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시즈오카현 제5구}}}}}}'''[br]{{{-1 {{{#ffffff 静岡県第5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Shizuoka5.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58,636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시즈오카현]]|| ||<-2><:>'''하위 행정구역'''||<-2><:>{{{#!folding [ 펼치기 · 접기 ] [[미시마시]], [[후지시]](후지카와 제외), [[고텐바시]], [[스소노시]], [[타가타군]], [[슨토군]] [[오야마초]]}}}||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호소노 고시]]|| [목차] [clearfix] == 개요 == [[시즈오카현]]의 [[미시마시]], [[후지시]](옛 후지카와초 지역을 제외한 전역), [[고텐바시]], [[스소노시]], [[타가타군]], [[슨토군]] [[오야마초]]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호소노 고시]]. == 상세 == 시즈오카의 동부 지역에 위치한 선거구로, [[가나가와현]]과 맞닿아있다. [[2002년]]에 시즈오카의 선거구가 9개에서 8개로 줄어들자, 기존 7구의 절반을 편입시켰다. 7구의 나머지 절반은 6구에 편입되었다. 현재의 시즈오카 7구는 오히려 기존 9구가 이름만 바꾼셈이다. 특정 정당 지지도를 따질때는 민주당과 공산당의 지지도가 자민당을 앞지르는 곳이지만, 이 곳은 현역 의원인 [[호소노 고시]]의 지지가 강한 선거구이다. 기존 7구를 편입시키기 전에는 자민당 지지세가 강한 곳이었다. 하지만 [[2003년]] 제43회 총선에서, 5선 중진에다 지역 내 대표적 정치인 가문 출신인 사이토 도시쓰구 전 방위청장관이, 오히려 자신의 선거구가 반으로 갈려 기존 선거구의 절반이 편입된 5구에 출마한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호소노 고시]] 의원에게 일격을 당했다. 호소노는 이미 [[2000년]] 제42회 중의원선거때 기존 7구에서 당시 11선 의원인 기베 요시아키 전 의원을 꺾은 적도 있어서, 자민당 중진 2명을 연거푸 꺾은 인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호소노의 당선을 기점으로 민주당 계열의 우세 지역으로 변모했다. 사이토 전 의원은 다행히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로 당선되었지만, 자민당이 압승한 [[2005년]] 제44회 후보에서 또다시 패배하고 석패율제를 통해 당선되는 굴욕을 맞봤다. 이후 [[2009년]] 제45회 총선에서 3번째로 호소노에게 패배할때는 비례대표로 부활하지도 못했고, 즉시 정계를 은퇴했다. 이후 자민당은 선거에 강한 호소노를 꺾기 위한 후보자를 찾지 못하고 현지 거물 지방의원의 무능한 아들인 요시카와 다케루를 공인 후보자로 2012년부터 내놓고 있는데 이 사람은 호소노에게 전패해서 3번 비례 부활했고, 그나마도 2022년 원조교제 스캔들로 인해 자민당을 탈당했다. 한편 호소노는 오히려 민주당을 떠나 자민당에 입당한 데다, 처음 요시카와의 텃세로 선거를 이겼음에도 지부장 직을 얻지 못하다가 요시카와가 자멸하며 자민당을 떠났기에 완전히 시즈오카 5구의 자민당 지부장으로 정착할 가능성이 커졌다. 야당 신진 정치인 등 여러 후보가 난립할 가능성이 생겼기에 어느 정당 우세지역인지 확신 할 수는 없어졌다. 다만, 49대 총선때 호소노가 무소속으로 나와서 50% 이상 득표한 걸 보면 지역구 경쟁력이 워낙 강한 터라 호소노가 자민당에 들어간 이상 자민당 강세 선거구로 바뀔 여지가 충분하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시즈오카현 제5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2> 사이토 도시쓰구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7> [[호소노 고시]] ||<|5>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include(틀:무소속)][* 당선 이후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입당]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5구}}}}}}'''[br]{{{#fff 후지노미야시, 후지시, 후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이토 도시쓰구''' || '''76,49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2.51%''' || '''당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마에지마 히데유키 || 32,545표 || 2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22.34% || 비례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사이토 스스무 || 21,710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include(틀:신진당)] 추천] || 14.9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시오오카 쇼이치 || 14,927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2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8,367표 ||<|2> '''투표율'''[br]54.75% || || 선거인 수 || 276,544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5구}}}}}}'''[br]{{{#fff 후지노미야시, 후지시, 후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이토 도시쓰구''' || '''84,74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include(틀:보수당(일본))] 추천] || '''49.85%'''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즈미 아키코 || 54,010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1.77% || 낙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키쿠치 타다스 || 18,345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0.79%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스기타 야스오 || 12,908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5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8,367표 ||<|2> '''투표율'''[br]60.92% || || 선거인 수 || 286,109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5구}}}}}}'''[br]{{{#fff 미시마시, 후지시, 고텐바시, 스소노시[br]타카다군 일부(이즈나가오카초, 칸나미초), 슨토군 오야마초}}}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호소노 고시]]''' || '''137,201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9.3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이토 도시쓰구 || 129,98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include(틀:보수신당)] 추천] || 46.79%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스기타 야스오 || 10,61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3.8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9,173표 ||<|2> '''투표율'''[br]63.68% || || 선거인 수 || 443,572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5구}}}}}}'''[br]{{{#fff 미시마시, 후지시, 고텐바시, 스소노시[br]타카다군 일부(이즈나가오카초, 칸나미초), 슨토군 오야마초}}}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호소노 고시]]''' || '''148,002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8.7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이토 도시쓰구 || 141,38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46.61%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쿠야마 유키 || 13,93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5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9,173표 ||<|2> '''투표율'''[br]68.54% || || 선거인 수 || 448,424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시즈오카 제5구|{{{#fff 시즈오카현 제5구}}}]]}}}'''[br]{{{#fff 미시마시, 후지시, 고텐바시, 스소노시[br]타카다군 일부(이즈나가오카초, 칸나미초), 슨토군 오야마초}}}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호소노 고시]]''' || '''184,328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국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59.04%'''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이토 도시쓰구 || 121,813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39.02%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45]]]] || 호리 신타로 || 6,069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9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3,204표 ||<|2> '''투표율'''[br]69.62% || || 선거인 수 || 496,360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5구}}}}}}'''[br]{{{#fff 미시마시, 후지시, 고텐바시, 스소노시[br]타카다군 일부(이즈나가오카초, 칸나미초), 슨토군 오야마초}}}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호소노 고시]]''' || '''156,887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국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58.98%'''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카와 타케루 || 84,800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1.88%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오바 모모코 || 15,52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84%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이와시타 히사오 || 8,802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3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9,173표 ||<|2> '''투표율'''[br]60.08% || || 선거인 수 || 457,412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5구}}}}}}'''[br]{{{#fff 미시마시, 후지시 일부, 고텐바시, 스소노시, 이즈노쿠니시 일부, 타가타군, 슨토군 오이마초}}}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호소노 고시]]''' || '''143,012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8.56%'''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카와 타케루 || 84,574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4.6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오바 모모코 || 16,63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8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25,659표 ||<|2> '''투표율'''[br]54.70% || || 선거인 수 || 456,271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046240> '''{{{+1 {{{#fff 시즈오카현 제5구}}}}}}'''[br]{{{#fff 미시마시, 후지시 일부(옛 후지카와초 지역을 제외한 전역), 고텐바시, 스소노시, 이즈노쿠니시 일부(옛 이즈나가오카초 지역), 타가타군,[br]슨토군 오이마초}}}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046240> '''{{{#fff [[호소노 고시|{{{#fff 호소노 고시}}}]][br](細野豪志)}}}'''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137,523[br](54.8%)''' || '''1위''' || '''당선''' || || ||<#D7003A> {{{#fff 요시카와 타케루[br](吉川赳)}}} || [[자유민주당(일본)|{{{#D7003A 자유민주당}}}]] || 92,467[br](36.9%) || 2위 || 낙선 || [[공명당]] 추천 || ||<#DB001C> {{{#fff 이구치 마사히코[br](井口昌彦)}}}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20,750[br](8.3%) || 3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250,740 ||<|2><-3> 투표율 55.22% || || 유권자 수 || 464,130 || 여느 선거와 마찬가지로 호소노 고시 후보가 쉽게 당선되었다. 하지만 본인이 주도적으로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와 함께 창당한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이 참패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많이 잃었다. 특히, 현역 야당 의원을 공천에서 배제하고 무리하게 본인이 미는 후보를 공천해 [[시즈오카현 제3구]]를 자민당에 헌납하면서 지역에서도 비판을 받았다. 자민당 요시카와 타케루 후보는 2번 연속 패배했지만, 지난 총선보다는 득표율을 끌어올리며 비례대표 도카이 블록 승계순위 2위로 올라갔다. 이후 다른 당내 비례대표 의원이 사퇴하자 2019년 3월 의원직을 승계받고, 4년 4개월만에 중의원에 복귀했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시즈오카현 제5구|{{{#fff 시즈오카현 제5구}}}]]}}}'''[br]{{{#fff 미시마시, 후지시 일부, 고텐바시, 스소노시,[br]이즈노쿠니시 일부, 타가타군, 슨토군 오이마초}}}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호소노 고시]]''' || '''127,580표'''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1.8%'''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카와 다케루 || 61,33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24.9% || 비례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오노 노리카즈 || 51,965표 || 3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1.1% || 낙선 || ||<|2><#ffffff> [[파일:Aichikyutou_logo.png|width=50]] || 지다 히카루 || 5,150표 || 4위 || || [[https://love-earth.site/|[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31466,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애지구당(愛地球党))]]] || 2.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46,232표 ||<|2> '''투표율'''[br]54.39% || || 선거인 수 || 458,636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IRthywAg7Y)]}}} || || '''{{{#112fa7 선거 당시 시즈오카 5구 관련 뉴스 영상}}}''' || 현역 호소노 고시 의원은,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이 사실상 해체되자, 야권 어느 정당에도 들어가지 않고 무소속으로 남아있다가, 자민당 [[지수회]]([[니카이 도시히로|니카이]]파)에 합류했다. 다만 자민당에 입당은 못하고 무소속으로 지수회에 합류하는 어정쩡한 자세를 취했는데, 이는 해당 지역구 자민당 의원인 요시카와 타케루와 그의 소속 파벌인 [[굉지회]]가 격렬히 반대해서이다. 호소노 고시 의원과 요시카와 타케루 의원 모두 차기 총선에 출마하겠다고 밝혔으며, 자민당의 후보자 조정에 난항이 예상된다. 최종적으로는 요시카와 의원이 자민당 공천을 받았고, 호소노 의원은 무소속 후보로 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미쓰비시 UFJ 은행]] 출신인 오노 노리카즈 지역구 총지부장을 공천했다. 회사원인 지다 히카루 '애지구당' 부대표도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K2Eze-riFLs|#]]. 요시카와 다케루 의원의 평이 좋지 않아 [[호소노 고시]]가 일부 자유민주당 지지자들의 표까지 얻어 무사히 당선에 성공했다. 요시카와 다케루 의원은 [[석패율제]] 비례대표 구제도 받지 못하고 낙선할 것이 예상되었으나 자민당이 아이치현등 도카이 지역에서 워낙 크게 압승하는 바람에 예상을 뒤엎고 비례대표로 생환했다. || [youtube(CtcC8K_VoCU)] || || 당선이 확정된 후 연설하는 호소노 고시 || 당선 이후인 11월 5일, 자민당에서 기존 입장을 바꾸고 호소노 고시 의원의 입당을 허용하면서 자유민주당 소속이 되었다. 다만 시즈오카 현련 회장인 [[굉지회]]의 [[가미카와 요코]]나 총리인 기시다 후미오가 버티고 있어 호소노의 입당은 허용해도 지역구 지부장은 여전히 요시카와가 쥐고 있었다. 하지만 요시카와 타케루가 2022년 6월 [[https://www.news-postseven.com/archives/20220615_1764021.html?IMAGE=2&PAGE=24-55|여대생 원조교제 의혹]]으로 자민당을 탈당하며 조만간 호소노에게 지부장이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현지의 코멘트는 '''스캔들조차 소인배같다(...)'''.[* 호소노 고시는 젊은 시절 인기 캐스터와의 밤길의 불륜 키스가 대서특필된 적이 있는데, 둘 다 선남선녀라 이 사진이 영화같이 나와서 오히려 여론의 공격이 좀 약화된 면이 있었다. 반면 요시카와는 원조교제 여대생보다 키가 작은 짤뚱한 모습으로 사진이 찍힌 데다 해명도 없이 잠적을 타 버린 바람에...]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증10감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이즈노쿠니시]] 일부가 신 [[시즈오카현 제6구|시즈오카 6구]]로 이출되었다. 2023년 5월 26일. 자민당이 [[호소노 고시]]를 공인 후보로 지정했고, 3일 뒤에는 지부장에 임명했다. 이로서 여대생과의 원조교제 의혹으로 탈당한 요시카와 타케루 전 의원을 완전히 밀어내고 이 지역구에 자리잡게 되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30526/k10014079431000.html|#]]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시즈오카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