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시즈오카현 제7구}}}}}}'''[br]{{{-1 {{{#ffffff 静岡県第7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Shizuoka7.svg|width=100%]][br]}}}|| ||<-2><:>'''선거인 수'''||<-2><:>328,745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시즈오카현]]|| ||<-2><:>'''하위 행정구역'''||<-2><:>{{{#!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하마마츠시]] [[니시구(하마마츠)|니시구]]/[[키타구(하마마츠)|키타구]]/[[하마키타구]]/[[텐류구]], [[코사이시]]}}}||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기우치 미노루]]|| [목차] [clearfix] == 개요 == [[시즈오카현]]의 [[하마마츠시]] [[니시구(하마마츠)|니시구]]/[[키타구(하마마츠)|키타구]]/[[하마키타구]]/[[텐류구]], [[코사이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의 [[기우치 미노루]]. == 상세 == 현재 7구의 관할지역은 [[1996년]] 소선거구제 출범시에는 전부 9구에 속했으나. 하지만 [[2002년]]에 시즈오카현의 선거구가 9개에서 8개로 줄면서, 기존 7구가 분할되어 5구와 6구에 합쳐졌고, 기존 9구가 새로운 7구로 탈바꿈했다. 처음에는 이 지역 중진 의원인 구마가이 히로시가 자민당을 탈당해 야당 후보로 당선되었지만, 구마가이 전 의원이 2003년 중의원 선거에서 [[기우치 미노루]] 후보에게 압도적으로 패배한 후 정계은퇴를 한 이후에는 다시 자민당 초강세 지역이 되었다. 기우치 미노루 의원은 우정 민영화에 반대하여 공천을 못받고 패한 44회 총선을 제외하고선 매번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고 있다. 한편, 기우치 의원이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우정민영화 정책에 반발해 자민당을 7년간 (2005 - 2012) 탈당해 있는 동안 현재는 참의원으로 전직한 [[가타야마 사쓰키]] 의원이 자민당 소속으로 중의원을 지낸 적이 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시즈오카현 제7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A 시즈오카현 제9구] || [[1996년]] ||<|2> 구마가이 히로시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A] || [[2000년]]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기우치 미노루]] || [include(틀:무소속)]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가타야마 사쓰키]]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5> 기우치 미노루 || [include(틀:무소속)]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시즈오카현 제7구|{{{#fff 시즈오카현 제9구}}}]]}}}'''[br]{{{#fff 하마마츠시, 텐류시, 하마키타시, 이와타군, 하마나군, 이나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구마가야 히로시''' || '''99,151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52.07%'''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이 료이치 || 70,063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6.7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이시 에츠코 || 21,21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1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9,173표 ||<|2> '''투표율'''[br]65.95% || || 선거인 수 || 295,841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9구}}}}}}'''[br]{{{#fff 하마마츠시, 텐류시, 하마키타시, 이와타군, 하마나군, 이나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구마가야 히로시''' || '''137,201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9.3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이 료이치 || 93,304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include(틀:보수당(일본))] 추천] || 44.4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이시 에츠코 || 19,82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3.8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9,173표 ||<|2> '''투표율'''[br]69.63% || || 선거인 수 || 306,520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7구}}}}}}'''[br]{{{#fff 하마마츠시 일부, 코사이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기우치 미노루]]''' || '''98,877표'''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6.78%''' || '''당선''' || ||<|2> [[보수신당|[[파일:보수신당 로고.png|width=50]]]] || 구마가야 히로시 || 58,932표 || 2위 || || [include(틀:보수신당)] || 27.88% || 낙선[*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히구치 미치코 || 43,779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0.7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모리시마 미치오 || 9,79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6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5,286표 ||<|2> '''투표율'''[br]68.18% || || 선거인 수 || 314,682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7구}}}}}}'''[br]{{{#fff 하마마츠시 일부, 코사이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타야마 사쓰키]]''' || '''85,16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36.77%'''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기우치 미노루]] || 84,420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6.45%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베 타쿠야 || 62,039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6.7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2,764표 ||<|2> '''투표율'''[br]73.59% || || 선거인 수 || 318,422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7구}}}}}}'''[br]{{{#fff 하마마츠시 일부(나카구, 니시구, 미나미구, 키타구, 하마키타구, 텐류구), 코사이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기우치 미노루]]''' || '''129,376표'''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2.0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이키 타케시 || 63,11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5.41% || 비례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타야마 사쓰키]] || 54,128표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1.79% || 낙선[*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45]]]] || 타케우치 타카후미 || 1,764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0.7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5,286표 ||<|2> '''투표율'''[br]76.74% || || 선거인 수 || 326,020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7구}}}}}}'''[br]{{{#fff 하마마츠시 일부(나카구, 니시구, 미나미구, 키타구, 하마키타구, 텐류구), 코사이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기우치 미노루]]''' || '''125,31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9.60%''' || '''당선'''[* [include(틀:공명당)] 추천]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이키 타케시 || 40,45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9.24% || 낙선[*B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카와이 준이치 || 29,966표 || 3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 14.25% || 낙선[*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추천]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치아이 카츠지 || 7,41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3.53% || 낙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노스에 슈지 || 7,105표 || 5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 3.38% || 낙선[*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65.39% || || 선거인 수 || 327,426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7구}}}}}}'''[br]{{{#fff 하마마츠시 일부(나카구, 니시구, 미나미구, 키타구, 하마키타구, 텐류구), 코사이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기우치 미노루]]''' || '''132,69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70.9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마츠모토 요시타카 || 37,65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0.1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노자와 쇼지 || 16,74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9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2,764표 ||<|2> '''투표율'''[br]58.44% || || 선거인 수 || 327,260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D7003A> '''{{{+1 {{{#fff 시즈오카현 제7구}}}}}}'''[br]{{{#fff 하마마츠시 일부(나카구, 니시구, 미나미구, 키타구, 하마키타구, 텐류구), 코사이시}}}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D7003A> '''{{{#fff [[기우치 미노루|{{{#fff 기우치 미노루}}}]][br](城内実)}}}''' || '''[[자유민주당(일본)|{{{#D7003A 자유민주당}}}]]''' || '''129,463[br](65.8%)''' || '''1위''' || '''당선''' || [[공명당]] 추천 || ||<#046240> {{{#fff 후쿠무라 다카시[br](福村隆)}}}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29,905[br](15.2%) || 2위 || 낙선 || || ||<#00469C> '''{{{#fff [[히요시 유타|{{{#fff 히요시 유타}}}]][br](日吉雄太)}}}''' || '''[[입헌민주당(2017년)|{{{#00469C 입헌민주당}}}]]''' || 26,383[br](13.4%) || 3위 ||<#00ff00> ~~낙선~~[br]'''당선(석패율제)''' || || ||<#DB001C> {{{#fff 노자와 마사지[br](野沢正司)}}}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10,980[br](5.6%) || 4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196,731 ||<|2><-3> 투표율 60.00% || || 유권자 수 || 332,724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시즈오카현 제7구|{{{#fff 시즈오카현 제7구}}}]]}}}'''[br]{{{#fff 하마마츠시 일부, 코사이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기우치 미노루]][br](城内実)''' || '''130,024'''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68.16%'''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히요시 유타]][br](日吉雄太) || 60,726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1.84% || 낙선 || ||<|3> '''계''' || 유효표 수 || 190,750 ||<|3> '''투표율'''[br]58.72% || || 선거인 수 || 328,745 || 현역 자민당 [[기우치 미노루]] 의원이 재출마한다. 지난 총선에서 13.4%의 낮은 득표율을 거두고도 운좋게 비례대표로 당선된[* 입헌민주당이 도카이 지역에 워낙 후보를 적게 내서 가능했다.] [[히요시 유타]] 의원도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후보로 재출마한다. 다른 정당 및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자민당 기우치 의원과 입헌민주당 히요시 의원의 1대1 대결로 치러진다. 투표 결과, 지난 총선과 마찬가지로 자민당 기우치 미노루 후보가 압승했다. 입민당의 히요시 유타 후보는 이번에는 석패율제 구제도 받지 못한 채 완전 낙선하고 말았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증10감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하마마츠시]] [[니시구(하마마츠)|니시구]]/[[키타구(하마마츠)|키타구]]/[[하마키타구]]/[[텐류구]], [[코사이시]]를 관할하게 되었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기우치 미노루]]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도 [[히요시 유타]] 전 의원이 재도전한다. [[일본공산당|공산당]]에서는 요시카와 나오코 후보가 출마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시즈오카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