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 출발 전환시외 노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부3166.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시외버스 서울경부 ↔ 용인}}}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시외 서울경부-용인 노선도.jp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용인공용버스터미널)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서울고속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6:30 ||<|2> 기점행 || 첫차 || 06:30 || || 막차 || 21:10 || 막차 || 22:30 || ||<-2> 배차간격 ||<-4> 15~70분 (1일 21회) || ||<-2> 운수사명 || [[동부고속]] ||<-2> 인가대수 || 4대 || ||<-3> {{{#ffffff 경유 정류장}}} || || '''용인''' ||<|3> ↔ || '''서울(강남)''' ||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2>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 유림동.방축 || == 개요 == [[동부고속]]이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1.9km다. == 역사 == * [[동부고속]]이 1972년 7월 5일부터 서울경부-이천/서울경부-여주와 함께 신설한 최초의 고속버스 노선이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2070500239102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2-07-05&officeId=00023&pageNo=2&printNo=15766&publishType=00010|#]] * 일자미상 '유림동·방축'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하게 됐다. * 2010년 11월 15일부터 거리가 100km 이상인 노선만 [[고속버스]]로 운행할 수 있게 되어 [[시외버스]]로 전환했다. * 2017년 여름에 GBIS에서 삭제됐다. == 특징 == *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며 [[E-Pass]] 사용도 가능하다. 하지만 [[고속버스 프리패스]] 사용이 불가능하다. * '유림동·방축' 정차 이외에는 개통 이후 한 번도 노선이 바뀌지 않았다. * [[경남여객]]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들이 많지만 정류장이 많아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편하고 빠르게 앉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이 이용한다.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광역급행버스에 가깝다. * 지정좌석제로 운행되며 입석승차가 금지된다. 특히 용인발 7시 10분차와 서울발 18시 20분, 19시 10분차는 출퇴근 수요가 많아 며칠전부터 매진되기 때문에 예매가 필수이다. * 요금이 저렴한 편이며 중고생, 대학생 할인도 가능하다. * [[처인구]]의 열악한 교통 사정으로 인해 현재도 수요가 많다. 개통하고 50년이 넘도록 폐선되지 않은 건 [[용인시]]의 교통 문제가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사실을 보여준다. * [[경남여객]]에서 해당 노선과 비슷한 8211번를 운행하였다.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에서 [[강남역]]을 오가는 노선이었는데 애매한 배차간격과 정류장 선정으로 폐선되었다. 하지만 인구가 늘어난 현재의 시점에서 8211번이 살아있었다면 해당 노선의 인기는 장담하지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경남여객]]의 [[용인 버스 5001|5001번]], [[용인 버스 5002|5002번]]과 경쟁하는데 시간만 놓고 보면 용인행 노선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 경부/영동선 노선 중 운행거리와 소요시간이 제일 짧은 노선이다.[* 반대로 호남선 노선 중 거리와 시간이 제일 짧은 노선은 [[고속버스 서울호남-당진|서울 - 당진]] 노선이며, 경부/영동선에서 소요시간이 제일 긴 노선은 [[고속버스 서울경부-김해|서울 - 김해]] 노선이다.] * 서울발 1회차, 2회차를 제외하고는 용인주재 고정차량 4대로 운행한다. 직행/고속 구분 없이 차량을 투입하는 동부고속 특성 상 아이러니하게도 고정차량은 강원도 차적이다. 현재는 [[대원고속]]에 매각된 [[고속버스 용인-부산]], [[고속버스 용인-부산사상]], [[고속버스 용인-진주]], [[고속버스 용인-광주]] 노선 출신 승무사원들이 운행하기 때문에 대부분 고참 승무사원들이 운행한다. === 시간표 === || {{{#ffffff 시외버스 서울경부-용인 운행시간표}}}[br]{{{#ffffff 2023년 10월 12일 기준 /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51532|출처]]}}} || || [[파일:동부용인시간표20231012.png|width=100%]] || === 요금 === || 구분 || 서울-유림동.방축 || 서울-용인 || || 성인 || 3,100 || 3,600 || || 대학생 || 2,500 || 2,900 || || 중고생 || 2,200 || 2,500 || || 어린이 || 1,600 || 1,800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 고속터미널역 * [[파일:EverLine_icon.svg|width=17]] [[용인 에버라인]]: [[보평역]][* 유림동.방축 정류장에서 약 650m 떨어져 있다.], [[운동장·송담대역]][* 용인터미널에서 약 600m 떨어져 있다.] [[분류:시외버스]] [[분류:1972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