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8446-2.png]] [목차] == 노선 정보 == ||<-6><:>{{{#ffffff 시외버스 8446번}}}|| ||<-2><:>기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분당서울대병원)||<-2><:>종점||<:>경기도 광명시 일직동(광명역)|| ||<|2><:>종점행||<:>첫차||<:>04:30||<|2><:>기점행||<:>첫차||<:>05:40|| ||<:>막차||<:>21:20||<:>막차||<:>22:40|| ||<-2><:>배차간격||<:>1일 8회||<-2><:>운수사명||<:>[[대원고속]]|| ||<-2><:>노선||<-4><:>분당서울대병원 - 미금역[* 기점 방향은 [[미금역]] 3번 출구에, 종점 방향은 청솔마을 공항버스 정류장에 정차하였다.] - 정자역 - 수내역 - 서현역 - 이매역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 모란역 - [[성남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당시 명칭. 이후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조남JC]] - [[서해안고속도로]] - [[광명역IC]] - 광명역|| == 개요 == [[대원고속]]이 운행했던 시외버스 노선. == 역사 == * 2004년에 3600번으로 신설되었다. 무려 우등 공항리무진으로 ~~광명국제공항 현실화?~~ 당시 요금은 4000원이었다. 그러나 몇 달 못가고 폐선되어 성남시에서 KTX를 이용하려면 [[서울 버스 9401|9401번]]을 타고 [[서울역]]으로 가는 수밖에 없었다. * 2005년에 [[분당서울대병원]]과 [[광명역]]을 잇는 시외버스로 다시 신설되었다. 당시 배차 간격은 20분이었고, 이후 감차되어 배차 간격은 40~70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2년 GBIS에 8446번으로 번호를 부여받았다. * 2017년 5월 15일에 1일 8회로 감회되었다. [[http://blog.naver.com/vedaforest/221022762873|관련 게시물]] 다른 [[KD 운송그룹]]의 비수익 노선이 그러듯이 이 정도까지 온 것으로 보아 1년 내에 폐선될 가능성이 높았고, 결국 그해 8월 12일 폐선되었다. == 특징 == * [[KD 운송그룹]] 노선 중에서 [[현대 유니버스|유니버스]]가 주력차종이었던 몇 안 되는 노선이었다. [[선진고속(의정부)|선진고속]] 관광부(선진고속관광) 출신 차량이며 [[시외버스 3001, 3002|3001번]]에서 운행하였다. 이후 [[KD 운송그룹]]이 선진고속을 흡수할 때에도 계속 3001번에 있다가 이 노선에 넘어왔다. 이후 2017년까지 운행하다가 조기대차되었다. * [[경기광주 버스 1005-1|1005-1번]] 차량이 예비차로 '''불법''' 투입된 적도 있었고 1009번 출신 돌고래 로얄럭셔리도 운행한 적이 있었다. [[http://gall.dcinside.com/bus/1179667|관련 게시물1]] [[https://cafe.naver.com/scptus/24843|관련 게시물2]] * [[모란역]]에서는 양 방향 차량이 모두 정차하니 주의를 요했다. * 사실 분당과 성남 구시가지 수요를 모두 잡으려니, 모란 방향으로 갈 때 상당히 아스트랄한 회차방식을 보여주었다. 모란고가 밑에서 유턴하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나온 이상한 회차경로. 탄천 뒷길로 우회해서 모란역을 찍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서울외곽선]]을 타며 고속도로에서 나와서 모란역으로 갈 때에도 탄천 뒷길로 갔다.[* [[시외버스 8806|8806번]]의 운행 방식과 비슷하다.] 여담으로 [[서울 버스 771|771번]]의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회차경로도 교통규제 문제로 아스트랄한 회차를 보여준다. * 성남시와 KTX 광명역을 잇는 것이 목적이었는데, 2016년 12월에 수서역에 SRT가 생기면서 더 이상 이 곳으로 갈 필요가 없어졌다. 이케아와 코스트코, 롯데프리미엄아울렛 같은 대형 쇼핑시설도 자가용을 이용하는 게 보통이며 서울 양재동 코스트코 등이 훨씬 가깝기 때문에 결국 심해지는 적자를 견디지 못하고 폐선되었다. [[http://m.dcinside.com/view.php?id=infra&no=84539|안내문]]에 따르면 적자에도 불구하고 성남시민들의 광명역 이용 편의를 위해서 계속 운행했는데 SRT [[수서역]] 개업으로 버틸 수가 없었던 모양이다. 용인시 지역의 경우도 기흥역에서 [[용인 버스 94|94번]]이 있으니... * 주말에는 광명동굴로 가는 사람이 제법 있었다. 왜냐하면 1시간이면 광명역에 도착해 [[광명 버스 17|광명 17번]]을 타고 15분이면 광명 동굴까지 갈 수 있었는데 폐선해서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광명동굴까지 가려면 2시간 반이 걸린다. 그래서 자가용을 이용해서 갈 수 밖에 없다.[* 지하철은 최소 수원역에서 1호선이나 논현역에서 7호선으로 환승해야 할 더러 가산디지털단지역이나 철산역에서 내려 또 버스로 환승해야 하기 때문에 버스로 이동하는것이 좋다. 대체노선으로 모란방향은 [[성남 버스 333|333번]] 미금, 정자방향은 신분당선을 탄다음 판교역에서 3330번으로 환승([[용인 버스 1303|1303번]]으로 갈수있지만 일반도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걸린다.) 야탑, 이매, 서현방향은 [[성남 버스 3330|3330번]]을 이용하여 안양역에라도 일단 도착후 거기서 [[광명 버스 12|12번]]과 [[안양 버스 3|3번]]을 이용하여 광명역까지 온 후 [[광명 버스 17|17번]]과 [[광명 버스 77|77번]]으로 연계할수 있다. 문제는 폐선된 이 노선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게 함정] == 연계 철도역 == 폐선 당시의 역만 기재함. * [[수도권 전철 1호선]]: [[광명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모란역]] * [[분당선]]: [[모란역]], [[야탑역]], [[이매역]],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미금역]] * [[신분당선]]: [[정자역]] *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이매역]] * 일반 철도역: [[광명역]](KTX) [[분류:경기도의 시외·공항버스]][[분류:2004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7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