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 ||<-3> {{{#034ea2 '''{{{+1 {{{#fff 주식회사 시큐아이}}}}}}[br]{{{-1 {{{#fff SECUI Co. Ltd.}}}}}}'''}}} || ||<-3> [[파일:시큐아이 로고.svg|width=60%]] || ||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설립일'''}}} ||[[2000년]] [[3월 27일]] || || {{{#ffffff '''업종명'''}}}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 {{{#ffffff '''본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51, 3, 5, 6층 (종로2가, 종로타워) || || {{{#ffffff '''대표이사'''}}} ||정삼용 || || {{{#ffffff '''기업 분류'''}}} ||[[대기업]] || || {{{#ffffff '''상장 유무'''}}} ||비상장기업 || || {{{#ffffff '''웹사이트'''}}} ||[[https://www.secui.com|홈페이지]]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자본금''' ||57억 4,977만 원 ^^(2020년 기준)^^ || || '''매출액''' ||1,077억 2,393만 9,530 원 ^^(2020년 기준)^^ || || '''영업이익''' ||63억 7,784만 616 원 ^^(2020년 기준)^^ || || '''순이익''' ||56억 8,062만 8,218 원 ^^(2020년 기준)^^ || || '''자산총액''' ||1,499억 6,878만 7,822 원 ^^(2020년 기준)^^ || || '''부채총액''' ||299억 2,226만 3,673 원 ^^(2020년 기준)^^ || || '''직원 수''' ||403명 ^^(2021년 6월 30일 기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삼성그룹]]의 정보보호 전문 회사. 규모상으로는 중소기업 내지는 중견기업 수준이나, 삼성그룹의 지분 보유율이 50%가 넘어 대기업으로 분류된다. 현재 [[삼성SDS]]의 자회사이다. == 역사 == 2000년 3월에 [[에스원]]의 자회사로 설립하였다. 당시 정보보호 사업을 시작하면서 삼성그룹 내의 관련 인력들을 끌어모아서 시작하였다. 설립 초기 중앙관제서비스를 개시하고 정보보호연구소를 세웠다. 뒤이어 중국에 첫 해외지사를 세웠다. [[이재용]] 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추진했던 e-삼성 계획으로 세워진 회사들 중 살아남은 몇 안되는 회사 중 하나이다. 살아남은 다른 회사로는 [[크레듀]]가 있다. 2015년 9월에 [[삼성SDS]]가 [[에스원]]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 전체(52.5%, 600만주)를 인수하여 [[삼성SDS]]의 자회사가 되었고, [[http://news.joins.com/article/18612895|#]] 2018년 현재 [[삼성SDS]]가 56.5%, [[삼성물산]]이 8.7%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 == 사업 분야 == 주 사업 분야는 네트워크 보안 장비(방화벽 등) 개발 및 판매이며, 네트워크 보안 장비 개발 및 판매만 놓고 보면 명실상부한 국내 1위 업체. 현재 자체적으로 네트워크 보안 장비를 개발하는 국내 회사 중, 네트워크 보안 장비 사업에서는 규모 면에서 국내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전체 보안 사업 규모로는 [[안랩]]이 1위지만, [[안랩]]의 매출 중에서 네트워크 보안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크지 않다 ] 개인을 상대로 하는 홍보를 거의 하지 않아, 일반 개인들에게는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 삼성 그룹내에서 사용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그 외에도 보안 진단, 보안 컨설팅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 역대 대표이사 == * 오경수 (2000 ~ 2005) * 김종선 (2005 ~ 2009) * 안창수 (2009 ~ 2012) * 배호경 (2012 ~ 2015) * 석경협 (2015 ~ 2017) * 최환진 (2017 ~ 2021) * 황기영 (2021 ~ 2022) * 정삼용 (2022 ~ ) == 제품 및 서비스 == UTM, IPS, Anti-DDoS, 네트워크 보안 취약점 스캐너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정보보호 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아래 목록은 2016년 2월 현재 기준. === 방화벽, UTM === * SECUI BLUEMAX * [[https://www.secui.com/product/bluemax]] * SECUI MF2 * [[https://www.secui.com/product/mf2]] * SECUI MF2 VE * 가상화 플랫폼용 SECUI MF2 * [[https://www.secui.com/product/mf2_ve]] * BLUEMAX NGF *[[https://www.secui.com/network/bluemaxngf]] === IPS === * SECUI MFI * [[https://www.secui.com/product/mfi]] * BLUEMAX IPS * [[https://www.secui.com/network/bluemaxips]] === Anti-DDoS === * SECUI MFD * [[https://www.secui.com/product/mfd]] === 위협인텔리전스 서비스 === * STIC (SECUI Threat Intelligence Center) * [[https://stic.secui.com]] === 네트워크 취약점 스캐너 === * SECUI SCAN * [[https://www.secui.com/product/scan]] === 통합 관리 솔루션 === * SECUI TMS * [[https://www.secui.com/product/tms]] === 정보보호 컨설팅 === * [[https://www.secui.com/threat/consulting]] === 단종 제품 === * secuiWALL * NXG * SECUI NXG * eXshield * secuiVPN * SECUI CM * SECUI NXG D == 기타 == 제품의 HA(고가용성 구성, High-Availity)가 매우 강력하고 안정적인 것이 특징이다. 지금은 단종된 제품인 NXG[* 후속작인 SECUI NXG와는 다른 제품이다. ]는 세계 최초로 L3 스위치만으로 Active-Active HA를 구현한 제품이다. 당시에 값비싼 L4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Active-Active HA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관련 업계에 상당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각주] [[분류:삼성]][[분류:2000년 설립]][[분류:대한민국의 IT 관련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