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시아오팅기아}}}[br]Xiaotingia}}}'''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Xiaotingia_fossil.jpg|width=100%]] || ||<#F93> '''학명''' || ''' ''Xiaotingia zhengi'' '''[br]Xu ''et al''., 2011 || ||<-2><#F96>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FC6>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FC6> {{{#000 '''계통군'''}}} ||파라베스^^Paraves^^||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안키오르니스과^^Anchiornithidae^^|| ||<#FC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시아오팅기아속^^''Xiaotingia''^^'''||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시아오팅기아 정기(''X. zhengi'')^^{{{-1 [[모식종]]}}}^^|| || [[파일:external/i.livescience.com/Xiaotingia_reconstruction_Xing_Lida_and_Liu_Yi.jpg|width=100%]] || || 복원도 [[http://www.livescience.com/15246-bird-archaeopteryx-booted-evolution.html|Livescience]] || || [[파일:external/fc07.deviantart.net/xiaotingia_by_qilong-d4284fn.jpg|width=100%]] || || 골격도 [[http://www.deviantart.com/art/Xiaotingia-245602931|Qilong]]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97px-Xiaotingia_SIZE.png|width=100%]] || || 크기 비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쥐라기]] 후기에 지금의 [[중국]] [[랴오닝성]]에서 살았던 [[새|조류]] [[공룡]]. 속명은 '샤오팅의 것'이라는 뜻이고 종명은 중국의 성씨 중 하나인 [[정(성씨)|정(鄭)씨]]의 [[중국어]] 발음에서 따온 것인데, 중국의 저명한 지질학자인 정샤오팅(鄭曉廷)을 기리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안키오르니스]]와 마찬가지로 기존에 [[시조새]]가 갖고 있던 계통분류학적 입지를 크게 흔들어놓은 공룡으로, 대략적인 전체 골격 및 해부학적 특징은 비조류 [[수각류]]에 가깝다고 한다. 하지만 2011년 쉬싱 박사의 분기도에는 따로 [[아르카이옵테릭스|아르카이옵테릭스과]]로 묶여있었는가 하면 2012년 다른 학자의 분기도에서는 우넨라기아보다 원시적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로 분류되었으며, 2017년에는 안키오르니스과의 일종으로 비정하는 논문이 발표되기도 하는 등 구체적인 계통분류학적 위치는 여전히 논쟁 중에 있다. [[분류:안키오르니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