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6><:> {{{#ffffff 시외버스 김해공항↔포항}}} || ||<-2><:>기점||<:>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김해국제공항]])||<-2><:>종점||<:>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도동([[포항터미널]])|| ||<|2><:>포항행||<:>첫차||<:>07:20||<|2><:>김해공항행||<:>첫차||<:>05:00|| ||<:>막차||<:>22:00||<:>막차||<:>19:20|| ||<-2><:>운수사명||<:>[[천마관광]]||<-2><:>배차간격||<:>1일 12회|| ||<-2><:>상세 노선||<-4><:> [[김해국제공항]] ↔ [[공항진입로|{{{#bbb 공항진입로}}}]] - [[공항로(부산)|{{{#bbb 공항로}}}]] - [[김해공항IC|{{{#bbb 김해공항IC}}}]] - [[중앙고속도로지선|{{{#bbb 중앙고속도로(삼락-대동)}}}]] - [[대동JC|{{{#bbb 대동JC}}}]] - [[중앙고속도로지선|{{{#bbb 중앙고속도로지선}}}]] - [[양산JC|{{{#bbb 양산J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경주IC|{{{#bbb 경주IC}}}]] - [[강변로(경주)|{{{#bbb 강변로}}}]]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강변로(경주)|{{{#bbb 강변로}}}]] - [[산업로(울산)|{{{#bbb 산업로}}}]]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포항터미널]] || == 개요 ==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대동동 [[김해국제공항]]과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 상도동 [[포항터미널]]을 잇는 노선. == 역사 == * 언제부터 였는지는 불명이지만, 45인승으로 개통하며 역사가 시작되었다. * 이후 일자불명으로 45인승에서 35인승으로 교체되었으며, [[금아버스그룹]]의 마지막 35인승 노선이 되었다. * 2019년 12월 1일 경주에서 타는 장소가 [[경주고속버스터미널]]에서 [[경주시외버스터미널]]로 바뀌었다. * 2020년에 코로나19를 거쳐 대거 줄였으며, 결국 2021년 1월 8일 [[금아고속관광]]에서 천마관광으로 이관될 때는 1일 3회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 2022년 3월에 35인승에서 28인승으로 교체하였으며, 2022년 4월 1일 부터 운행이 중지되었다. * 2022년 7월 21일에 운행을 재개하였다. 이후 2022년 8월 3회로 감회되었다가 2022년 11월 [[한정면허 버스]]에서 [[전환시외|시외면허로 전환]]하면서 6회로 증회를 했다. 하지만, 이때 30% 우등할증을 받기 시작하면서 경주는 요금이 종전과 동일하고 포항은 11000원에서 14200원으로 올랐다. * 2022년 12월 30일 6회에서 9회로 증회를 하였으며, 이후 2023년 4월 7일에는 9회에서 12회로 증회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특징 == * 김해공항에서 경주까지 소요시간은 1시간, 포항까지는 1시간 40분 정도 걸린다.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2시간으로 나와있다. * 과거 한정면허 시절에는 한정면허 특수성으로 김해공항에서 경주까지 '''9000원'''이나 받았다. * 한정면허 시절에도 청소년 할인과 어린이 할인은 받았다. * 공항리무진이라는 특수성으로 포항발 막차가 이르고 첫차가 빠르며 김해공항발 막차가 22:00로 늦다. * 과거 35인승 시절에는 앞자리에 앉은 사람은 가격값을 했던 반면 뒷자리에 앉은 사람은 그야말로 [[창렬]] 그자체였다. * 금아버스그룹 노선 중 유일하게 HD급 차량이 들어가는 노선이다. * 경주-포항간 구간승차가 불가능하다. 과거 한정면허 시절 특수성과 경주내의 터미널의 승차가 달랐기 때문.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과 다르게 정식 인가는 [[68번 지방도]]가 아니라 [[7번 국도]]로 나와있다. * [[금아버스그룹]] 최후의 35인승 노선이었다. * 이 노선을 운영하는 천마관광은 경주에 본사가 있으며 시외버스 운송업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전세버스 업체이다. 참고로 전세부 차량은 금아 고유 도색이 아닌 빨간색으로 도색이 되어있다. * 여담으로 서부산에서 경주/포항으로 갈 때 대체 노선이다. 12회나 되는 나쁘지 않은 운행횟수로 인해 좀 찾는 노선이다. 단, 이 노선은 [[시외버스 마산-포항]], [[시외버스 창원-포항]], [[시외버스 김해-포항]] 등과 다르게 좌석이 좀 남는 편인데, 자전거 적재가 사실상 불가능한데다가 상대적으로 적은 횟수, 포항/경주-김해공항 같은 승객 외의 다른 구간을 영업함으로서 나오는 보완 수요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공항리무진과 과거 한정면허로 인한 비싼 요금 때문에 시민들에게 거부감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좌석 구하기가 쉬운데다 목적지가 장림, 다대포 등 [[하단역]] 이남인 경우에는 한번쯤은 이용해볼만한 노선이다. 단, [[부산 버스 307|307번]] 및 [[부산 버스 강서13|강서13번]]을 이용하는 게 아닌 이상은 [[부산김해경전철]]을 이용해야해서 광역환승요금 500원이 부과된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 참고로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과 요금이 동일하다. 이로써 부산서부-포항의 대체노선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두고 사상터미널이 좁아서 부산서부-포항 노선의 증차가 어렵다보니 변칙적으로 증차하기 위해 시외버스로 전환한 거라는 이야기가 있다. * 포항발 막차를 놓치면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을 이용해야 한다. 반대로 부산서부발 막차를 놓치면 김해공항으로 와서 이 노선을 이용해야한다. == 기타 == * 나무위키의 포항발 동남권 노선 문서 중 가장 늦게 생성된 문서이며, 이 문서를 끝으로 나무위키의 모든 포항발 동남권 시외버스 문서가 수록되었으며 경주에서 동남권 방면 노선도 모두 수록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 [include(틀:경주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포항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경주시의 시외버스]][[분류:포항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