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몬 비젠탈 센터.png]] || || '''Simon Wiesenthal Center'''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7년 [[랍비]] 마빈 하이어가 설립한 [[유대인]] 이익단체이다. 약칭은 '''SWC'''. 본부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해 있다. 이름과 달리 [[시몬 비젠탈|당사자]]는 이 조직의 운영에 거의 개입하지 않았지만 생전 단체의 존재를 영광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시몬 비젠탈이 타계한 2005년 이후로도 건재하다. [[로스앤젤레스]]에서 관용 박물관(Museum of Tolerance)을 운영 중이며 [[계간지]] InMOTion을 발간하고 있다. == 성향 == 유대인이 주축이 된 단체답게 [[홀로코스트]] 피해자 지원 문제, [[반유대주의]] 대항 등에 주력한다. 또한 [[이스라엘]]에 대해 (해당 단체의 기준에서) '부당한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활동도 한다. 기타 인종차별 문제에도 일말의 관심을 보인다. == 비판 == 같은 유대인이 결성한 [[ADL]]과 달리 [[휴머니즘]] 인권단체가 아니라 [[시오니즘]] 단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나치 잔당 추적과 응징이란 방향성은 공익에 부합하지만 이스라엘의 전쟁범죄를 비판하거나 팔레스타인 문제에 연대하는 [[유럽]]이나 [[미국]]의 [[좌파]]들을 [[반유대주의]]자로 낙인 찍는 데도 앞장서고 있다는 것이다. 비판자들에 따르면 이스라엘을 비판하거나 팔레스타인을 변호하면 반유대주의로 매도하는 수정시오니스트들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시몬 비젠탈 센터는 [[제러미 코빈]], [[라시다 탈리브]], [[일한 오마르]] 등을 반유대주의자로 지정했다. 대단한 권력자가 아니라 일개 하원의원들인 탈리브와 오마르를 "올해 최악의 반유대주의자"로 매도한 점에 대해 비판이 일기도 했다. 또한 보통 [[자유시오니즘]]은 팔레스타인인들을 불법체류자나 반유대주의자로 매도하지 않는데, 시몬 비젠탈 센터는 팔레스타인인들을 잠재적 반유대주의자로 정의하는 특징이 있다. 이 역시 [[수정시오니즘]]의 특징이다. == 역사 == 1977년 '홀로코스트의 기억을 풍화시키지 않는 시설'을 모토로 미국 LA에 시몬 비젠탈 센터가 발족되었다. 1995년 과거 일본 극우 잡지인 [[마르코 폴로(동음이의어)#s-9|마르코 폴로]]가 [[홀로코스트]] 날조론 기사를 게재하자 미국 내 유대인 단체에게 알리며 같이 압력을 가해 [[데꿀멍]]시켜 해당 잡지를 퇴갤시킨 적이 있다. 일본은 사회의 우경화와 맞물려 나치에 대한 옹호 서적이 지속적으로 나오는터라 이 단체에 꾸준히 비판 받고 있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1555406|美 유대단체, '유대음모론' 日서적 판매중지 요구(연합뉴스)]] 2007년 교양만화 '[[먼나라 이웃나라]]-미국편' 1권 유대인 파트 일부 내용이 유대인을 비하했다는 미국 유대계의 항의와 관련, 관계자들이 한국을 방문해 김영사와 이원복 교수를 만나 기존 서적의 폐기와 내용 수정 등을 요구해 먼나라 이웃나라 10권의 해당 부분이 수정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1575044|#]] 2013년 [[아소 다로]]의 나치 드립에도 항의를 해서 아소 다로 측이 발언을 철회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308012228325|나치식 개헌 배우자 아소 부총리, 국내외 뭇매에 발언 철회(경향신문)]] 2017년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인종주의에 반대하며 1억 원을 쾌척하기도 했다[[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2894067|'인종차별 터미네이터'?슈워제네거, 반나치단체 1억 쾌척(뉴스1)]] 2018년 [[방탄소년단]]의 한 멤버가 수년전 찍은 화보에서 나치 문양이 그려진 모자를 썼으며, 그들이 참여한 [[서태지]]의 교실 이데아 콘서트 장면의 깃발이 나치 깃발과 비슷하다고 주장하며, 부소장 랍비 아브라함 쿠퍼의 명의로 공연자와 기획자의 사과를 요구하였다. [[http://www.wiesenthal.com/site/apps/nlnet/content.aspx?c=lsKWLbPJLnF&b=8776547&ct=15022213¬oc=1|홈페이지 뉴스]] 일본 우익이 이 단체와 관련된 일본 인사에게 영향력을 행사해(혹은 동일인이) 제보를 하면서 원폭 피해 이야기까지 끼워넣게 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제2차 세계 대전]] 피해자 민족 입장을 대변하는 시몬 비젠탈 센터가 이를 지적했다는 점이 황당하다. 원폭 투하가 일본 항복과 대한민국의 즉각 독립으로 이어졌다는 점을 상기해보면 한국인들이 원폭 투하를 긍정적으로 기념하는 것도 전혀 문제될 게 없으며 '''한국인 입장에선 일본인 원폭 피해자의 입장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원폭 피해자로 반미 성향까지 있는 [[나카자와 케이지]]조차도 "우리가 생각하는 핵 문제에서 '''한국인이 전쟁의 종식이나 해방의 의미로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발언했을 정도다. 방탄소년단은 나치 관련 문제에서만 사과하고 원폭 티셔츠 문제에서는 절대로 사과하지 말았어야 했다.] 게다가 교실이데아 공연 장면에서 쓰인 깃발은 나치 깃발과 전혀 다른 디자인이었는데, 일본의 넷우익이 [[악마의 편집]]을 가한 자료를 해당 센터에 뿌리며 선동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7cIlPIVL5G8|실제 공연 장면]] 더 황당한 점은 히틀러를 찬양해 미국 성형외과학회에서 제명된 극우 인사가 제보를 했다는 것이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8/11/15/2018111500162.html|기사]] 심지어 해당 센터에서 제명시킨 인물이었다. 방탄소년단의 소속사에서는 사과문을 냈다. 그리고 사과를 받아들인 센터측의 입장문은 [[http://www.wiesenthal.com/site/apps/nlnet/content.aspx?c=lsKWLbPJLnF&b=8776547&ct=15022299¬oc=1|이쪽]](현재 삭제된 상태) 2023년에는 유대인과 폴란드인을 학살한 나치 [[무장친위대]] [[제14무장척탄병사단]](우크라이나 1사단) 부대원이자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야로슬라브 훈카를 러시아에 맞선 우크라이나 독립군이랍시고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의회에 초대해 박수를 보낸]] 캐나다에 항의했다. 결국 훈카를 초청한 앤서니 로타 하원의장은 책임지고 사임했다.[[https://naver.me/52TPjpeI|#]] == 둘러보기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시몬 비젠탈, version=104)] [[분류:유대인]][[분류:1977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