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의 간호사]][[분류:영국의 의사]][[분류:바넷 출신 인물]][[분류:영국의 성공회 신자]][[분류:대영제국 훈장 여성 2등급]][[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출신]][[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출신]][[분류:템플턴상 수상자]][[분류:1918년 출생]][[분류:2005년 사망]][[분류:유방암으로 죽은 인물]] ||
{{{#ffffff '''주요 상훈 이력 및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영제국 훈장(기사작위 수훈자들-여자))] ---- [include(틀:역대 템플턴상 수상자)] }}} || ---- ||<-2>
'''{{{+1 시슬리 손더스}}}''' '''[[기사작위|{{{#cd9f51 Dame}}}]] {{{#cd9f51 Cicely Saunders}}}''' || ||<-2><#edebdf,#1f2023> {{{#!wiki style="margin: -4px -1px -3px" '''{{{-2 {{{#000,#fff [[훈장(상훈)/영국#s-2.4|{{{#000,#fff OM}}}]] [[대영제국 훈장|{{{#000,#fff DBE}}}]] FRCS[* Fellow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br]영국 왕립외과의협회 회원.] FRCP[* Fellow of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br]영국 왕립내과의협회 회원.] FRCN[* Fellow of the Royal College of Nursing[br]영국 왕립간호사협회 회원.]}}}}}}'''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슬리 손더스 여사.jpg|width=100%]]}}} || || '''성명''' ||시슬리 메리 스트로드 손더스 Cicely Mary Strode Saunders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 '''출생''' ||1918년 6월 22일 ||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하트퍼드셔]] 바넷[* 현재는 [[런던]] 바넷] || ||<|2> '''사망''' ||2005년 7월 14일 {{{-1 (향년 87세)}}} ||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런던 브롬리 || || '''직업''' ||[[간호사]], [[사회복지사]], [[의사]], [[작가]] || ||<|3> '''업적''' ||[[호스피스]] 케어의 중요성과 목적성 확립 || ||전체통증(Total Pain) 개념 소개 및 도입 || ||세계 최초의 호스피스 건립[*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영문명: St Christopher's Hospice)] || || '''링크''' ||[[https://cicelysaundersinternational.org/|[[파일:시슬리 손더스 인터네셔널 로고.png|width=19]] {{{#black,#white ''Cicely Saunders International''}}}]] || ||<-2><#fff,#1f202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학력'''[* [[https://www.kcl.ac.uk/people/dame-cicely-saunders|KCL - Dame Cicely Saunders]][br][[https://cicelysaundersinternational.org/dame-cicely-saunders/beginnings|Dame Cicely Saunders Biography]] 참고] ||[[옥스퍼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컬리지#s-5.29|세인트 앤 컬리지]] ,,([[PPE]] / BA) (1938년 – 1940년 | 1944년 – 1945년),, || ||[[킹스 칼리지 런던]] 나이팅게일 간호대학[* 졸업. 간호사 자격 취득.] ,,(간호학 / BSc) (1940년 – 1944년),, || ||킹스 칼리지 런던 GKT 의과대학[* 졸업. 의사 자격 취득.] ,,(의학 / MBBS) (1957년),, || ||<|6> '''상훈''' ||[[대영제국 훈장|대영제국 훈장 4등급]] (OBE) {{{-2 (1965년)}}} || ||성 그레고리오 대제 훈장[* Dame of the [[https://en.wikipedia.org/wiki/Order_of_St._Gregory_the_Great|Order of St Gregory the Great]][br][[교황]]이 직접 수여하는 훈장] {{{-2 (1977년)}}} || ||[[대영제국 훈장|대영제국 훈장 여성 2등급]] (DBE)[* 영국에서 2등급 이상의 수훈자에게는 기사 칭호가 붙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이름 앞에 'Dame'이 붙는다.] {{{-2 (1979년)}}} || ||[[템플턴상]] {{{-2 (1981년)}}} || ||[[훈장(상훈)/영국#s-2.4|메리트 훈장]] (OM)[* Order of Merit] {{{-2 (1989년)}}} || ||[[콘래드 힐튼#s-3.1|콘래드 니콜스 힐튼 인도주의상]] {{{-2 (2001년)}}} || || '''종교''' ||[[성공회]] || || '''배우자''' ||[[https://www.stchristophers.org.uk/about/damecicelysaunders/marianbohuszszyszko|{{{#black,#white Marian Bohusz-Szyszko}}}]][* 폴란드 출신 화가] ^^(1980년 결혼 | 1995년 사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의사]], [[간호사]] 겸 [[사회복지사]]. 말기 환자용 병원 건립 운동을 통해 오늘날의(근대적 의미의) [[호스피스]]라는 개념을 1967년 '''[[세계 최초]]로''' 확립한 인물로 영국 의료윤리학(Medical Ethics)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다.[* [[https://www.forbes.com/sites/nicolefisher/2018/06/22/the-history-of-hospice-a-different-kind-of-health-care/?sh=76ee7df660ce|Forbes 기사]] 참고] "'''사람은 혼자 살 수 없으며, 소중한 이가 죽어가는 모습은 계속 살아가야 하는 남은 자들의 기억 속에 영원히 남아있게 된다'''"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근대 호스피스 케어의 중요성과 그 목적성을 역설했다. 또한 통증은 신체적인 요인뿐 아니라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영적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는 '''전체통증'''(Total Pain)이란 개념을 처음으로 소개 및 도입한 인물이기도 하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179787/|참고]]] == 생애 == 1918년 영국에서 태어났다. 1938년 [[옥스퍼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PPE]]를 전공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간호사가 되어야 겠다고 다짐한다. 그 후 現 [[킹스 칼리지 런던]]의 [[https://en.wikipedia.org/wiki/Florence_Nightingale_Faculty_of_Nursing_and_Midwifery|플로렌스 나이팅게일 간호대학]]에서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수학했다. 1944년 정식 간호사 자격을 취득 후 다시 옥스퍼드 대학교로 돌아와 1945년 학업을 마친다. 사회복지사 겸 간호사로 일하다 [[킹스 칼리지 런던|세인트 토머스 병원 의과대학]][* 現 [[킹스 칼리지 런던]]의 GKT 의과대학([[https://en.wikipedia.org/wiki/GKT_School_of_Medical_Education|GKT School of Medial Education]])]에서 의학을 전공, 1957년 졸업하며 의사가 되었다. 1967년 런던의 교외에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tchristophers.org.uk/|St Christopher's Hospice]]]를 설립하였다. 이는 '''세계 최초의 말기 환자들을 위한 특수 의료 기관'''이었다. 그녀의 이러한 헌신으로 인해 말기 환자 간병 및 고통 완화 처치법(Palliative Care)이 전문적인 간호용어로써 학문적 의미와 중요성을 띄게 되었다. 자신이 건립한 세인트 크리스토퍼스 호스피스에서 2005년에 [[유방암]]으로 별세했다. 향년 87세. == 여담 == * 간호학계에서는 엄청난 인지도 --[[네임드]]--를 가지고 있는 인물로 킹스 칼리지 런던의 [[킹스 칼리지 런던/캠퍼스#s-2.4|덴마크 힐 캠퍼스]]엔 그녀의 이름을 딴 [[https://www.kcl.ac.uk/visit/cicely-saunders-institute-building|시슬리 손더스 인스티튜트]]가 위치해 있으며, 그녀의 가르침과 헌신을 기리기 위한 [[https://www.kcl.ac.uk/cicelysaunders|호스피스 케어 학부]] 또한 존재한다. * 그녀의 이름을 딴 상이 존재한다. 자세한 사항은 [[https://www.eapcnet.eu/about-us/prizes-and-awards/eapc-cicely-saunders-award/|EAPC 시슬리 손더스 상]] 링크를 참고. * [[안락사]]에 굉장히 '''부정적'''이었다. 크게 두가지 이유였는데, 첫째는 그녀의 종교적 신념 때문이기도 했고, 둘째는 자신이 일평생 역설하고 도입한 호스피스 케어 시스템에 대한 자신감이기도 했다. * 지난 2018년 6월 22일, 생존했으면 100번째 생일을 맞았을 그녀를 위해 구글에서 [[구글 두들]]을 만들어 추모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슬리 손더스_구글 두들.jpg|width=100%]]}}} || == 관련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A3Uc3hBFoY, height=28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4_cDf4Ip1k, height=2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