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운행중단)] || [[파일:북부구미진안1358.jpg|width=100%]] || [[파일:해운대고속 1013 파크웨이.jpg|width=100%]] || || [[진안고속]][* 코리아와이드 진안 시절 촬영된 사진이다.]에서 운행하던 시절 || 현재 [[해운대고속]]에서 운행하는 모습 ||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대구북부-구미}}} || ||<-2><:>기점||<:>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북부정류장|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2><:>종점||<:>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구미종합터미널]])|| ||<|2><:>종점행||<:>첫차||<:>07:30||<|2><:>기점행||<:>첫차||<:>08:50|| ||<:>막차||<:>19:40||<:>막차||<:>21:10|| ||<-2><:>배차||<:>1일 4회||<-2><:>운수사명||<:>[[해운대고속]]|| ||<-2><:>노선||<-4><:> [[북부정류장|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 ( → [[서대구역]]정류소 ) - [[서대구IC|{{{#bbb 서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bbb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금호JC|{{{#bbb 금호J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남구미IC|{{{#bbb 남구미IC}}}]] - 구미복지정류장 - 구미공단정류장 - [[구미종합터미널]]|| == 개요 ==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과 구미종합터미널을 잇는 노선이다. == 역사 == * 과거 배차간격이 짧은 시절에는 15~30분 배차간격으로 다녔다. * 2017년 12월 1일에 1일 45회에서 1일 32회로 감회되었다. * 2018년 6월 28일에 1일 32회에서 1일 23회로 감회되어 대구북부-[[선산터미널|선산]] 노선도 1일 1회만 남고 선산종착이 폐지되었으며, 도개, 옥성, 안동, 영주종착도 폐지되었다.[* 최후로 남은 대구-선산 노선에 대한 정보는 [[시외버스 대구북부-안계(선산)]] 문서 참조.] * 2018년 11월 23일에 12회로 감회되었다.[* 같은 날에 [[시외버스 동대구-구미|동대구-구미]]도 8회로 감회되었다.][* 동시에 대구에서 고아, [[선산터미널|선산]], 옥성, 도개, 용댐이, 낙정, 낙동, 생물, 생송행이 폐지되었으며, [[마성정류장|마성]], [[문경버스터미널|문경]], 연풍, [[수안보시외버스정류장|수안보]]행도 폐지되었다.] * 2019년 2월 12일에 인천공항행이 개통되자 대구 → 구미 한정으로 1일 12회에서 1일 13회로 증회되었다.[* 일반요금으로 우등투입.] * 2020년 2월에 코로나19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5월 15일부터 운행을 재개했으며, 현재 운행횟수는 '''4회'''다. * 2021년 5월 1일부터 운행업체가 [[진안고속]]에서 [[해운대고속]]으로 변경된다. 해운대고속의 [[아웃 ○○ 노선|아웃 경남 노선]]이며, 운행횟수가 일 4회에서 9회로 증회된다. [[선산터미널|선산]]행은 부활하지 않았다.[* 사실 선산행 부활이유가 없다. 이유는 선산의 인구도 굉장히 많이 줄어들었고, 주 52시간제로 인하여 배차가 굉장히 많이 감축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완행노선이 감축추세이다.] * 2021년 9월 1일부터 다시 4회로 감회된다. * 2022년 6월 미상 [[서대구역]]을 경유한다.[* 구미에서 [[용산역(대구)|용산역]]을 하차때만 경유하는 [[서부정류장]]행과 달리 [[서대구역]]을 구미로 나갈때만 경유하고 돌아올때는 경유하지 않는것으로 추정 요금은 3600원이며 돌아오는 방향은 시간때가 안맞으면 [[구미역]]에서 열차를 이용해 [[대구역]]으로 가는게 시간적으로 빠르고 요금도 훨씬 싸다.] * 2023년 3월 21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따라서 대구서부 ↔ 구미 버스를 이용하거나 시간대가 안맞으면 구미역에서 열차를 이용하여 대구역으로 가는것이 좋다. 서대구권에서는 [[북부정류장]]이나 [[문양역]]에서 [[왜관읍]]으로 가는 버스를 탄 뒤에 구미 노선을 알뜰하게 이용할 수 있다. == 특징 == * [[진안고속]]의 주력 노선이였다. 주력노선인 만큼 배차간격도 제일 짧은편이었으나 2018년 11월 23일부터 12~13회로 대폭 감회되었다. 그리고 1일 4회로 더 감회되다가, 2021년 5월 1일부터 아예 [[해운대고속]]에 떠넘긴다. 그러다가 2021년 9월 1일 부터 다시 4회로 감회되었고, 2023년 3월 21일부터는 아예 운휴에 들어갔다. * 배차간격이 짧았던 시절에는 절반 정도가 [[선산터미널|선산]]에 시종착했고 혹은 상주, 점촌 [[시외버스 대구북부-안계(선산)|안계종착]]도 있었고 [[안동터미널|안동]], [[영주종합터미널|영주]] 종착도 있었으며, 1일 2회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까지 완행으로 운행했으나[* 북부정류장에서는 [[수안보시외버스정류장|수안보]]까지 발급이 가능했다.], 대폭 감회된 이후로는 구미행 1회 서비스 우등이 [[인천공항터미널]] 제2터미널까지 운행하는걸 제외하면 전부 구미종합터미널에서 시종착한다.[* 그러나 [[인천공항터미널|인천국제공항]]행도 운행이 중단된 이후에는 전부 [[구미종합터미널|구미]]에서 시종착한다.] * 구미에서 강원도 방면 버스가 부실한 탓인지[* 원주행이 1일 6회만 있으며 그것도 안동,영주를 거쳐 시간도 오래 걸리고 요금도 매우 비싸다.] 구미에서 강원도로 갈 때 이 노선을 타고 북부에서 강원도 방면 버스를 타는 경우가 있었다. * 대구-구미간 시외버스 중 요금이 가장 싼 3,900원이다.[* [[시외버스 대구서부-구미]] 4,200원, [[시외버스 동대구-구미]] 5,000원, 다만 구미-동대구간 무궁화호가 3,200원(대구역은 3,000원)으로 더 싸다. 단, 대구북부는 철도교통이 불편하므로 이 점은 유의해야 한다.] * 실제로 대구-구미 구간은 기차로도 많은 이동이 있는 구간이다 보니 이 노선에도 사람이 많이 몰리는 편이다. * 대구-구미 구간을 다니는 [[무궁화호]]로도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보니 이 노선에도 사람이 많이 몰리는 편인데 그래서인지 일정 시간대에는 표가 매진되는 것은 기본이다. 사실상 시외버스 버전의 무궁화호라고 봐도 무방하다. * 다만 대구 시내구간과는 거리가 꽤 있는 편으로 이동할 때는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 앞에 있는 버스정류장이나 환승센터를 이용해서 시내버스를 이용해 가거나 도보로 약 10분정도 걸어서 [[만평역]]으로 가서 도시철도로 타고 가야한다. 동성로를 끼고 있는 [[대구역]]과는 다르게 바로 시내로 이동할 수 없다는 건 단점.[* 그래서 구미 주민들이 대구로 쇼핑갈때 시외버스 보다는 [[구미역]]~[[대구역]] 혹은 [[동대구역]] 열차편을 선호하는 편이다.] === 시간표 === ||<-3> {{{#ffffff 시외버스 대구북부 ↔ 구미 운행시간표[br]2021년 9월 1일 기준 / 출처 미상}}} || || 횟수 || 대구북부 || 구미 || || 1 || 07:30 || 08:50 || || 2 || 10:30 || 12:30 || || 3 || 16:00 || 18:00 || || 4 || 19:40 || 21:00 || === 요금 === [[서대구역]]요금은 북부정류장 요금에서 300원 할인되어 적용한다. || || '''성인''' || '''중,고생(10% 할인)''' || '''초등생 이하(50% 할인)''' || || '''대구북부-구미''' || 4,100 || 3,700 || 2,100 || || '''대구북부-구미공단''' || 3,600 || 3,200 || 1,800 || || '''대구북부-구미복지''' || 3,300 || 3,000 || 1,700 ||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서대구역]](KTX , SRT) == 둘러보기 == [include(틀:구미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분류: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