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어 단어]][[분류:동음이의어]][[분류:샤프 펜슬]][[분류:나니아 연대기/등장인물]] [목차] == 사전적 의미 == shift[ʃɪft]는 "위치를 옮기다", "이동하다"라는 의미이다. [[무브|move]]와는 달리 그냥 움직인다기보다는 큰 덩어리가 함께 움직이거나 / 그에 따라 [[교대]]/[[전환]]이 일어나는 뜻을 자주 가리킨다. 가령 [[Shift 키]]를 누르면 모든 입력 키가 영향을 받으며 [[수비 시프트]] 역시 여러 명을 동시에 옮기는 것이다. [[교대근무]]를 shift work라고 하는 것도 같은 이치이다. [[대모음추이]]도 영어로는 The Great Vowel Shift라고 한다. [ʃ]가 들어간 단어들이 그렇듯 '[[쉬]]프트'로 적는 일도 잦다. == 용어 == === 변속기 조작 === 자동차 등의 변속기에서 기어를 올리는 경우를 Shift Up이라고 하고, 기어를 내리는 경우 Shift Down이라고 한다. === 키보드 [[Shift 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hift 키)] === [[수비 시프트]] === 야구에서 타자의 특성에 맞추어 수비수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비 시프트)] === 시프트 연산 ===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시프트는 2진수를 원하는 비트 수 만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밀어주는 연산자이다. C/C++/Java/Python에서는 0100 << 1 / 1100 >> 2 과 같이 사용하며 각각의 결과값은 1000 / 0011 이다. 정수 변수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오버하지 않는다면 2의 n승을 곱셈이나 나눗셈[* 일반적으로 정수 나눗셈을 한 경우 나머지는 버려진다. ] 연산을 한 것과 비슷한 결과값이 나온다.(n은 0이상), n비트 시프트 하는 경우 이동하는 방향 끝부분에서 n비트는 버려지고 반대 끝부분에 n비트가 0으로 추가된다. > ex > 3(0011) << 1 = 6(0110) = 3 * (2^1) > 3(0011) << 2 = 12(1100) = 3 * (2^2) > 3(0011) >> 1 = 1(0001) = 3 / (2^1) (1비트 버려짐) > [math(x \ll n = 2^n x)] > [math(x \gg n = \left\lfloor x/2^n\right\rfloor)] == 브랜드 == === [[주식회사 SHIFT]] === === [[미쓰비시 연필]]의 하이엔드 제도용 [[샤프]] Shift === [[파일:시프트 샤프.jpg]] 가격은 1000엔. 디자인은 [[샤덕]]들의 취향에 맞을 법하지만 성능이 좋지 않아서 [[샤덕]]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지 못하고 있다. 선단수납기능 때문에 유격이 좀 있는 편이 감점 포인트다--선단수납기능 장치가 좀 쉽게 부서진다--. === [[장기전세주택]] SHift === [[서울특별시]]에서 추진한 장기전세주택의 이름이며, 'SHift' 라고 표기한다. [[장기전세주택]] 항목 참조. == 창작물 == === [[가면라이더 드라이브]]의 키 아이템 [[시프트 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프트 카)] === [[나니아 연대기]]의 등장동물 시프트(Shift) === 매우 탐욕스럽고 권력지향적인 늙은 원숭이. 순진하고 멍청한 당나귀 [[퍼즐]]에게 우연히 주운 사자 가죽을 씌우고 [[아슬란]]이라 가장시켜 나니아인들을 속여 자신의 이득을 챙긴다. 끝내 칼로르멘과 손잡고 나니아 인들을 학살하거나 노예로 팔아먹고 칼로르멘의 신 타슈와 아슬란이 같은 존재인 타슐란으로 둔갑, 칼로르멘의 나니아 정복을 합리화하는 등 매국노짓을 하게 된다. 결국 타슈에게 잡아먹히는 최후를 맞는다. 관점에 따라서는 진화론자를 풍자하는 캐릭터로도 보기도 한다. === [[비마니 시리즈]] 수록곡 [[SHIFT(BEMANI 시리즈)|SHIF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HIFT(BEMANI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