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능곡동(시흥))] [[분류:택지개발]][[분류:신도시]][[분류:시흥시]] [include(틀:시흥시의 신도시 및 발전계획)] ||<-4>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시흥시 CI.svg|height=60]]||{{{#000 '''{{{+1 시흥 능곡지구[br]택지개발사업}}}'''[br]{{{-1 Siheung Neunggok[br]District}}}}}}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시흥 능곡동, 너비=100%, 높이=100%)]}}} || ||<-2> '''기초자치단체''' ||<-2> [[경기도]] [[시흥시]] || ||<-2> '''위치''' ||<-2> 능곡동, 군자동, 화정동, 광석동 일원 || ||<-2> '''면적''' ||<-2> 962,453.3㎡ || ||<-2> '''계획인구''' ||<-2> 17,265명 || ||<-2> '''계획호수''' ||<-2> 5,7550호 || ||<-2> '''시행자''' ||<-2> [[한국토지주택공사|[[파일:한국토지주택공사 CI.svg|width=60]]]] || [목차] [clearfix] == 개요 == {{{+1 始興 陵谷地區 宅地開發事業 / Siheung Neunggok District }}} ||
[[파일:능곡지구 토지이용계획도.jpg|width=100%]] || || 토지이용계획도 || [[https://www.siheung.go.kr/portal/contents.do?mId=0505010300|시흥시청 홈페이지 소개]] [[경기도]] [[시흥시]] 능곡동, 군자동, 화정동, 광석동 일원에 건설된 [[택지지구]]로 사업 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이다. 정식 사업명은 '''시흥 능곡지구 택지개발사업'''이며, 약칭은 '''시흥 능곡지구'''. 능곡지구의 특징 중 하나는 브랜드 도시 개념을 도입했다는 것인데 이곳은 과거 80% 이상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묶여 있던 곳이라 녹지 공간이 풍부한 편이다. 당시 개발 주체였던 한국토지공사(現 LH)는 이를 활용해 경관조경의 주제를 Green(녹색), Garden(정원), Gallary(미술관)을 의미하는 '''G'''와 Community(지역사회), Culture(문화), City(도시)를 뜻하는 '''C'''로 구성된 합성어인 '''G-City'''로 설정하여 친환경 주거 단지로 개발하고자 했다. 공원 녹지율이 27%에 달하고 15층을 초과하는 고층 건물이 없어서 실제로 가보면 쾌적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사업목표는 아래와 같다. * 무주택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국민임대주택단지의 조성으로 서민들에게 거주공간 제공 * 자연환경과 경관보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환경친화적인 주거 단지 조성 * 주거공간 수요에 대응한 토지공급의 원활한 공급을 통해 수도권 지역의 주택난 해소 또한 인근에 [[시화국가산업단지|시화공단]], [[반월국가산업단지|반월공단]], [[남동인더스파크|남동공단]] 등 대규모 [[국가산업단지]]들이 위치해 있어 산업단지 배후 주거지 기능도 겸하게 된다. == 역사 == ||
2004. 06. 18. || 지구지정제안 || || 2003. 11. 28. || 택지개발계획 승인(건교부 고시 제2003-300호) || || 2004. 11. 10. || 실시계획 승인(건교부 고시 제2004-313호) || || 2005. 02. 21. || 조성공사 착공 || || 2008. 08. 31. || 조성공사 준공 || || 2008. 10. 10. || 최초 주민 입주 || || 2009. 01. 31. || 1단계 사업준공 || || 2009. 06. 30. || 2단계 사업준공 || || 2011. 06. 30. || 최종사업 준공(국토부 고시 제2009-1246호) || == 단지 == === 아파트 === ||
<-1> '''블럭''' ||<-1> '''단지명''' ||<-1> '''세대수''' ||<-1> '''입주''' ||<-1> '''시공사''' || ||<#ed6c00> {{{#ffffff '''1'''}}} || 능곡 우남퍼스트빌 2차 || 236세대 || 2011년 8월 || [[우남건설|[[파일:우남건설 로고.svg|width=90]]]] || ||<#ed6c00> {{{#ffffff '''2'''}}} || 시흥 능곡 휴먼시아 2단지 || 323세대 || 2009년 5월 || [[파일:성원건설 로고.svg|width=100]] || ||<#ed6c00> {{{#ffffff '''3'''}}} || 능곡 현진에버빌 || 203세대 || 2010년 2월 || [[파일:현진에버빌 CI.svg|width=60]] || ||<#ed6c00> {{{#ffffff '''4'''}}} || 능곡 자연앤 || 239세대 || 2009년 5월 || TEC건설 || ||<#ed6c00> {{{#ffffff '''5'''}}} || 시흥 능곡 휴먼시아 5단지 || 506세대 || 2008년 12월 || [[극동건설|[[파일:극동건설 CI.svg|height=20]]]] || ||<#ed6c00> {{{#ffffff '''6'''}}} || 시흥 능곡 휴먼시아 6단지 || 438세대 || 2009년 4월 || [[파일:동원시스템즈 로고.svg|height=30]] || ||<#ed6c00> {{{#ffffff '''7'''}}} || 시흥 능곡 휴먼시아 7단지 || 539세대 || 2009년 1월 || 서광건설산업 || ||<#ed6c00> {{{#ffffff '''8'''}}} || 상록 힐스테이트 || 321세대 || 2009년 11월 || [[현대건설|[[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width=90]]]] || ||<#ed6c00> {{{#ffffff '''9'''}}} || 시흥 능곡 휴먼시아 9단지 || 591세대 || 2009년 4월 || 대지건설 || ||<#ed6c00> {{{#ffffff '''10'''}}} || 능곡 엘드수목토 || 272세대 || 2008년 10월 || 엘드건설 || ||<#ed6c00> {{{#ffffff '''11'''}}} || 시흥 능곡 신일해피트리 || 315세대 || 2009년 6월 || [[파일:신일 CI.svg|width=65]] || ||<#ed6c00> {{{#ffffff '''12'''}}} || 시흥 능곡 신안인스빌 || 394세대 || 2008년 12월 || [[파일:신안종합건설 로고.svg|width=90]] || ||<#ed6c00> {{{#ffffff '''13'''}}} || 시흥 능곡 휴먼시아 13단지 || 556세대 || 2008년 11월 || [[극동건설|[[파일:극동건설 CI.svg|height=20]]]] || ||<#ed6c00> {{{#ffffff '''14'''}}} || 능곡 우남퍼스트빌 1차 || 300세대 || 2008년 10월 || [[우남건설|[[파일:우남건설 로고.svg|width=60]]]] || == 교통 == === 도로 === 장현지구와의 경계인 서쪽 끝으로 시흥시 중심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시흥대로(시흥)|시흥대로]]가 지나고 있으며, 인근의 [[제3경인고속화도로]] [[연성IC]]를 이용해 [[인천대교]]([[인천국제공항]])나 [[도리JC]], [[목감IC]] 방면으로 갈 수 있으며, 남쪽의 [[영동고속도로]] [[서안산IC]]도 이용할 수 있다.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http://www.gbis.go.kr/|경기도 버스정보시스템]]}}}}}}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안산 버스 20|{{{#ffffff 2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6-1|{{{#ffffff 26-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1-3|{{{#ffffff 31-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2|{{{#ffffff 3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97|{{{#ffffff 9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5602|{{{#ffffff 5602}}}]]}}} || ||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5|{{{#ffffff 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8|{{{#ffffff 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8-1|{{{#ffffff 8-1}}}]]}}}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300|{{{#ffffff 3300}}}]]}}} ||}}} 여러 노선의 시종점인 [[능곡공영차고지]]가 위치해 있기 때문에 외부로 나갈 때는 입석 걱정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현재 서울 방면 노선은 [[구로디지털단지역]] 방향으로 가는 [[시흥 버스 5602|5602번]]과 [[사당역]]을 경유해 [[강남역]] 방향으로 가는 [[시흥 버스 3300|3300번]]이 운행 중이다.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343084|능곡역에서 잠실역으로 가는 노선도 추진 중에 있다.]] 장현지구 쪽에 위치한 시흥능곡역 4번 출구로 넘어가면 [[신도림역|신도림]], [[영등포역|영등포]], [[여의도]] 방향으로 가는 [[시흥 버스 530|530번]]과 [[사당역]] 방향으로 가는 [[시흥 버스 3301|3301번]]을 이용할 수 있다. === 철도 === ||<-3> {{{+2 '''[[시흥능곡역]]'''}}} || || [[소사역|{{{#!html
소사 방면}}}]] [[시흥시청역|시흥시청]] || [[수도권 전철 서해선|{{{#!html
서해선
(S23)
}}}]] || [[원시역|{{{#!html
원시 방면}}}]][[달미역|달 미]] || || [[여의도역|{{{#!html
여의도 방면}}}]] [[시흥시청역|시흥시청]] || [[신안산선|{{{#!html
신안산선(미개통)}}}]] || [[서화성남양역|{{{#!html
서화성남양 방면}}}]][[달미역|달 미]] || 지구 조성 이후 근 10년이 다 되도록 대중교통수단이 [[버스]]와 [[택시]]밖에 없던 터라 주민들의 원성이 자자했었다. 하지만 2018년 6월,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이 개통됨에 따라 주 생활권인 [[안산시|안산]] 방면으로의 이동이 매우 편리해졌다. [[신안산선]] [[서화성남양역|서화성남양]]~[[시흥시청역|시흥시청]] 구간이 서해선과 선로를 공용하여 운행하게 될 예정이며, 또한 전철로 한 정거장만 가면 [[수도권 전철 경강선]], [[신안산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지나가는 3개 노선 환승 예정역인 [[시흥시청역]]이 나오기 때문에 주변 아파트 시세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교육 == [include(틀:경기도 시흥시의 고등학교)] [include(틀:경기도 시흥시의 중학교)] [include(틀:경기도 시흥시의 초등학교)] * 승지초등학교 * 시흥능곡초등학교 * 시흥능곡중학교 * [[시흥능곡고등학교]] == 공공시설 == * [[국민건강보험공단]] 시흥지사 * [[시흥도시공사]] * 능곡어울림센터(능곡동 행정복지센터) * 시흥시 노인종합복지관 == 문화시설 == === 상가 === 지구 중심부에 위치한 능곡중앙광장(로데오광장)에 모든 상권이 집중돼있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장곡동]]과 [[시흥 장현지구|장현지구]]에서도 이쪽 상권을 이용해야 할 만큼 꽤 알찬 편. === 백화점/대형아울렛/대형마트 === 장현지구에 건설된 대형 상업시설인 시흥 플랑드르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안쪽에 위치한 단지들은 거리가 있기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 === 영화관 === 지금까지 시청 생활권에서 영화관에 가려면 안산 [[고잔동(안산)|고잔동]]이나 [[중앙역(안산)|중앙역]], [[정왕동]]까지 나가야 했지만 장현지구에 건설된 플랑드르 6층과 7층에 '''[[롯데시네마]] 장현점(가칭)'''이 입점할 예정이어서 불편함이 해소될 전망이다. === 도서관 === ||
[[파일:능곡도서관.jpg|width=500]] || 휴먼시아 5단지 옆에 능곡도서관이 위치해있다. 운영시간은 09:00 ~ 22:00이며, 매주 금요일과 법정공휴일에(일요일 제외) 휴관한다. == 이야깃거리 == * 계층 간 위화감 해소를 위해 일반 분양 아파트와 임대 아파트를 섞어서 배치하는 '''소셜믹스(social mix)''' 방식이 최초로 적용된 택지지구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2&aid=0000056718|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