원여객과의 [[차돌리기]] 및 자체 조달을 통해 [[현대자동차]]의 비중이 높아지더니 현재는 모든 [[자일대우버스]]가 [[현대자동차]]와 [[MAN]]으로 대차된 상태이다. G BUS 브랜드 적용하기 전까지는 서울 순환버스 도색, 서울, 인천 지선버스 도색을 하기도 했다. 일반좌석버스 도색은 경원여객과 일치했다. 전기버스는 [[시흥 버스 23|23번]], [[시흥 버스 63|63번]]에서 운행 중이다. 2021년 5월 10일부터 장현지구와 능곡지구를 운행하는 [[시흥 버스 8|8번]], [[시흥 버스 8-1|8-1번]] 마을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2022년 8월 17일부터 [[녹색교통]]에서 운행 중인 [[시흥 버스 5|5번]] 노선을 공동 배차한다. == 면허 체계 == * 경기 '''75'''바 '''1011'''호 ~ '''1099'''호[* 1100호 이후는 관광버스로 배정한다.], '''3000'''호 ~ '''3246'''호[* 3066호는 관광 버스 회사가 사용했다가 말소됐다.] * 경기 '''73'''바 '''1072''', '''1130''', '''1210''', '''1211''', '''1414''' ~ '''1416''', '''1458''', '''1622''', '''1623'''호[* 경원여객 출신 32번 차량의 면허이다. 시흥교통 면허로 전환하지 않고 그대로 사명만 바꿨다.] == 운행 중인 노선 == === 영업소 === || 영업소 || 주소 || 비고 || 가스충전소 유무 || || [[방산공영차고지|방산]] || [[경기도]] [[시흥시]] 청룡저수지길 366 (방산동, 방산공영차고지) || 본사 소재지 || O || || [[포동공영차고지|포동]] || [[경기도]] [[시흥시]] 신현로 181 (포동, 포동공영차고지) || || X || || [[능곡공영차고지|능곡]] || [[경기도]] [[시흥시]] [[시흥대로(시흥)|시흥대로]] 260 (능곡동, 능곡공영차고지) || 주박 용도로만 사용.[* 따라서 능곡 소속 노선 승무사원은 출근 전 방산에 들러 돈통만 챙겨 능곡으로 출근해서 운행했다 운행종료 후 다시 방산으로 들러 돈통 정리를 한 뒤에 다시 능곡으로 가서 차량을 주박시키고 퇴근한다.] || X || || 오이도 ||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81-30 (정왕동)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과 함께 사용 || O || || 정왕 || [[경기도]] [[시흥시]] 희망공원로 276 (정왕동) || [[써클라인]]과 함께 사용 || O || || 안양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109 (호계동)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과 함께 사용 || X || === 마을버스 === ||<:><#f99d1c> {{{#ffffff 번호}}} ||<:><#f99d1c> {{{#ffffff 기점}}} ||<:><#f99d1c> {{{#ffffff 주요 경유지}}} ||<:><#f99d1c> {{{#ffffff 종점}}} ||<:><#f99d1c> {{{#ffffff 배차 간격}}} || || [[시흥 버스 5|5]][* [[녹색교통]]과 공동배차.] || 갯골생태공원 || 장곡동ㆍ장현지구ㆍ능곡지구ㆍ[[시흥시청역]]ㆍ연꽃테마파크 || 성원아파트정문 || 20분 || || [[시흥 버스 8|8]] || 능곡차고지 || 능곡초교ㆍ시흥능곡역ㆍ장현지구ㆍ시흥시청 || 시흥시청역 || 15~20분 || || [[시흥 버스 8-1|8-1]] || 능곡차고지 || 능곡어울림센터ㆍ시흥능곡역ㆍ장현지구ㆍ시흥시청 || 시흥시청역 || 20~60분 || === 일반 시내버스 === ||<:><#33CC99> {{{#ffffff 번호}}} ||<:><#33CC99> {{{#ffffff 기점}}} ||<:><#33CC99> {{{#ffffff 주요 경유지}}} ||<:><#33CC99> {{{#ffffff 종점}}} ||<:><#33CC99> {{{#ffffff 배차 간격}}} || || [[시흥 버스 7|7]] || 시흥푸르지오6차 || 정왕역환승센터ㆍ정왕역 || 시흥푸르지오6차 || 15~20분 || || [[시흥 버스 12|12]] || 삼미시장 || 은행동ㆍ역곡역ㆍ소사역ㆍ부천역ㆍ춘의역ㆍOBS || 김포국제공항 || 20~50분 || || [[시흥 버스 13|13]] || 포동 || 소래중고교ㆍ신천동ㆍ롯데마트 시흥점 || 은행동 || 15~25분 || || [[시흥 버스 16|16]] || 은계지구 || 소래중고교ㆍ신천역ㆍ삼미시장ㆍ장수동 || 인천대공원역 || 10~15분 || || [[시흥 버스 20-1|20-1]] || 정왕역 || 시화이마트[*주의 이마트 앞 정왕대로 환승센터에 정차하는 다른 노선들과 달리 마유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반월공단 방면은 신한은행 시화지점 건너편에, 정왕역 방면은 굿모닝미항외과 앞에 정류장이 있다.]ㆍ시화유통상가ㆍ도금단지ㆍ일성신약ㆍ안산역ㆍ선부고ㆍ기사촌ㆍ21세기병원ㆍ월피동 || 부곡동 || 10~20분 || || [[시흥 버스 21|21]] || 오이도해양단지 || 시화염색단지ㆍ시화유통상가ㆍ한국공대ㆍ안산역ㆍ군자주공9단지ㆍ21세기병원ㆍ월피동ㆍ안산공고ㆍ이익선생묘ㆍ상록수역 || 본오태영A || 15~25분 || || [[시흥 버스 23|23]] || 월곶역 || 신세계프리미엄아울렛ㆍ배곧고ㆍ오이도역ㆍ시화병원ㆍ시화이마트ㆍ경기스마트고ㆍ안산역ㆍ단원구청ㆍ시외버스터미널ㆍ한대앞역ㆍ일동우체국ㆍ상록수역ㆍ신안코아 || 본오동종점 || 10~15분 || || [[시흥 버스 25|25]] || 오이도해양단지 || 시화환경사업소ㆍ홈플러스스페셜ㆍ군서중 || 정왕역 || 40~60분 || || [[시흥 버스 26|26]] || 시화유통상가 || 시화이마트ㆍ정왕역ㆍ오이도역ㆍ장곡고ㆍ시흥시청ㆍ금이동ㆍ과림동ㆍ삼미시장 || 신천동 || 30~40분 || || [[시흥 버스 26-1|26-1]] || 능곡동 || 시흥시청ㆍ장곡고ㆍ월곶사거리ㆍ오이도역ㆍ정왕역ㆍ시화이마트 || 시흥버스터미널 || 15~25분 || || [[시흥 버스 27|27]] || 삼미시장 || 신천역ㆍ은행단지ㆍ은계자이ㆍ은계아란트리ㆍ은계브리즈힐ㆍ시흥대야역ㆍ항동우남퍼스트빌 || 천왕역 || 10~20분 || || [[시흥 버스 28, 29|28]] || 정왕역 || 군서중ㆍ한국공대ㆍ홈플러스스페셜ㆍ희망공원ㆍMTV호반써밋 || 아쿠아펫랜드 || 20~40분 || || [[시흥 버스 28, 29|29]] || 정왕역 || 군서중ㆍ건영아파트ㆍ두성특장차ㆍMTV호반써밋 || 아쿠아펫랜드 || 20~40분 || || [[시흥 버스 31|31]] || 포동 || 신현동ㆍ소래중고교ㆍ상대야동ㆍ소사동ㆍ부천남부역ㆍ부천대학 || 부천소방서 || 40~50분 || || [[시흥 버스 31-3|31-3]] || 능곡동 || 연성동ㆍ은행동ㆍ상대야동ㆍ소사동ㆍ부천남부역ㆍ부천대학 || 부천소방서 || 15~25분 || || [[시흥 버스 31-9|31-9]] || 포동 || 신현동ㆍ삼미시장ㆍ하대야동ㆍ소사동ㆍ부천남부역ㆍ부천대학 || 부천소방서 || 30~40분 || || [[시흥 버스 32|32]] || 호계동 || 안양1번가ㆍ목감지구ㆍ물왕저수지ㆍ시흥시청ㆍ장곡고 || 월곶풍림2차 || 20~30분 || || [[시흥 버스 33|33]] || 정왕역 || 시흥세무서ㆍ유통상가ㆍ태양에스티ㆍ아남중전기ㆍMTV어린이공원입구 || 아쿠아펫랜드 || 20~80분 || || [[시흥 버스 36|36]] || 시흥시청 || 하중동ㆍ 신현동ㆍ삼미시장ㆍ대야동 || 은행동 || 30분 || || [[시흥 버스 60|60]] || 배곧한라1차 || 서울대시흥캠퍼스ㆍ롯데마트배곧점ㆍ배곧고ㆍ이지더원1차ㆍ배곧중흥S클래스 || 신세계프리미엄아울렛 || 8~10분 || || [[시흥 버스 63|63]] || 오이도해양단지 || 서울대시흥캠퍼스ㆍ배곧중심상가ㆍ신세계프리미엄아울렛ㆍ월곶역ㆍ장곡동ㆍ시흥시청ㆍ신현역 || 시흥대야역 || 10~15분 || || [[시흥 버스 70|70]] || 배곧중흥S클래스 || 이지더원1차ㆍ배곧고ㆍ롯데마트배곧점ㆍ오이도역ㆍ영화.삼성한신Aㆍ정왕역 || 시흥푸르지오6차 || 20~30분 || || [[시흥 버스 97|97]] || 사동푸르지오6.7.9차 || 이마트고잔점ㆍ그린빌13단지ㆍ고잔역ㆍ동명아파트ㆍ화정동ㆍ시흥능곡역 || 능곡중학교 || 15~25분 || || [[시흥 버스 99-2|99-2]] || 월곶역 || 중흥S클래스ㆍ배곧중심상가ㆍ오이도역ㆍ모아아파트ㆍ시흥초교 || 시화이마트 || 8~15분 || || [[시흥 버스 99-3|99-3]] || 오이도역 || 서해초교ㆍ서울대시흥캠퍼스ㆍ오이도해양단지ㆍ대용산업ㆍMTV호반써밋ㆍMTV웨이브파크 || 아쿠아펫랜드 || 15~25분 || || [[시흥 버스 530|530]] || 능곡동 || 장현지구ㆍ장곡동ㆍ시흥시청ㆍ매화동ㆍ과림동ㆍ광명사거리ㆍ개봉역ㆍ고척스카이돔ㆍ신도림역ㆍ영등포역 || 여의도환승센터 || 10~20분 || || [[시흥 버스 5602|5602]] || 시화이마트 || 정왕시장ㆍ거모동ㆍ능곡동ㆍ시흥시청ㆍ물왕저수지ㆍ목감지구ㆍ석수역ㆍ금천구청 || 구로디지털단지역 || 8~15분 || || [[시흥 버스 5604|5604]] || 산현동 || 목감지구ㆍ석수힐스테이트 || 석수역 || 8~20분 || === 직행좌석버스 === 2020년 5월 개통한 3301번을 시작으로 2020년 11월부터 모든 노선이 [[경기도 공공버스]]로 운행중이다. ||<:><#ff0000> {{{#ffffff 번호}}} ||<:><#ff0000> {{{#ffffff 기점}}} ||<:><#ff0000> {{{#ffffff 주요 경유지}}} ||<:><#ff0000> {{{#ffffff 종점}}} ||<:><#ff0000> {{{#ffffff 배차 간격}}} || || [[시흥 버스 3200|3200]] || 포동 || 신현역ㆍ 미산동입구ㆍ신천역ㆍ은행지구ㆍ시흥대야역ㆍ사당역[*A 강남 방면은 3번 출구 앞에, 시흥 방면은 14번 출구 앞에 정차.]ㆍ(→ 서초역 → 교대역 / ← 양재역 ← 역삼역 ← ) || 강남역 || 15~30분 || || [[시흥 버스 3201|3201]] || 삼미시장 || 신천역ㆍ은계지구ㆍ시흥대야역 || 사당역 || 15~30분 || || [[시흥 버스 3300|3300]] || 능곡동 || 장현지구ㆍ장곡동ㆍ연성동ㆍ목감지구ㆍ사당역[*A]ㆍ(→ 서초역 → 교대역 / ← 양재역 ← 역삼역 ← ) || 강남역 || 15~30분 || || [[시흥 버스 3301|3301]] || 능곡동 || 시흥능곡역ㆍ장현지구ㆍ장곡동ㆍ시흥시청역ㆍ하중동 || 사당역 || 20~30분 || || [[시흥 버스 3400|3400]] || 한국공대 || 시화이마트[* 2층 버스 한정으로 [[한국공학대학교|한국공대]] 방면은 이마트 1층 정왕대로변 정류장(25-174)이 아닌 20-1번 안산 방면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소(25-680)에 정차.]ㆍ시화병원ㆍ서울대시흥캠퍼스ㆍ배곧중심상가ㆍ사당역[*A]ㆍ(→ 서초역 → 교대역 / ← 양재역 ← 역삼역 ← ) || 강남역 || 15~35분 || || [[시흥 버스 3500|3500]] || 오이도 || 서울대시흥캠퍼스ㆍ배곧호반써밋ㆍ배곧센텀베이1차ㆍ서울대관악캠퍼스정문 || 서울대입구역 || 15~35분 || || [[시흥 버스 5200|5200]] || 시화유통상가 || 한국공대.경기과기대ㆍ 시화이마트ㆍ서울대시흥캠퍼스ㆍ배곧중심상가ㆍ방산동ㆍ삼미시장ㆍ은계지구ㆍ항동지구ㆍ오류동역ㆍ고척스카이돔 || 신도림역 || 15~35분 || === 맞춤형버스 === ||<:><#b62367> {{{#ffffff 번호}}} ||<:><#b62367> {{{#ffffff 기점}}} ||<:><#b62367> {{{#ffffff 주요 경유지}}} ||<:><#b62367> {{{#ffffff 종점}}} ||<:><#b62367> {{{#ffffff 배차 간격}}} || || [[시흥 버스 11|따복 11-A]][*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 || 배곧생명공원 || 배곧고ㆍ오이도역ㆍ정왕역ㆍ시화이마트[* 이마트 앞 정왕대로 환승센터에 정차하는 다른 노선들과 달리 마유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시화MTV 방면은 신한은행 시화지점 건너편에, 배곧신도시 방면은 굿모닝미항외과 앞에 정류장이 있다.]ㆍ시화유통상가[* 센트럴병원, 시흥우체국, KT 시화지사 앞으로 지나가는 다른 노선들과 달리 마유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시화MTV 방면은 소망공원 건너편 사거리 방면에, 배곧신도시 방면은 유통상가 서남쪽 끝에 정류장이 있다.] || 기계유통단지 || 20~40분 || || [[시흥 버스 11|따복 11-B]][* 평일, 주말 오전 9시대에서 오후 5시대에만 운행.] || 배곧생명공원 || 배곧고ㆍ오이도역ㆍ건영7차.신호새피앙ㆍ시화이마트ㆍ한국공대 || 센트럴병원 || 20~40분 || || [[시흥 버스 11|따복 11-C]][* 주말, 휴일에만 운행.] || 오이도역 || 함현고ㆍ배곧고ㆍ(해송십리로 직통) || 오이도해양단지 || 25~35분 || || [[시흥 버스 37|37]] || 포동차고지 || 신현역ㆍ 미산동ㆍ매화동ㆍ도창동ㆍ목감지구 || 목감지하차도 || 30분 || || [[시흥 버스 37|37-1(주말)]] || 포동차고지 || 신현역ㆍ 미산동ㆍ매화동ㆍ도창동 || 물왕저수지 || 40분 || ==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 == * 10([[부천역]] - 신천중) : 2003년 10월 경 [[시흥 버스 31|시내버스 31번]]으로 형간전환 * 7(환경사업소 - [[정왕역]]) : 2003년 10월 경 [[시흥 버스 20|시내버스 20번]]으로 형간전환 * 7-1(오이도 - [[안산역]]) : 2003년 10월 경 [[시흥 버스 21|시내버스 21번]]으로 형간전환, 현재는 상록수역(태영아파트)까지 연장 * 7-2(월곶 - [[초지역|공단역]]) : 2003년 10월 경 [[시흥 버스 23|시내버스 23번]]으로 형간전환, 현재는 본오동 경원여객 차고지까지 연장 * 7-3(연성초교 - [[오이도역]]) : 2003년 10월 경 [[시흥 버스 25|시내버스 25번]]으로 형간전환, 이후 오이도 - [[정왕역]] 구간으로 노선 변경 * [[시흥 버스 15|15]](대야역 - 삼미시장) 2022년 10월 26일에 16번과 통폐합되면서 폐선. * [[시흥 버스 20|20]](한양대 - 시흥시청) 2018년 1월 16일 운행중단 * [[시흥 버스 31-1|31-1]]([[부천역]] - 신천동) 2014년 3월 4일경에 [[시흥 버스 36|36]], [[시흥 버스 37|37번]]으로 변경, 이후 신천동-은행단지 순환구간으로 변경 * [[시흥 버스 31-5|31-5]]([[부천역]] - 포동)[* 경원여객에서 이관된 노선이다.][* 36과 통합됨과 동시에 삼미시장-부천남부역 구간이 단축됐다.]- 2015년 8월 15일부터 36, 37과 노선 통합 * [[시흥 버스 37(폐선)|37]][* 애초에 대흥중학교와 은행단지를 이어주는 통학버스로 만들어져서 방학기간에는 운행을 안한다.](신명·대우3차아파트 - 은행초) - 순환노선 2015년 8월 15일부터 31-5, 36과 노선 통합 * 63-1(시흥시청 후문 - [[소사역]]) : 1-1번 마을버스 폐선 대체노선으로 신설됐다가 폐선 * [[시흥 버스 120|120]] : 삼미시장 - 김포공항 노선으로 개통했다가 도당사거리, 역곡역남부 순으로 단축. 2018년 11월 16일 [[시흥 버스 12|12번]]과 통합으로 인해 폐선 * [[시흥 버스 510|510]] : 2020년 11월 9일 적자누적으로 인해 폐선.[* 폐선 후 인가분은 전부 [[시흥 버스 530|530번]] 증차분으로 이동했다.] * [[시흥 버스 520|520]] : [[서울 버스 6640|6640번]]의 연성지구 철수로 인해 연성지구 - 천왕역 간 대체노선으로 신설됐다가 2020년 11월 9일 적자누적으로 폐선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카운티|현대 뉴 카운티 디젤]][* 일부 차량은 [[소신여객]],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에서 넘어왔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디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블루시티|현대 블루시티 저상형 천연가스 하이브리드버스]] * [[현대 블루시티|현대 블루시티 저상형 F/L 천연가스 하이브리드버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천연가스버스]] === [[MAN]] === *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MAN 라이온스 더블데커 디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글로벌900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글로벌900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20CN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6 로얄럭셔리Ⅱ F/L 천연가스버스]] === [[타타대우상용차]] === * 타타대우 LF-40 중형 저상버스[* 시험용 차량] == 기타 == 경남여객, 수원여객, 용남고속버스라인이 신호위반 및 스피드로 유명한 반면, 시흥교통과 경원여객은 '''안전을 중요시하고 법규를 준수한다'''는 모토 아래 신호준수 및 저속주행 + 정속주행을 한다. [* 새벽과 심야시간, 주말의 28, 29번은 과속을 한다. 일부 한정이다.] 심지어 수원시 저속 회사인 [[용남고속]]보다 저속인 차도 꽤 있다. 요즘은 문구가 무색하게 종종 낮에도 신호위반을 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 버스가 교통법규 위반하는 모습을 본 시민들은 --법규나 먹어라-- 저럴거면 왜 저런 문구를 붙이냐는 소리를 하기도 한다. 법규위반은 용납되지 않는 행동이지만 그만큼 기사들의 시간이 빠듯함을 알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파일:시흥교통은 법규를 준수합니다.jpg]] 경원여객과 다르게 시흥교통에는 말소되는 차량이 많이 없다. 다만 노선은 많은데 배차가 안좋은 노선들이 많다.[* 경원여객과 더불어서 [[수원여객]], [[경남여객]], [[용남고속]] 등등은 말소되는 차량이 상당수 있다.][* 대부분 노선들의 배차간격이 10분 이상이다.] 경기도 시내버스 업체 중 평균 근속 기간이 가장 짧은 편으로 무경력 기사[* 운전경력이 없어도 상관없고, [[조선족]] 등 외국인도 받는다.]들도 받아주는 몇 안 되는 회사이다.[* 다른 곳으로는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김포운수]], [[대명운수]], [[소신여객]], [[선진버스]], [[성남시내버스]]가 있다.] 이는 입사자의 대다수가 무경력자이기 때문인데, 사고 등으로 해고당하거나 사직을 하기도 하고, 필요한 경력을 쌓고 목표한 곳으로 떠나기 때문이기도 하다. 초보자들이 경력을 쌓기 위한 용도로 취업하는 회사들이 다 그렇지만 초보자를 받아주는 것을 빌미로 극심한 갑질이 자행되어 근로 여건이 상당히 열악하다. 무경력 기사의 경우 입사하게 되면 12개월 기간제로 근무를 하고 1년 뒤 다시 11개월 기간제 계약을 한 후 정규직으로 승격하면 대형 노선으로 올라가는 식의 구조이다. 시흥교통에는 정규직 기사들보다 비정규직 기사들이 더 많고 다른 회사보다 근로 여건이 안좋아 기사 유출이 심각한 편이다. 이 회사도 가스충전하는데 공차거리가 긴 노선도 꽤 있다. 특히 방산공영차고지 쓰는 노선들은 오이도 가서 넣고, 능곡차고지 노선(26-1번 제외. 26-1번은 시화 종착후 오이도 충전이다.)들은 안산 반월공단에 있는 경원여객 본사까지 가서 넣기 때문에 낮에 배차가 길다. 또한 시내 노선의 첫막차의 경우, 경원여객처럼 기종점에서 동시출발하거나 출발시간이 비슷한데, 경원여객과는 달리 한 영업소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한다. 예를 들면 [[시흥 버스 23|23번]]의 경우 종점이 경원여객 본오동영업소고, 평상 시에는 휴식을 위해 들어가지만 정작 주박하는 차량이 없고 모두 오이도영업소에서 관리한다.[* 이런 이유로 첫차시간대에 기점에서 출발하는 경우에는 막차시간대에는 종점에서 운행을 종료하고 공차회송하고, 첫차시간대에 공차회송을 한 후 출발하면 기점에서 운행을 종료하도록 시간표가 짜여있다. 23번의 경우에는 본오동 가스 충전하는 차량은 없으며 전부 오이도차고지 충전(CNG/전기 포함)이다.] 또한, 민원으로 인하여 야간에는 [[능곡공영차고지]]에 주차를 할 수가 없어서, 해당 차고지 소속인 [[시흥 버스 31-3|31-3번]]과 [[시흥 버스 3300|3300번]]은 모두 방산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하여 주박한다. 63번의 경우 양방향 출발이라 오이도와 방산 나눠서 주박하는데, 대야역 첫/막차 한정 방산공영차고지에 주박한다. 한편 5200번은 경원여객 6502번, 써클라인 125번과 함께 정왕차고지에서 주박한다. == 사건사고 == * 2021년 3월에는 견습비를 주지 않으려고 시내 노선 근무자들을 [[경기도 공공버스]] 노선들에 견습을 달랑 '''30분'''만 시키고 바로 이동 발령을 하는 실태를 [[매일경제TV]]에서 [[http://mbnmoney.mbn.co.kr/news/view?news_no=MM1004295934|단독으로 보도했다.]] 또한 동호인들 사이에서도 유독 시흥교통 공공버스 노선들에는 여전히 민간 광고가 부착되어 있고, 2층버스 전담 기사가 없는 등의 소리가 많이 나오고 있는 상황. 결국 경기도에서 [[https://gall.dcinside.com/m/transit/318707|특별조사를 할 계획이다.]] 이 패널티 때문으로 [[시흥 버스 6501|6501번]]과 [[시흥 버스 6502|6502번]]은 모회사인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이 낙찰받게 됐다. * 2021년 12월에는 '''운행 중 음주'''를 한 운전기사가 적발되어 구속됐다. [[https://youtu.be/4gEOFIwOPTg|연합뉴스TV]]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1221500213&wlog_tag3=naver|서울신문]][* [[연합뉴스TV]]의 기사에는 경기도라고만 적혀있지만, [[서울신문]] 기사와 대조해보면 버스 회사의 신고로 [[시흥경찰서]]가 적발했다고 나온 것을 보면 시흥시 유일의 시내버스 회사인 이 회사밖에 없다.]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사측에서는 음주와 난폭운전 등을 적발해 징계를 내릴 것이라고 했지만 노조가 반발하고 있다고 한다. === 파업 관련 === 2017년 10월 말에 [[삼영운수]]의 [[안양 버스 81|81번]]이 목감지구 내부로 운행할 것을 시사했고 시흥시의 승인까지 받은 상태였는데, 시흥교통이 흑자 노선만 타 회사에게 특혜를 준다고 이에 반발하여 전면 파업을 외치고 나섰다.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71029010007536|기사]][* 어느 기사는 전체 파업, 또 다른 기사는 적자 노선만 파업이라고 적혀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확인이 필요하다.] 31개의 노선 중 적자 노선이 21개, 하루 수익이 10만원도 안 되는 노선도 8개나 되는데 이런 적자 노선만 관내 업체가 떠안아야 되냐는 것이 시흥교통 측의 주장이다. 하지만 [[시흥 버스 120|120번]]이나 [[시흥 버스 530|530번]]같은 뻘짓이나 하면서 적자타령중이라 그다지 반응이 시원치가 않다. 시흥시민들도 지칠 대로 지친 모양인지 시흥교통을 옹호하기는 커녕 [[http://m.dcinside.com/view.php?id=infra&no=106007|심지어 그냥 목감에서 나가라는 글까지 나올 정도이다.]] ~~그 와중에 [[안철수/비판 및 논란|간철수]] 드립~~ 얼마나 시민들의 분노가 많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여윽시 시흥고통-- 다만 실제로 파업이 진행되지는 않았고 2017년 11월 현재 81번은 비공식적으로 한신 더휴센트럴파크까지 진입하고 있다.~~언행 불일치~~ 그러나 그렇게 잘 넘어가나 싶었더니 결국 2018년 1월 8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었으나 2018년 1월 5일 시흥시와 협의로 [[http://www.shbus.net/index//bbs/board.php?bo_table=comm_01&wr_id=293|파업을 철회했다.]] 그리고 81번은 예정대로 2018년 1월 9일부터 목감지구를 경유하게 됐다. 2020년 1월 20일부터 파업한다는 소문이 다시 떠돌고 있었는데, 17일에 노사간 협상이 타결되어 파업은 없던 일이 됐다. === 2021년 파업 === 2021년 4월 12일에 임금 문제로 파업했다. [[파일:BBS_202104120407045420_origin.jpg]] 다행히도 다음날인 4월 13일에 파업 중단이 됐지만, 다시 파업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파업 철회시까지 관외 노선인 [[광명 버스 2|광명 2번]], [[광명 버스 39|39번]]을 각각 은계차고지와 시흥경찰서까지 연장했으며, 마을버스 노선을 4개 신설한다고 한다. 이 파업은 하필이면 가장 사람이 많은 월요일에 별 통보도 없이 기습적으로 파업한지라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제대로 당한 시흥시는 관외 노선과 마을버스 회사인 [[녹색교통]]을 최대한 끌고 올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임시 연장후 동년 5월 1일에 [[광명 버스 2|광명 2번]]은 정식으로 은계지구까지 연장됐고 11월 17일에는 [[광명 버스 39|광명 39번]]의 시흥경찰서까지 정식 연장됐으며, 시흥시의 부동의와 시흥교통의 반대에 무산된 [[인천 버스 27|인천 27번]]의 배곧 연장, [[인천 버스 22|인천 22번]] 은행동 구간 변경, [[시흥 버스 550|시흥-송도행 노선]], [[안양 버스 81|안양 81번]]의 시흥시청 연장 등 여러 관외 노선을 끌고 올 확률이 높다.] === 2022년 파업 === [[2022년 경기도 버스 파업]] 문서 참고 == 사진 == || [[파일:시흥23_1061.png|width=100%]] || [[파일:3200_1015.png|width=100%]] || || 일반시내버스[br]([[시흥 버스 23]]) || 직행좌석버스[br]([[시흥 버스 3200]]) || || [[파일:시흥교통_8-1번.jpg|width=100%]] || [[파일:시흥11A.png|width=100%]] || || 마을버스[br]([[시흥 버스 8-1]]) || 맞춤형버스[br]([[시흥 버스 11]]) || == 지배구조 == 2022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민충기 || 57.92%|| 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순옥 || 17.54%|| || ||기타 || 24.54%|| 5인 || == 둘러보기 == [include(틀:경기도의 버스 회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시흥교통, version=423)] [[분류:경기도의 시내버스 회사]][[분류:경기도의 마을버스 회사]][[분류:경원여객(안산) 계열사]][[분류:2003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