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원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김해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대전복합↔창원}}} || ||<-2><:>기점||<:>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2><:>종점||<:>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창원종합버스터미널]])[br]경상남도 김해시 외동([[김해여객터미널]])|| ||<|2><:>종점행||<:>첫차||<:>07:00||<|2><:>기점행||<:>첫차||<:>07:10|| ||<:>막차||<:>20:00||<:>막차||<:>20:00|| ||<-2><:>운수사명||<:>[[중부고속]]||<-2><:>배차||<:>일 12회|| ||<-2><:>노선||<-4><:>[[대전복합터미널]] - [[대전IC|{{{#bbb 대전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김천JC|{{{#bbb 김천JC}}}]] - [[중부내륙고속도로|{{{#bbb 중부내륙고속도로}}}]] - [[내서JC|{{{#bbb 내서JC}}}]]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bbb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동마산IC|{{{#bbb 동마산IC}}}]]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1020번 지방도|{{{#bbb 1020번 지방도}}}]] - [[김해여객터미널]])[* 일 4회 [[김해여객터미널]] 시종착]|| == 개요 == [[대전광역시]]와 [[경상남도]] [[창원시]](마산, 창원)를 잇는 시외버스로 [[중부고속]]이 단독운행 중이다.[* 과거에는 [[금호고속]], [[삼화고속]]과 공동배차했지만 일반요금에 우등차량을 넣는 방식으로 경쟁에서 승리했다.] == 특징 == * 전회 시외우등으로 운행하며, 일 4회 [[김해여객터미널]]까지 연장운행한다. * 예전에는 [[내서고속버스터미널]]도 경유했으나 수요저조로 인해 2018년 5월부로 경유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함안에서 대전까지 가려면 [[마산시외버스터미널]]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이 생겼다. 아니면 [[함안역]]에서 1일 2회 운행하는 [[ITX-새마을]]을 타고 [[대전역]]까지 가든지 진주역행 열차를 타서 개양으로 가서 [[시외버스 진주-대전복합]]을 타야한다. * 금남중부의 유일한 영남권 노선이다.[* 예전에 [[금남고속]]에서 동대구 - 서산, 동대구 - 유성, 포항 - 경주 - 안산 - 인천, 포항 - 경주 - 세종 - 천안을 운행한 적이 있다가 코로나19로 인해 철수했다. 중부고속에서는 [[고속버스 천안-창원|천안 ~ 마산 ~ 창원]] 노선을 굴린적이 있다가 철수했다.] * 코로나-19 상황에서 부산 광역권 ~ 대전 구간 노선 중 운행 횟수가 그나마 많은 노선 중 하나라서, [[고속버스 대전복합-부산]]과 [[고속버스 대전복합-부산사상]] 노선이 폐지된 현재는 철도와 함께 대전에서 부산으로 가는 대체 운송수단으로의 역할을 하는 노선이 되었다.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 부산서부-창원·마산|시외버스 부산서부-마산]]이나 [[동래시외버스정류소]]에서 [[시외버스 마산-동래-부산]]을 이용한 뒤 [[마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이 노선으로 환승해야한다. 사상 출발 기준으로 이 노선의 마산 출발 1시간 10분~30분 전에는 부산을 떠나야하며[* 출퇴근시간에는 2시간을 잡는 것이 좋다. 동래에서 출발한다면 [[만덕2터널]] 정체로 인해 여기서 20분 정도 더 잡아서 1시간 40분 ~ 2시간 20분 전에는 출발해야한다.], 반대로 대전에서 부산으로 갈 때는 마산에 도착한 뒤 아무 시간대나 사상터미널행 또는 동래행 버스로 환승하면 된다. 단, 동래행은 사상행보다 배차가 적다. 마산 ~ 대전 기준으로 일 10회 운행중이다. 일부 편성은 김해까지도 가지만 강서구 [[대사역|대사리]], 대저안동네[* 부산서부에서 대저안동네로 바로 가는 버스가 없다.], [[강동동(부산)|강동동]], [[가락동(부산)|가락동]] 지역이 목적지가 아니면 요금 및 소요시간 문제로 마산에서 환승하는 것이 낫다.[* 김해 연장노선을 통해 부산으로 가는 것에 대한 유용성은 [[부산교도소]], 대저안동네 즈음까지가 한계다. 물론 시간이 맞지 않으면 부산서부로 간 뒤 거슬러 올라가야하는 건 똑같다.] * 그리고 현재 [[고속버스 천안-창원|천안-창원]]이 운행중지 되어 창원/마산에서 이 노선 이용후 대전에서 [[시외버스 천안-대전복합]]으로 가려는 수요도 있다. * 아주 예전에는 경기도 안양까지 운행했다고 하나 소리소문없이 대전으로 단축되었다.[[https://m.dcinside.com/board/station/39998|#]] 현재 창원에서 안양을 가려면 [[시외버스 안산-창원|안산행 버스]]를 이용해 [[오산역환승센터|오산]]에 내려서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을 타고 안양으로 가면 된다. * 원래는 마산선과 창원선이 분리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코로나19로 인해 통합된 것이다. * 김해~마산 구간은 창원을 거치는 관계로 과거 일반 시절부터 구간승차가 불가능했으며, 김해~창원 구간은 [[창원터널]]을 중간에 통과하나, 남산동에는 서지 않으며 구간승차는 불가능하고, [[창원터널]]의 정체가 심할시에는 불모산터널로 우회한다. 과거 구간승차를 허용했을 때에도 남산동에는 하차가 불가능, 이를 이용하여 CECO 등 중부 창원으로 가는 승객들이 이용하기도 했다. * 김해발은 원래 [[창원역]]도 경유했지만 코로나 이후로 창원역 무정차로 바뀌었다. * 전 차량 SD급 28석 유니버스로 운행되며, 베개시트가 탑재된 차량이 대다수이다. == 운임표 == 대전-마산 어른: 19,800원 / 중고생: 15,800원 / 아동: 9,900원 대전-창원 어른: 21,000원 / 중고생: 16,800원 / 아동: 10,500원 대전-김해 어른: 25,600원 / 중고생: 20,500원 / 아동: 12,800원 [[분류: 시외버스]][[분류:창원시의 시외버스]][[분류:김해시의 시외버스]][[분류:대전광역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