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경주 슈퍼스타.jpg|width=100%]] || [[파일:경주대구 랩핑.jpg|width=100%]] || || [[아성고속]] 동대구-경주시외 || [[금호고속]] 동대구-경주고속 || [목차] == 노선 정보 == ||<-6><:><#ef0010>{{{#ffffff 시외버스 동대구-경주고속}}}|| ||<-2><:>기점||<:>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2><:>종점||<:>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경주고속버스터미널]])|| ||<|2><:>종점행||<:>첫차||<:>07:00||<|2><:>기점행||<:>첫차||<:>07:00|| ||<:>막차||<:>21:00||<:>막차||<:>21:00|| ||<-2><:>배차간격||<-4><:>60~90분(1일 14회)|| ||<-2><:>운수사명||<:>[[금호고속]]||<-2><:>인가대수||<:>4대|| ||<-2><:>상세 노선||<-4><:>[[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 [[용계역#s-6.1|용계고속시외버스정류장]] - [[동대구IC|{{{#aaaaaa 동대구IC}}}]] - [[중앙고속도로|{{{#aaaaaa 중앙고속도로}}}]] - [[동대구JC|{{{#aaaaaa 동대구JC}}}]] - [[경부고속도로|{{{#aaaaaa 경부고속도로}}}]] - [[경주IC|{{{#aaaaaa 경주IC}}}]]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6><:><#737373>{{{#ffffff 시외버스 동대구-경주시외}}}|| ||<-2><:>기점||<:>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2><:>종점||<:>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경주시외버스터미널]])[br]|| ||<|2><:>종점행||<:>첫차||<:>07:30||<|2><:>기점행||<:>첫차||<:>07:30|| ||<:>막차||<:>22:00||<:>막차||<:>22:00|| ||<-2><:>배차간격||<-4><:>20~40분(1일 28회)|| ||<-2><:>운수사명||<:>[[금아리무진]], [[아성고속]], [[천마고속]]||<-2><:>인가대수||<:>8대[* 금아리무진 4대, 아성고속 2대, 천마고속 2대.]|| ||<-2><:>상세 노선||<-4><:>[[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 [[용계역#s-6.1|용계고속시외버스정류장]] - [[동대구IC|{{{#aaaaaa 동대구IC}}}]] - [[중앙고속도로|{{{#aaaaaa 중앙고속도로}}}]] - [[동대구JC|{{{#aaaaaa 동대구JC}}}]] - [[경부고속도로|{{{#aaaaaa 경부고속도로}}}]] - [[경주IC|{{{#aaaaaa 경주IC}}}]][* 과거에는 경주시내에 차가 심각하게 밀리거나 사고가 났거나 하면 건천IC로 진출입하기도 했으나 강변로 개통 이후 무조건 경주IC로 진출입한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mansu9925&logNo=222503397364&parentCategoryNo=&categoryNo=12&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List|강변로 미개통 시절 건천IC로 진출한 실제 사례]]]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 개요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과 [[경주고속버스터미널]]/[[경주시외버스터미널]]을 잇는 [[금호고속]], [[금아리무진]], [[아성고속]], [[천마고속]]의 [[시외버스]] 노선.[* [[금호고속]] 노선의 경우 [[금호고속]] 1팀(고속부)에서 운행하던 고속버스였으나, 고속버스 거리요건 미달(운행거리가 69km)로 [[전환시외|시외버스로 면허가 전환되었다.]]] 왕복 운행 거리는 137km. 카카오맵 기준 [[경주고속버스터미널]]은 138.8km,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은 139km. == 역사 == === [[금호고속]] 노선 === * [[동양고속]]과 [[코오롱고속]]의 [[공동 배차]]로 운행했으며, [[코오롱고속]]이 [[금호고속]]에 넘어가고 동양고속이 철수하면서 [[금호고속]]이 단독으로 운행한다. * 2010년 11월 15일에 시외버스운송사업규정이 변경되면서[* 100km 이상 미충족.] 고속버스에서 시외버스로 전환되었다. * 2021년 3월 1일부로 [[금아리무진]], [[아성고속]], [[천마고속]]과의 통합으로 시외전산으로 전환되어 [[E-Pass]]와 [[고속버스 프리패스]]를 사용할수 없게 되었으며 예매도 KOBUS에서 BUSTAGO로 바뀌고 [[용계역]]에서 승차가 가능해졌다.[* 기존에는 시외버스와의 경쟁으로 용계에서는 승차가 불가능했다.][* 주의할 점이 있는데, 용계는 정확히 [[용계역]]에 내려주지 않는다. 정확히는 '강변동서마을'에 내려준다.] 그러나 운수사는 그대로 [[금호고속]] 1팀에서 운행하며, [[금아리무진]]과 [[아성고속|아성]][[천마고속|천마]]의 시외터미널 노선과 통합하여 운행한다. 다만 터미널까지 통합되지는 않았기 때문에 경주에서 대구로 갈때 금호고속 시간대에는 고속터미널에서 승차해야 하고 금아리무진과 아성 천마 시간대에는 시외터미널에서 승차해야 한다. 그나마 다행인건 시외랑 고속터미널이 서로 붙어있다.[* [[포항시|윗 동네]]가 시외터미널과 고속터미널이 떨어져 있어 시내버스나 택시를 타고 왕래해야 한다는 점과 큰 차이다.] === 공통 === * '''1912년 9월'''에 개통하였다. 한반도 역사상 가장 오래된 시외버스 중 하나다. 2020년 12월 1일부터 우등할증을 한다. 또한 이로 인해 금아리무진 3번째 우등할증 노선이 되었으며 금아버스그룹 7번째 우등할증 노선이 되었다.[* 반면 [[시외버스 대구서부-경주|대구서부]]/[[시외버스 대구북부-포항|대구북부 출발]]은 동대구-경주 우등할증 이후에도 2년동안 실시하지 않다가 2022년 12월 15일 부터 [[시외버스 대구서부-경주]]에 먼저 우등할증이 들어갔으며 2023년 3월 15일 부터 [[시외버스 대구북부-포항]]에 우등할증을 실시해 대구-경주간 계통중 일반은 전멸하였다.] 다만 30% 할증은 아니고 정상 우등요금에 비해서는 10%정도 할인된 금액이다. 경주역이 신경주역으로 통폐합되면 동대구-경주간 무궁화호 수요를 고스란히 흡수하기 때문에 이용객이 폭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신경주역의 시내와 주요관광지 간 접근성이 엉망진창이기 때문이다. 아니나다를까 무궁화호 수요를 거의 대부분 흡수하면서 이용객이 폭증하고 있다. 다만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부산서부-포항]] 노선 등과는 다르게 폭발적인 매진은 잘 안 일어나고 있는데, 일단 동대구-경주는 부산서부-포항에 비해 공급량이 '''2배'''나 되는 데다가 대구는 각 터미널에서의 시내 접근성이 전부 비슷하기 때문. [[서경주역]]은 그나마 시내에서 가깝긴 하나 [[무궁화호]] 정차횟수가 적으며 그렇기 때문에 지역신문을 중심으로 [[경주역|신경주역]] 보다 시내접근성이 좋은 [[서경주역]]에 지금보다 더 많은 무궁화호를 정차시키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후 2022년 11월 1일 부터 정상적으로 30% 할증을 징수하게 되었다. === [[금아리무진]], [[아성고속]], [[천마고속]] 노선 === * 동대구터미널로 통합 이전에는 [[동부정류장]]에서 승하차를 실시했다. 동부정류장은 가장 가까운 도시철도역인 [[동대구역]]과 떨어져 있어 배차는 더 조밀하지만 [[동부정류장]]과 지하철역 접근성이 불량해 수요는 [[동대구역]] 바로 옆인 [[대구고속버스터미널]]로 가는 [[금호고속]]과 비슷했다. * 2016년 12월 12일에 대구고속버스터미널과 [[동부정류장]]이 통합되고 동대구터미널로 이전하자 불타는 경쟁이 시작되었다. * 2017년 10월 18일에 [[천마고속]]이 운행하던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완행이 [[경주고속버스터미널|경주고속]]을 중심으로 단축되고 9회에서 2회로 대폭 감축되었다. 2018년 1월 18일 수요 부족으로 양측 완행 모두 폐지하면서 동대구 - 경주고속완행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 2018년 3월 부터 경주방면에 한해 좌석제가 시행되었다.[* 동시에 영천-청송,죽장, 포항, 영덕-울진, 강릉-속초, 하양-영천-안강-포항 같은 계통 역시 모두 좌석제가 시행되었다.] * 2018년 6월 28일, [[영천버스터미널|영천]], 임포, [[아화정류장|아화]], [[건천정류장|건천]]을 거치는 직행과 추가로 하양, 금호도 거치는 완행이 모두 폐지되면서 [[시외버스 동대구-경주(완행)|동대구-경주완행]]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 2018년 12월 11일, [[아성고속]], [[천마고속]]이 1일 2회 포항-경주-동대구 계통을 대구공항까지 연장하였다. 이후 2019년 2월, [[금아리무진]]도 공동배차에 참여하기 시작해 일 2회에서 4회로 늘어났다. * 2020년 2월 26일, 코로나19로 인해 [[울진종합버스터미널|울진]]이나 [[강릉시외버스터미널|강릉]]까지 올라가던 완행은 전부 [[포항터미널|포항]]으로 단축되고 [[시외버스 포항-울진|포항-울진완행]]으로 분리되었다. 또한 분리로 인해 경주-영덕, 울진 버스가 전회 운행이 중지되었다. 이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 이후 2020년 7월 쯤, [[포항터미널|포항]]까지 올라가던 노선도 경주로 전회 단축되었다. * 2020년 11월 1일 부터 전회 서비스우등으로 바뀌었고 12월 1일 부터 우등할증을 시작하였으며 경주→동대구 방면도 우등할증이 시작되었고 좌석제가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경주에서 대구 수성구 방면으로 갈 때는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것 보다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행을 타고 영남대에서 내려 2호선을 타는 것이 1000원 이상 저렴해지게 되었다.] * 2021년 3월 1일 부로 [[금호고속]] 노선이랑 통합을 하면서 오랫동안 이어지던 경쟁은 이제 끝나게 되었다. * 2023년 1월 기준, 동대구-울진완행이 폐지 승인되어 폐선처리 되었다.[* 국민신문고 답변 및 2023년 1월 26일 경주시외버스터미널 홈페이지에서 확인.] == 특징 == === [[금호고속]] 노선 === * [[금아리무진]]/[[아성고속]]/[[천마고속]]의 노선보다 운행 횟수가 적은 편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둘 다 비슷한 운행 횟수가 되었다가 통합으로 인해 고속버스 운행횟수가 시외버스 운행횟수의 50%가 되었다. * [[경주고속버스터미널]]방향은 시외버스와 달리 [[용계역]]매표소에서 중간 승차할 수 없었으나 2021년 3월부터 시외전산으로 바뀌며 용계역에서도 승차가 가능해졌다. * 과거 [[경주역|신경주역]] 개통 이전에는 [[동대구역]] KTX [[리무진버스]] 역할을 맡기도 했다. * 차량은 금호고속 대구영업소에서 가장 말년인 10~12년식 차량들을 일부 고정투입한다. 고정차량에는 E-pass단말기를 제거하고 C-pass단말기로 교체되었다. 이는 금호고속 영업1팀에서는 유일하게 C-pass가 달린 차량이다. 가끔 고정이 아닌 차량이 들어가는 경우 장착된 E-Pass 단말기가 꺼진 상태로 운행한다. --요즘에는 아무 차량이나 무작위로 투입하고 있어 단말기로 검표를 안하는 경우도 많다. * LED행선판이 시외전산전환과 함께 C-pass 도입으로 행선판 시스템이 기존 E-pass 시스템에서 금호고속 관제시스템으로 변경되어 행선판에는 대구←→경주 로 표출되고 경유지인 용계는 표시가 되지 않는다. 영어는 표시가 된다. * 요즘은 차량도 동대구영업소 차량이 무작위로 투입이되고 LED행선판도 E-pass 시스템[* 기존에 노선과 동일하게 초기화면에서 사원번호 로그인후 수동입력을 통해 노선과 시간을 입력한다. 그러고 이노선은 시외버스로 이관되었기에 단말기에 조회실패 문구와 함께 행선안내 버튼이 나온후 그것을 클릭하여 행선안내기를 표출한다.]을 통해 노선이 표출되어 동대구→경주 로 원래대로 표출되고 있다. 검표는 모바일은 버스타고 승무사원 전용앱으로[* 철도와 비슷하게 승무사원이 휴대폰을 통해 착석된 좌석과 그 승차권을 확인후 앱에다가 검표완료를 시켜 검표한다.] 진행하며 종이승차권의 경우 통째로 회수하므로 영수증이 필요한 승객은 영수증을 요청해야 한다. * 용계 하차시에는 반드시 '''[[버스타고]]'''로 발권해야 한다. '''[[티머니GO]]'''에서는 용계 행선지가 없으며 티머니GO로 용계 하차 시에는 그대로 '''동대구''' 요금으로 발권해야 한다. * 가끔 경주-동대구 운행후 동대구 - [[유스퀘어|광주]] 등으로 회송하는 경우가 있다. === [[금아리무진]], [[아성고속]], [[천마고속]] 노선 === * 코로나 이전에는 포항 혹은 [[울진종합버스터미널|울진]], 더 나아가서는 [[강릉시외버스터미널|강릉]] 혹은 [[속초시외버스터미널|속초]]까지 운행했지만, 경주를 경유하기 때문에 일반 이용자는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을 이용했으며,[* 그나마도 이 노선이 코로나19 이후로는 경주 종착으로 단축되면서 사실상 동대구-포항, 동대구-경주로 분리된 것이나 마찬가지가 되었다.][* 만약에 이 노선이 다시 포항, 울진, 강릉까지 운행한다면 요금 계산에 문제가 생긴다. 이유는 포항경유는 아직 일반인데 직행 노선과 경주 노선은 우등할증을 했기 때문. 그리고 동대구-영덕, 동대구-울진 노선이 원래는 경주, 포항경유로 요금이 계산되어 있었다. 경주 노선은 우등할증을 한지라 만약에 이대로 다시 연장시킨다면 경주 경유는 직행보다 더 비싼 요금에 이용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 직통은 1시간 10분, 경주경유는 1시간 30분, 완행은 2시간 20분 정도 소요된다. * 코로나 이전에는 [[시외버스 부산-포항|포항-경주-부산 노선]]과 함께 포항-경주 구간 수요 승객을 분담하였으며,[* 코로나 19 이후로는 [[시외버스 부산-포항|포항-경주-부산 노선]]이 사실상 포항-경주 구간 승객을 전담하다시피 하고있다.] 현재는 경주 종착으로 단축 후 시외우등으로 전환하였으며, 2021년 3윌 1일부터 [[금호고속]]의 노선과 통합하여 운행한다. 경주, 포항 경유 동해안 완행 노선들도 포항-울진완행으로 단축되었다. 현재 상황등을 고려했을때 다시 동대구로 연장될 가능성은 적은편. * [[아성고속]], [[천마고속]] 배차는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까지만 운행한 후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으로 회송해서 수도권으로 가는 배차도 있었다. * 대구에서 강릉으로 갈 경우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발]]은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 대구북부-속초|노선]]을 타는 것이 훨씬 나으며, 설령 동대구발을 타더라도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를 거치는 완행을 타는 것은 당연히 비추천이고, 경주를 거치지 않는 준직행/직행을 타는 것이 낫다. * 동대구발 울진완행 첫차와 울진발 동대구완행 첫차가 상당히 빨랐던 시기가 있었다. 동대구발 울진행 첫차는 무려'''04:30'''에 출발했으며, 한술더떠 울진발은 '''04:10'''에 첫차가 출발했다. 그나마 울진발 첫차는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를 거치지 않았다. 그러나 두 번째 차는 '''04:35''' 이었고, 이 차는 경주를 거쳤다. 심지어 [[시외버스 태백-동서울|동서울-태백 노선]] 마냥 카지노 등 외부 요인도 없었는데 말이다. * 경주TG 통과후 나정교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강변로를 통해 직진 후 터미널네거리를 통해 터미널에 진입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용계역]]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관련 문서 == * [[시외버스 부산-포항]] *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 * [[시외버스 동대구-울진]]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시외버스)] [include(틀:경주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시외버스 동대구-포항(경주), version=23)] [[분류:시외버스]][[분류:대구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경주시의 시외버스]][[분류:1950년 이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