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공무원 직렬)] [목차] == 개요 == [[일반기술직 공무원]]의 하나로 주로 시설물의 유지 및 보수 업무 그리고 이와 관련된 안전점검 업무와 시설과 관련된 대부분의 행정업무를 전담한다. 교육청 시설관리직의 경우 여기에 외부용역 관리 및 학교사정에 따라 민방위, 재산, 물품, 산업안전 업무까지 전담한다. 과거의 10급 [[기능직 공무원]]에서 9급으로 승급한 직군인데 현재 정기적으로 모집하는 지역은 대표적으로 [[서울특별시]] 그리고 [[충청북도]]와 충북교육청이 대표적이고 기타 [[경상북도]], [[강원도]]에서도 간혹 모집하는 경우가 있다. 서울교육청은 20년도에 정말 오랜만에 신규채용을 하였다. 경기도나 여타 대다수 지역에서는 몇 년에 한 번 경력채용 시험으로 그나마 소수의 인원을 뽑는 직렬이다. == 직류 구분 == * 시설관리직(일반 시설관리) - 현재 서울시와 충청북도에서 채용중이다. * 시설관리직(교육청 시설관리) - 현재 서울교육청이랑 충북교육청, 대전교육청등 에서 채용중이다. 학교에 소속된 100% 단순노무업무를 주력하는 시설대체라고 불리는 계약직 시설관리원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 시설관리직(기계시설) - 과거 [[기능직공무원]] 중 기계원을 대체하는 직류로, 2020년 서울시에서 최초로 선발을 시작했다. * 시설관리직(전기시설) - 과거 기능직 공무원 중 전기원을 대체하는 직류로, 2020년 서울시에서 최초로 선발을 시작했다. == 시험 과목 == 시험 과목은 행정직을 오래 준비한 사람이라면 고득점을 얻기 수월한 익숙한 과목들이고 여타 공무원 시험의 5과목에 비해 2~3 과목 적다. 심지어 과목 중 영어가 없다. 그래서 각종 공무원고시학원의 [[배너]]나 광고에 영어없는 시험이라는 수식어가 항상 붙는다. 하지만 일단 응시 조건을 갖추는 것도 쉽지 않으며[* 교육청 시설관리직의 경우 경력채용 형태라 시설과 연관된 특정 자격증 보유를 반드시 요구하고 있다], 거주지 제한이 걸려있는 경우도 있고, [[영어]]과목이 없는 터라 서울시 공무원 시험 기준으로 매년 합격컷은 86-90점을 충북교육청 기준 한때 83~91점을 상회하는 터라 매우 고득점을 따지 않는 이상 붙기는 결코 만만치 않다. 즉 시험장에서 실수를 하면 1년이 날아간다. [[일반기술직 공무원]]에서 정식과목이 제일 적은(2~3과목)직렬중 하나이자 시설직 공무원하고는 다른 직군이다. 시설직에는 [[건축직 공무원]], [[토목직 공무원]], [[지적직 공무원]] 등이 포함되고 시설관리직은 시설관리직에 포함된다. 또한 [[국가직]]에서는 따로 모집을 않고 각 지자체에서 필요TO에따라 모집한다. 따라서 시설관리직 공무원은 전원이 지방직 소속이다. 경기도 기준으로 경력경쟁 채용을 할 경우에는 [[한국사(교과)|한국사]]와 [[사회]] 단 2과목을 치르게 된다. 자격증소지로 응시를 할 경우 전기, 전기공사, 기계정비, 토목, 건축설비, 건축, 소방설비(전기분야, 기계분야), 조경 산업기사 이상의 기술자격을 소지해야 한다. 교육청 시설관리직은 경력경쟁 채용이라 [[한국사(교과)|한국사]]와 [[사회]] 단 2과목을 치르게 된다. 단 경력경쟁 채용에 해당하는지라 추가적으로 요구하는 자격요건이 있으니 반드시 공고문을 확인해야한다! (결코 두 과목만 공부하면 준비되는 직렬이 아니다!) 서울시에서 모집하는 경우 공개경쟁 채용이라 위에 나열된 경력경쟁 채용과 달리 추가적인 자격요건을 요구하지 않는다. 단, 고졸특채는 해당 전공의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학교 추천을 받아야 한다. > * 과목 > 일반시설관리: 국어, 한국사, 사회 > 기계시설관리: 국어, 한국사, 기계일반 > 전기시설관리: 국어, 한국사, 전기이론 [[방재안전직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경력 채용일 경우에는 응시제한이 있는 만큼 가산점 특전은 없다. [[분류: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