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전주↔부산서부(직통)}}} || ||<:>기점||<-2><:>[[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전주시외버스터미널]])||<:>종점||<-2><:>[[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2><:>부산서부행[br](하행)||<:>첫차||<:>08:10||<|2><:>전주행[br](상행)||<:>첫차||<-2><:>06:10|| ||<:>막차||<:>22:30||<:>막차||<:>22:30|| ||<-3><:>배차간격||<-3><:>1일 10회|| ||<-3><:>운수사명||<-3><:>[[부산교통|대한여객, 부산교통]] || ||<-2><:>상세 노선||<-4><:>[[전주시외버스터미널]] - {{{#aaa 소양IC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 장수JC - 통영대전고속도로 - 진주JC - 남해고속도로 - 냉정JC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사상IC}}}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6><:>
{{{#ffffff 시외버스 전주↔부산서부(직행)}}} || ||<:>기점||<-2><:>[[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전주시외버스터미널]])||<:>종점||<-2><:>[[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2><:>부산서부행[br](하행)||<:>첫차||<:>12:47||<|2><:>전주행[br](상행)||<:>첫차||<-2><:>06:10|| ||<:>막차||<:>12:47||<:>막차||<:>06:10|| ||<-3><:>배차간격||<-3><:>1일 1회|| ||<-3><:>운수사명||<-3><:>[[부산교통|대한여객]] || ||<-2><:>상세 노선||<-4><:>[[전주시외버스터미널]] - 남노송동 - {{{#aaa 17번 국도}}} - 남원북부정류장 - [[문화터미널남원]] - {{{#aaa 24번 국도}}} - [[인월지리산공용버스터미널]] - {{{#aaa 24번 국도}}} - [[함양시외버스터미널]] - 수동정류소 - 생초시외버스터미널 - [[산청버스터미널]] -{{{#aaa 3번 국도}}} - 원지버스정류소 - {{{#aaa 3번 국도}}} - [[진주시외버스터미널]] -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 - 개양오거리 - {{{#aaa 진주IC - 남해고속도로 - 냉정JC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사상IC}}}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개요 == [[전라북도]] [[전주시]]와 [[부산광역시]] [[사상구]]을 잇는 [[시외버스]] 노선. [[부산교통|대한여객, 부산교통]]에서 운행한다. 왕복운행거리는 직통 492.2km, 직행 552km. == 특징 == * 직행은 전 구간 발권이 부산서부발 전주행 차량만 가능하며, 전주에서 출발할 경우 원지까지 발권된다. 따라서 [[문화터미널남원|남원]], 운봉, 인월, 함양 4군데 중에서 1군데를 선택하여 나눠 끊어야 한다. 단, [[문화터미널남원|남원]]으로 끊어버리면 표를 3장으로 나눠 끊으며, 운봉은 매표소 자체가 없다. 인월은 대기시간이 애매하니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ansu9925&logNo=222068738157&parentCategoryNo=&categoryNo=15&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List|여기서]] 추천하지 않는다고 말했으며, 함양에서 나눠 끊는게 제일 현실적이다. 또한, 노선의 90%를 차지하는 전주~진주 구간을 오로지 구도로와 국도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완주 시 직행보다 운임이 1만원 더 비싼 편이며, 5시간에 달하는 운행시간 때문에 일 1회만 운행한다. 때문에 직행버스로 여행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시간적인 면이나 비용적인 면에서도 직행보단 직통을 이용하는 편이 더 낫다.[* 직행의 경우 기종점간 수요보다는 구간수요를 목적으로 운용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구조상 불가피하게 국도와 구도로를 주로 이용해야 하며, 이 때문에 비용이 직통보다 운임이 더 비쌀 수밖에 없는 것이다.] * [[동양고속]]이 운행하는 [[고속버스 전주-부산]]과 경쟁중이며, 이로 인해 부팸도 이 노선 광고를 열심히 하고 있다. * 만약 [[육군훈련소]]로 가는데 [[고속버스 논산-부산]] 차표를 구하지 못했거나 서부산에서 출발한다면 이 노선을 이용한 뒤 [[전주역]]으로 이동하여 철도를 이용, [[논산역]]에서 내리는 것이 낫다. 논산에서는 역 광장에서 길을 건넌 후, 맞은 편 정류장에서 '입영심사대' 행 버스를 타면 된다. 이 경우 부산발 전주행 6:10 출발 첫차를 이용해야 여유있게 [[육군훈련소]]에 들어갈 수 있다. * 직통편은 우등차량이, 직행편은 일반차량이 투입되는 편이다. 싸게 가려면 [[시외버스 부산서부-창원·마산]]을 타고 [[마산시외버스터미널]]에 내려 마산에서 전주가는 버스를 타거나[* 마산~전주는 장거리지만 특이하게 전회일반이다.] 시간에 맞춰 서비스우등 시간을 타야하며, 직통편도 일 2회 일반요금으로 운행하고 있으나 일반요금으로 28인승 차량을 투입하는 '서비스우등'이 들어간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 [[파일:BGL_logo.svg|width=17]]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 [[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전주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