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SBS 라디오]] ||<-5> [[SBS 러브FM|[[파일:SBSSFMLOGOts2016.png|width=90]]]] || || {{{#FF3F72 '''11:00 - 12:00'''}}} ||<|4> {{{+1 ▶ }}} || {{{#FF3F72 '''12:00 - 14:00'''}}} ||<|4> {{{+1 ▶ }}} || {{{#FF3F72 '''14:00 - 16:00'''}}} || ||<|2> [[정철진의 목돈연구소]] || [[정오 뉴스#s-4.3|SBS 뉴스(12:00)]] || [[SBS 낮 종합뉴스|]] (평일) / [[2시 뉴스#s-4|SBS 뉴스(14:00)]] (주말) || || '''이재익의 시사특공대''' || [[나르샤의 아브라카다브라]]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bssisahr21.jpg|width=100%&align=center]]}}}|| ||<-2><#ff3f7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파일:이재익의 시사특공대.png|width=100]]}}} || || 방송시간 || 오후 12시 5분 ~ 오후 2시 || || 방송기간 || [[2020년]] [[6월 1일]] ~ '''현재''' || || 방송채널 || [[SBS 러브FM|[[파일:SBS 러브FM 로고.svg|width=72]]]], [[KNN 러브FM|[[파일:KNN 러브FM.png|width=72]]]] || || 진행 || [[이재익(PD)|이재익]] 프로듀서[*B 前 [[SBS 정치쇼]] DJ 겸 PD이자 [[김성준의 시사전망대]] 프로듀서 자칭은 잭디이며 말 그대로 째~익을 영어로 JACK..즉 잭디로 부르면 된다. 한동안 여기서도 연출, 진행을 겸했다가 이준원PD가 오고 본인은 CP로 승진하고 나선 진행에 전념하고 있다.] || || 프로듀서 || 이준원 || || 작가 || 백은혜, 최이슬 || || 웹사이트 || [[https://programs.sbs.co.kr/radio/sisahero|[[파일:시사특공대 2021 썸네일.png|width=25]]]] || >특공! >이것은 시사인가! 예능인가! >12시에 만나는 시사테인먼트 >이재익의 시사특공대 [목차] == 개요 == SBS 러브FM에서 방송되는 시사 프로그램으로, 매일 12:05~14:00에 방송된다. 사실상 '시사전망대'의 후신.[* 다만 코너의 구성은 PD가 이전에 제작, 진행했던 '정치쇼'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면도 있다.] 일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주 6일 생방송, 보이는 라디오로 진행된다. 최근 방송사 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인해 월~금 주 5일로 축소되었다. 동시간대 경쟁 시사 프로그램으로 [[KBS 제1라디오]]의 '[[시사본부]]'가 있다. == 코너 소개 == === 매일 코너 === 1부 코너의 포맷은 '헤드라인 뉴스 브리핑'으로 같다. ==== 정상근의 정상근무 (1부) ==== 정상근 미디어전문기자. 정상근 기자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치료중이었던 1월 11일부터 15일까지는 이언경 뉴스캐스터가 대신 출연, 코너 제목도 '대신근무'로 임시 변경되었었으며 이후로도 정상근 기자의 스케쥴 문제가 있을때마다 대신 출연, 제목도 '대타근무' 혹은 '뉴스 브리핑'으로 변경되고 있다. === 요일 코너 === ==== 개미'주식'핥기(월, 2부) ==== 김현준 더퍼블릭운용 대표가 패널로 출연해 증시를 살펴보고 컨설팅해주는 코너. ==== 이슈 파이팅(월, 3부) ==== 반기웅 주간경향 기자, 정혜경 SBS 기자와 함께 앞선 브리핑에서 다뤘던 뉴스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초창기에는 반기웅 기자 외에도 이지현 뉴스핌 기자, 고다혜 리포터가 출연했으며 2, 3부에 걸쳐 진행되었으나 2개월 뒤 권영인 기자, 이지혜 한겨레 기자가 고다혜 리포터와 이지현 기자[* 연수로 하차.]의 자리를 각각 메웠고 2021년 4월 개편으로 이지혜 기자는 하차, 방송시간은 3부로 축소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스포츠와 연예중 (월, 4부) ==== 유병민 SBS 스포츠부 기자, 강경윤 SBS FUN!E 기자와 함께 예체능 쪽 소식들을 짚어본다. '정치쇼'의 비정치 뉴스 코너가 옮겨왔다고 생각하면 된다.(다만 정치쇼에서 해당 주제를 아예 안 다루는 건 아니다.) ==== 시사IN가요 (화, 2~3부) ==== 김준일 뉴스톱 대표, 박연미 경제 전문기자와 함께 노랫말속에 숨어있는 시사를 조망하는 코너.[* 2020년까지는 왕년의 유행가에 빗대어 역사를 조망하는 코너였으며 극초창기때는 최영일 평론가 대신 개그맨 [[박성호(1973)|박성호]]가 출연했었다. 이외에도 21년 4월 13일에는 최영일 평론가의 개인 사정으로 박원석 前 정의당 의원이 대신 출연했다. 현재는 개편과 함께 특공대에서 잘린(..) 김준일 대표가 화요일 코너로 옮겨 출연하고 있다.] ==== 시사퀴즈왕 (화, 4부) ==== 시사상식 관련 퀴즈 코너로 청취자 2인끼리 퀴즈를 풀고 승자에게는 10만원(최대치인 4연승 시 10배인 100만원)상당의 시사상식지원금(이라 쓰고 백화점 상품권이라 읽는)을, 패자에게는 치킨교환권을 증정한다. ==== 나무아미타불아멘 (수, 2~3부) ==== 진명 스님, 김진 목사님, 홍창진 신부님이 출연해 청취자들의 고민을 들어보고 상담해주는 코너다. ==== 안진걸/권애리의 찐 경제 (수, 4부) ====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소장.[* 前 참여연대 사무처장] / 권애리 SBS 경제부 기자 경제 관련 소식을 살펴본다. 요새는 고란 기자가 반고정으로 출연하면서 잘 안 나오는듯..[* 사실 권애리 기자는 작년 12월에 미국 연수를 떠났으므로 나올 상황이 못된다.] ==== '고란'도란 경제브리핑 (수, 4부) ==== '알고란TV' 고란 기자와 함께 경제 관련 소식을 살펴본다.. ==== 법대로 해! (목, 2~3부) ==== 김준우, [[박지훈(1976)|박지훈]], [[김태현(변호사)|김태현]][* 5월 3일부터 [[SBS 정치쇼|정치쇼]]의 새 DJ로 발탁되었다. 목요일 한정으로는 1시간 쉬고 출연하는 셈...] 이 세명의 변호사와 함께 정치권 법조 이슈를 놓고 따져본다. ==== 궁금한 이야기 K (목, 4부) ==== 김유리 리포터와 함께 시시콜콜하지만 중요할 수 있는 주제를 얘기한다. ==== 죄와 변 (금, 2부) ==== 손정혜 변호사, 신중권 변호사가 패널로 출연해 사회 속 이슈를 법리적으로 따져보는 코너. ==== 내가 '야'하면 너는 '여' (금, 3부) ==== 야당인 국민의힘에 출입하는 박순봉 경향신문 기자, 여당인 민주당에 출입하는 이준성 뉴스원 기자가 패널로 출연, 정치권의 동향을 살펴본다. ==== 이주의 레드카펫 (금, 4부) ==== 김완 한겨레 기자 혹은 김혜민 SBS 기자와 함께 한 주 화제가 된 인물을 소개하고 분석한다. 김완 기자와 김혜민 기자는 이전 패널이었던 최재영 SBS 기자가 평일 모닝와이드 앵커로 발탁되어 하차하면서 후임으로 낙점되었다. ==== 토요일도 특! 공! (토, 1부) ==== ==== 널 위한 문화 예술 (토, 2부) ==== 이정우 에디터와 함께 문화계 전반에 대해 살펴본다. ==== 특공대 만물상 (토, 3부) ==== 김익근 쇼호스트와 함께 별의별 물건과 철 지난 물건을 조망보는 코너. ==== 김묘성의 '아무사람' (토, 4부) ==== 김묘성 경기도청 영상미디어팀장[* 前 연예부 기자.]과 함께 특정 인물을 집중적으로 조망한다. ==== 일요일도 특! 공! (일, 1부) ==== ==== 순간포착 세상천지 이런일이! (일, 2부) ==== 김유리 리포터와 함께 세상의 별별 소식들을 살펴본다. 초기에는 정상근 미디어전문기자가 출연했으며 이후 한 차례 종영되었다가 다시 부활했다. ==== 모르는 영화 '거의없다' (일, 3~4부) ==== 유튜버 [[거의없다]]와 함께 영화 한 편을 들여다본다. === 비정기 코너 : 특공대 초대석 === === 종영 코너 === ==== 이승원의 이승 시사 (수/목 1부) ==== 이승원 시사평론가. ==== Yo, DJ 시사파뤼~ing (월/수/금, 1부) ==== DJ 혼자 이 시각 헤드라인을 BGM에 맞춰 전해주는 코너..였는데 당분간 중단되었다. 가끔 셀럽[* 을 성대모사한 [[안윤상]]]을 전화로 연결해 인터뷰를 진행하기도 한다. ==== 연상 퀴즈SHOW (화, 4부) ==== ==== 불타는 금요일 (금, 2~3부) ==== 김준일 뉴스톱 대표, 박순봉 경향신문 기자, 손정혜 변호사가 패널로 출연, 세 명 모두 의견을 개진할 때도 있지만 김 대표는 주로 사안에 관한 팩트체크를 담당하고 있다. 15일을 끝으로 종영하긴 했지만 출연했던 패널들은 아예 하차한 김준일 대표를 제외하면 코너만 옮겨 여전히 금요일에 출연하고 있다. ==== 세계는 (토 2부) ==== --명랑한--[* 2020년 11월 30일부터 다시 진행하는 저녁시사 프로 제목에서 따왔다.] 이승원 시사평론가와 함께 한 주간의 국제 소식을 살펴본다. 코너 제목은 패널이 이전에 진행했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에서 따왔다. ==== 일요일은 음악 특공대! (일) ==== 고정 패널 없음. ===== 청취자 퀴~즈! ===== ===== 특공 라이브 ===== === 여담 === * '시사예능'을 표방하다 보니 이전 정치쇼 시절의 라이트한 성향을 계승하고 있다. 급작스런 훅 드립 멘트와 말장난등은 여 정치에만 집중하는 청취자들도 의견이 불편한점이 간혹 있다. [* 즉 게스트 소개도 안하고 먼저 문자소개에 자기자랑이 많다는 의견] 하지만 다만 드립 멘트가 좋다는 의견이 더 많다는점이다. * SBS 라디오 패널 중 2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것과 관련해 DJ 겸 러브FM CP [[이재익(PD)|이재익]]이 밀접 접촉자로 확인되어 자가격리에 들어가면서 2020년 12월 28일부터 2021년 1월 7일까지 2주간 패널들의 대체 진행으로 꾸려졌다.[* 나머지 접촉자 중 김영철 DJ 역시 밀접 접촉한 사실이 확인되어 자가격리에 들어갔으며 DJ 이숙영은 접촉은 했되 그 시간이 짧았던 관계로 격리 없이 방송을 이어가게 되었다.] == 같이보기 == * [[시사본부]] - 정오 시사 경쟁 프로그램 == 둘러보기 == [Include(틀:SBS 러브FM 시사교양)] [Include(틀:SBS 라디오)] [Include(틀:SBS 러브F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