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VariousTenderHaltingTown, 합의사항1=문서 상단 차량 사진의 서술 고정(r157)을 해제하기)] [include(틀:시흥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흥_1-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흥_1-B.jpg|width=100%]]}}} || || 1-A번 || 1-B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시흥시 CI_White.svg|height=20]] {{{#ffffff 시흥시 마을버스 1-A,1-B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시흥 1 노선도.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시흥대야역) ||<-2> 종점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시흥대야역) || ||<|2> 1-A || 첫차 || 06:00 ||<|2> 1-B || 첫차 || 06:00 || || 막차 || 23:10(월~토) / 23:35(일) || 막차 || 23:00 || ||<-2> 배차간격 ||<-4> 6~7분 || ||<-2> 운수사명 || [[녹색교통]] ||<-2> 인가대수 || 각 5대 || ||<-2> 노선 ||<-4> (A노선->) [[시흥대야역]](영남아파트) - 벽산1차아파트 - 늘푸른벽산.서강2차 - 신명아파트.대우3차아파트 - 대우4차아파트 - 소래중고등학교 - 검바위초등학교 - 백제당약국 - [[신천역(시흥)|신천역]].시흥전화국 - 삼미시장 - 태광아파트 - 소래산.내원사 - 시흥ABC행복학습타운 - 시흥대야역(영남아파트) (<- B노선) || == 개요 == [[녹색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각각 7.3km, 7.6km이다. [[http://map.naver.com/?busId=11520&enc=b64|1-A]], [[https://map.naver.com/?busId=11540|1-B]] == 역사 == * 1996년에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역곡역으로 가는 노선이었다. * 1997년 4월 30일에 소사역이 개업하면서 종점이 소사역으로 변경되었다. 당시 노선에 대하여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의 [[https://namu.wiki/w/시흥 버스 1?rev=83|83번째 리비전]]을 참고. * 당시 노선: 녹색교통차고지 - 은행동주민센터 - 백제당약국 - 경신아파트 - 삼미시장 - 신천동(소래주유소) - 대흥중 - 소사고(부천대제2캠퍼스) - 소사초교 - 소사종합시장 - 소사역 * 인천행 막차가 소사역에 도착하는 시간이 늦어지면서 소사역 막차가 자정에서 0시 12분으로 늦춰졌다. * 2018년 6월 16일에 서해선이 개통되면서, 더 이상 부천으로 가지 않고 시흥 북부를 순환하는 노선으로 개편되었다. 순환노선으로 바뀌면서, 시계 방향은 1-A번, 반시계 방향은 1-B번으로 분리되었다. * 2019년 9월 1일에 [[시흥 버스 N1|N1번]] 심야 노선이 신설되었다. == 특징 == * 한사랑교통이 폐업하면서 1-1번이 폐선된 후, 2번이 신설되기 전까지 유일한 시흥시 면허 마을버스 노선이었다. 다른 지역 마을버스 노선은 부천시 면허의 [[부천 버스 015|015번]]이 있다. * 사실상 은행동 안동네와 신천동 안동네 교통을 책임지는 노선이며 삼미시장 이후 은행동 안동네까지는 아예 마을버스 독점 구간이 되었다. 원래 이 동네를 경유했던 노선 중 31-2번은 1990년대 중반에 폐선, 31-1번은 2014년 3월에 폐선, 31-5번은 36번에 통폐합, 018번은 2012년 10월에 폐선, 36번은 은행단지 이후 구간 단축이 있었다. * 시흥시 소속 버스 중 배차간격이 가장 좋다. 이보다 배차간격이 더 좋은 노선은 전부 다른 시 소속 노선이다. 심지어 대당 승차수는 다른 시 소속 버스 노선들을 포함한 시흥시를 경유하는 모든 노선중에서 가장 높다. 소사역이 회차점일 당시에는 소사역에서 63번이 1대 올 때 이 버스는 2~3대가 몰려왔었다. 다만 이 버스가 경유했던 소사로가 출퇴근시간은 물론이고 평시에도 자주 정체를 겪는 구간이었기 때문에 원래 배차간격 보다 훨씬 긴 간격으로 운행할 때가 잦았다. 탕수마저 1일 15탕으로 빡세서[* 대야교차로가 생기기 이전에는 16탕이었다!] 정체가 심하면 차고지에서 20분만에 차가 오는 일도 간혹 있었다. 이 때문인지 심심찮게 폭풍질주를 자주 볼 수 있었고, 심지어 간혹 소사삼거리, 세종병원 구간에서 역주행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광명 버스 1|광명시 소속의 같은 번호를 사용하는 시내버스]]와 혼동이 없도록 주의해야한다. 마을버스와 일반시내버스의 차이점이 존재해서 도색과 목적지로 구분할 수 있다. * 퇴근시간대에 소사역 정류소로 오면 두 줄로 서 있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왼쪽 줄은 이번에 오는 버스를 탈 손님들이었고, 오른쪽 줄은 앉아서 가기 위해 다음에 올 버스를 탈 손님들이었다. 서해선이 개통 한 이후에는 소사역에서 시흥으로 가는 버스가 전부 폐지되어[* 좀 걸어가면 여우고개 방향으로 가는 버스들이 있으나 소사역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버스는 아니고, 31-7번은 부천 방향만 소사역을 경유한다.] 더 이상 볼 수 없는 광경이 되었다. * [[시흥 버스 31-3|31-3번]], [[안산 버스 38|38번]] 등이 경유하는 수인로 삼미시장 정류소가 아닌 신천3길 쪽 삼미시장 뒷골목에서 정차한다. 정류소 표시가 되어 있지 않은데, 은행동 방향은 BYC, 소사역 방향은 kt 대리점 앞에서 기다리다가 타면 된다. * 14시02분부터 16시38분까지는 기사교대가 이루어진다.[* 주로 시흥대야역에서 대기하면서 기사를 바꾼다.] * 시흥대야역,영남아파트 회차지에 1-A, 1-B 두대가 회차지에 있을경우 동시에 출발한다. * 신천동 정류장에서 버스를 환승할시 신천동(마을)에서 내려주기 때문에 조금 걸어야 한다. === 시간표 === * 아래 기준, 27회차 이후로는 [[시흥 버스 N1|심야 노선(N)]]으로 전환된다. 시간표 상에는 언급이 없으니 참고할 것. [[파일:시흥-녹색교통 1.png]]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신천역(시흥)|신천역]], [[시흥대야역]] [[분류:시흥시의 마을버스]][[분류:1996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