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물고기 포켓몬)] ||<#0267c2><-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68MS.png]] 368 [[분홍장이]] || [[파일:369스위치아이콘.png]] '''369 {{{#000,#fff 시라칸}}}'''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70MS.png]] 370 [[사랑동이]] || ||<-3><#0267c2>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cc3366> [[포켓몬스터/목록/3세대#호연도감 목록|{{{#FFFFFF 호연도감(ORAS)}}}]]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68MS.png]] 187 [[분홍장이]] || [[파일:369스위치아이콘.png]] '''188 {{{#000,#fff 시라칸}}}'''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22MS.png]] 189 [[코산호]] || ||<-3><#5a5aff> [[포켓몬스터/목록/6세대#코스트칼로스도감|{{{#FFFFFF 코스트칼로스도감}}}]] || || [[파일:킹드라 도트.png]] 041 [[킹드라]] || [[파일:369스위치아이콘.png]] '''042 {{{#000,#fff 시라칸}}}'''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51MS.png]] 043 [[깜눈크]] || ||<-3><#FF9F40> [[포켓몬스터/목록/7세대#알로라도감 목록|{{{#FFFFFF 알로라도감}}}]] || ||<-3> [[포켓몬스터/목록/7세대#썬·문|SM]]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23MS.png]] 261 [[트리토돈]] || [[파일:369스위치아이콘.png]] '''262 {{{#000,#fff 시라칸}}}''' || [[파일:781스위치아이콘.png]] 263 [[타타륜]] || ||<-3> [[포켓몬스터/목록/7세대#울트라썬·울트라문|USUM]]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23MS.png]] 342 [[트리토돈]] || [[파일:369스위치아이콘.png]] '''343 {{{#000,#fff 시라칸}}}''' || [[파일:781스위치아이콘.png]] 344 [[타타륜]] || ||<#663366><-3> [[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 목록|{{{#FFFFFF 가라르도감}}}]] || ||<-3> [[포켓몬스터/목록/8세대#왕관설원도감(DLC)|왕관설원]] || || [[파일:348스위치아이콘.png]] 186 [[아말도]] || [[파일:369스위치아이콘.png]] '''187 {{{#000,#fff 시라칸}}}'''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49MS.png]] 188 [[빈티나]] || }}}}}}}}} || ||<#0267c2>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모습|모습]][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369 시라칸.png|width=50%]] || || 시라칸 || [anchor(앵커-기본 정보)] ||<-6> {{{#FFFFFF 기본 정보}}} || ||<#0267c2> {{{#FFFFFF 이름}}} ||<#0267c2> {{{#FFFFFF 도감 번호}}} ||<#0267c2>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369스위치아이콘.png]][br]'''시라칸''' [br] ジーランス(지-란스) [br] Relicanth || 전국: 369[br]호연: 179^^RSE^^ / 188^^ORAS^^[br]코스트칼로스: 042[br]알로라: 262^^SM^^ / 343^^USUM^^[br]가라르: 187^^왕관설원^^ || [include(틀:물타입)][br][include(틀:바위타입)] || [anchor(앵커-특성)] ||<-2><#0267c2>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ㄷ#돌머리|돌머리]] || 반동 데미지를 입지 않는다. || || [[포켓몬스터/특성/ㅅ#쓱쓱|쓱쓱]] || 비가 올 때 스피드가 2배가 된다. || || *[[옹골참]] || 일격기가 통하지 않는다.[br]또한 HP가 가득찼을 때 기절할 듯한 기술에 공격당해도 HP 1을 남기고 버틴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0267c2> {{{#FFFFFF 세부 정보}}} || || {{{#FFFFFF 포켓몬}}} || {{{#FFFFFF 분류}}} || {{{#FFFFFF 신장}}} || {{{#FFFFFF 체중}}} || {{{#FFFFFF 포획률}}} || || 369 시라칸 || 장수 포켓몬 || 1.0m || 23.4kg || 25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걸음수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87.5% [br] 암컷: 12.5% || 수중1, 수중2 || 10,240걸음 || 1,250,000 || [anchor(앵커-모습)] ||<-2><#0267c2> {{{#FFFFFF 모습}}} || ||<#0267c2> {{{#FFFFFF 모습}}}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relicanth.gif]] [br]369 시라칸 || [anchor(앵커-방어 상성)] ||<-5><#0267c2>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4배}}}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FFFFFF 0.25배}}} || ||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 [include(틀:불꽃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0267c2> [[종족치|{{{#FFFFFF 종족치}}}]] || ||<#0267c2> {{{#FFFFFF 포켓몬}}} ||<#0267c2> {{{#FFFFFF HP}}} ||<#0267c2> {{{#FFFFFF 공격}}} ||<#0267c2> {{{#FFFFFF 방어}}} ||<#0267c2> {{{#FFFFFF 특수공격}}} ||<#0267c2> {{{#FFFFFF 특수방어}}} ||<#0267c2> {{{#FFFFFF 스피드}}} ||<#0267c2> {{{#FFFFFF 합계}}} || || [[파일:369스위치아이콘.png]][br]시라칸 || 100 || 90 || '''130''' || 45 || 65 || 55 || 485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369스위치아이콘.png]][br]{{{#FFFFFF 시라칸}}}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0267c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0267c2> [[파일:369스위치아이콘.png]][br]{{{#FFFFFF 369 시라칸}}} || || 루비/OR ||<|2>1억 년의 긴 세월 동안 전혀 모습이 변하지 않은 채 심해에서 살던 포켓몬.[br]이빨이 없는 입으로 미생물만 먹는다.|| || 포켓몬 GO || || 사파이어/AS ||심해조사에서 발견되었던 신종.[br]울퉁불퉁한 바위 같은 비늘로 덮였고 해저의 수압에 버티는 몸을 지녔다.|| || 에메랄드 ||멸종되었었다고 생각되었던 포켓몬. 1억년 동안 모습이 변하지 않았다.[br]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해 해저를 걷는다.|| || FRLG ||<|2>1억년 전부터 모습이 변하지 않는 포켓몬. 심해를 조사하던 중에 발견되었다.|| || X || || DPPt/BDSP ||<|3>심해조사에서 발견된 희귀한 포켓몬이다. 1억년 동안 모습이 바뀌지 않았다.|| || BW/BW2 || || Y || || HGSS ||깊은 바다를 조사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1억년 동안 모습이 바뀌지 않았다.|| || 썬 ||1억 년 전부터 같은 모습이다. 체내가 기름투성이라서 심해의 수압을 견딜 수있다.|| || 문 ||심해 조사 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이빨이 퇴화하여 빨아들이듯 미생물을 먹는다.|| || 울트라썬 ||멸종되었다고 여겨져 왔다.[* 인게임에선 "멸종되었고 여겨져 왔다."라고 잘못 쓰여져 있다.] 시라칸의 이름은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울트라문 ||1억년 동안 전혀 모습이 바뀌지 않은 것은 생명체로서 완성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 소드[br](왕관설원) ||바위처럼 단단한 비늘과 기름으로 가득 찬 부레로 심해의 수압을 견딘다. || || 실드[br](왕관설원) ||심해 조사를 통해 발견되었다. 1억 년 동안 모습이 변하지 않아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불린다. || ||<-2><#0267c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현존하는 고대 수중 생물인 [[실러캔스]]를 모델로 만든 포켓몬. 영어판 이름은 유물(Relic)+실러캔스(Coelacanth)다. 바위 타입이 붙어 있고 굉장히 오래된 것처럼 생겼기 때문에 흔히들 화석 포켓몬이라고 하지만, 시라칸은 화석에서 부활시키는 게 아니라 실제로 살아있는 개체를 몬스터볼로 포획해야 하기 때문에 분류상으로는 화석 포켓몬이 아니다. 실제 실러캔스처럼 [[살아있는 화석]]에 더 가까운 포켓몬. 에메랄드와 울트라썬의 도감 설명에는 한동안 멸종되었다고 여겨져 왔으며 이름을 발견자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적혀 있는데, 이는 실제 실러캔스도 마찬가지이다. == 스토리 및 포획 == ||<#0267c2>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 XY || || {{{#FFFFFF 포지션}}} || 높은 체력과 물리방어를 기반으로 한 물리 딜탱 || || {{{#FFFFFF 장점}}} || 다양한 견제폭, 높은 체력과 물리방어, 많은 반감, 특성 쓱쓱, 돌머리, AZ를 상대로 유리함 || || {{{#FFFFFF 단점}}} || 풀 4배 약점, 쓱쓱 없이는 느린 스피드 || || {{{#FFFFFF 추천되는 도구}}} || 딱딱한돌, 신비의물방울 || || {{{#FFFFFF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 브리가론, 마폭시, 모크나이퍼, 어흥염 || || {{{#FFFFFF 추천 기술배치}}} || 양날박치기 or 스톤샤워(필수)/폭포오르기 or 아쿠아테일(필수)/지진, 이판사판태클, 바디프레스(8세대부터), 사념의박치기(8세대부터) 중 택 2 || 늑골라와 비슷하게 물/바위 물리딜러로 운영 가능하다. 그러나 시라칸은 대부분의 게임에서 후반에 등장한다. 그러다보니 스토리에서 활약 가능한 작품도 XY가 유일하다시피하다. RSE에서는 심해의 수초에서 출현한다. 리프의돌과 교환할 수 있는 초록조각을 지니고 있을 때도 있지만 조각을 얻을 수 있는 포켓몬 중 가장 출현률이 낮다. 물리 특수가 타입별로 구분되던 때라 물 타입으로서는 기대하기 힘들다. 바위 타입으로도 가르침이나 유전기로만 얻을 수 있는 스톤샤워가 최대이고 자력기는 원시의힘에 그친다. 이판사판태클+돌머리 조합이 있긴한데 57레벨이 되어서야 배울 수 있다. 서브웨폰으로는 기술머신으로 배울 수 있는 지진이 있다. 쓰려면 물리내구를 믿고 그냥 노말 타입 공격기와 원시의힘, 원한다면 지진까지 넣고 쓰는 게 최선이다. DP/Pt에서는 전당등록 이후에 갈 수 있는 229번수로에서 대단한낚싯대로 낚을 수 있다. HGSS에서는 관동 12번 도로에서 대량발생으로 출현하며, 낚시를 통해 잡을 수 있다. 5세대는 공통으로 4번도로에서 낚시를 해야 나온다. 알다시피 낚시대를 얻는 시기가 엔딩 이후인지라... XY에서는 11년 만에 지역도감에 복귀했다. 코스트칼로스 지역에서 대단한낚시대로 낚을 수 있다. ORAS는 RES와 동일. 썬문에서는 포니해안에서 낚을 수 있고, 울트라썬문에서는 포니의 거친 해안에서 낚을 수 있다. 소드ㆍ실드에서는 처음엔 삭제되었지만, 왕관의 설원 DLC에서 복귀했다. 엔딩 전에 왕관의 설원에 갈 수 있다면 스토리 투입이 가능할 수도 있다. 비교적 초반에 얻을 수 있고 공격이 더 높은 [[거북손데스]]와 [[갈가부기]]가 있지만, 높은 물리내구와 무반동 양날박치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 난입배틀 == 추천 포켓몬: 긴장감 [[액스라이즈]], [[손바닥치기]]/[[기관총(포켓몬스터)|기관총]]과 [[칼등치기]]를 동시에 배우는 포켓몬[* 전자는 효과가 굉장한 연속공격기가 없고, 후자는 위협이나 긴장감 특성이 없다.] 연쇄하기 매우 까다로운 포켓몬 중 하나로, 일단 출현율도 거품 포인트 기준으로 10%로 매우 낮고 호출률도 최저인데다가, 레벨 25 이하가 아니면 진짜로 골치아파진다.[* 레벨 26에 다이빙, 31에 돌진, 35에 하품, 41에 잠자기를 차례로 배우는데, 하나같이 난입배틀에서는 성가시기 짝이 없는 기술들이다. 그나마 돌진은 돌머리 특성이 나오면 괜찮지만.][* 돌머리 특성이 아닌 녀석이 돌진을 쓸 경우, 이걸 살려두려면 돌진을 무효로 받는 고스트타입을 써야야 하는데, 문제는 알로라 텅구리는 뼈다귀부메랑을 가지고 있지만 다이빙에 약점을 찔리고, 껍질몬이나 대로트, 킬가르도는 효과가 굉장한 연속공격기를 아예 못 배운다. 여기에다 껍질몬은 바위에 약점을 찔려서 절대 쓰면 안 된다.] 따라서 레벨 25 이하의 동료가 주기적으로 나와줘야 하는데, 야생 시라칸의 레벨은 10에서 49[* 일반 낚시 포인트에서는 10에서 44까지지만, 그쪽은 출현율이 '''1%'''이기 때문에 거품 포인트에서 낚시하는 게 훨씬 더 편하다.]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시라칸의 낮은 동료 호출률을 감안하면 운이 매우 잘 따라줘야 한다. 그나마 다이빙이 제일 덜 짜증나는 편. 어쨌든 하겠다면 멘탈 날려먹을 준비는 하자. == 대전 == 특이점이라면 '''[[양날박치기]]'''를 자력으로 배운다는 점. 90 밖에 안 되는 공격 종족값은 빈말로도 높다고는 못하는 애매한 수치지만 150이라는 양날박치기의 끔찍한 위력을 자속 보정 받으면서 쓸 수 있는 덕에 공격 풀보정 기준 양날박치기의 결정력은 35100. 같은 조건에서 공격 종족값이 무려 140이나 되는 [[거대코뿌리]]의 [[스톤에지]]의 결정력이 31650이며, 공격 종족값 '''165'''인 [[램펄드]]의 스톤에지가 35700이다. 비슷한 경우로 [[라이츄]]의 [[볼트태클]]이 [[렌트라]]나 [[에레키블]]이 쓰는 [[와일드볼트]]보다 더 강하다. 기술의 위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해주는 포켓몬 중 하나. 게다가 '''돌머리''' 특성까지 있으니 양날박치기를 버릴 수가 없다. 물론 램펄드야말로 양날박치기의 대명사격인 포켓몬이다보니 제대로 된 실전 화력을 비교해보면 램펄드에게는 크게 밀리기는 하지만 램펄드는 돌머리 특성이 없어서 반동을 그대로 받는다. 참고로 무반동 양날박치기를 가장 강하게 쓸 수 있는 포켓몬은 [[견고라스]]다. 거기다가 금상첨화로 방어도 굉장히 높아서 물/바위라는 약간 막장스런 속성도 커버가 가능하다. H4 기준 내구가 64200/36400이며, H252를 투자하면 75500/42800. 물리내구만 따지면 거의 막이급이다. 물리기술이라면 [[인파이트]]나 [[지진(포켓몬스터)|지진]] 같은 고화력 기술도 한방 정도는 별다른 방어 투자 없이도 버틸 정도가 되어서, 상대로 만나면 은근히 골치아픈 상대이다. 다만 4배를 찌르는 [[파워휩]], [[우드해머]]에는 맥없이 쓰러질 확률이 높고, 특수형인 [[기합구슬]]이나 [[대지의힘]]을 쓰는 포켓몬을 만나면 슬쩍 넣어주자. 55의 부족한 속도는 [[비바라기]] 파티에 넣어 쓱쓱 보정으로 커버하거나, [[록커트]]로 커버하면 된다. 아니면 최저속 보정을 맞춘 뒤 [[트릭룸]]팟에 넣는 선택지도 있다. 록커트의 경우 돌머리 특성으로 양날박치기의 반동 데미지를 무시하는 장점이 있고, 비바라기+쓱쓱 콤보는 나오자마자 바로 양날박치기 러쉬가 가능하다. 취향과 자신의 파티 짜임새에 따라 결정하자. 역시 풀 타입은 주의해야 한다. 내구가 약한 포켓몬이라면 양날박치기를 꽂아넣으면 그만이지만 [[이상해꽃]]처럼 내구력이 준수한 녀석들은 절대 못 이긴다. 돌머리 특성 사용시 [[이판사판태클]]도 무반동으로 쓸 수 있기는 하지만 [[폭포오르기]]/[[아쿠아테일]], [[록커트]], [[양날박치기]]를 넣고 남는 기술칸은 한 개 밖에 없고 물과 바위 타입만으로도 모든 타입을 1배 이상으로 때릴 수 있기 때문에 차라리 [[지진(포켓몬스터)|지진]]을 넣는 쪽이 더 낫다. 돌격조끼를 채용해서 록커트를 쓰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사념의박치기]], 8세대 이후라면 다이제트 트리거용으로 [[뛰어오르다]]라는 선택지도 있다. 숨겨진 특성인 옹골참을 활용한다면 의외로 꽤 쓸만한 기점마련용 포켓몬으로 쓸 수 있다. 옹골참 특성 보유 포켓몬 중에선 매우 드물게 [[하품(포켓몬스터)|하품]]과 [[스텔스록]]을 배울 수 있어서 특성으로 버틴 뒤 애슈열매를 써서 다음 턴에 선공하는 식으로 상대의 손해보는 교체를 강요할 수 있다. HP가 애매하게 남아도 [[버티기]]를 채용하면 다시 애슈열매 발동각을 볼 수 있고 비팟이나 눈팟이라면 [[비바라기]], [[싸라기눈(포켓몬스터)|싸라기눈]]을 쓰고 퇴장할 수도 있으며, 스피드를 낮추는 [[암석봉인]]을 날려 좀 더 확실한 기점을 만들 수도 있다. 부가효과 확률은 좀 낮아도 [[열탕(포켓몬스터)|열탕]], [[아쿠아브레이크]] 등도 쓸 수도 있다. == 포켓몬 GO == 2020년 8월 5세대 업데이트로 등장했다. [[뉴질랜드]], [[피지]], [[통가]] 등 폴리네시아 지역제한 포켓몬으로[* 이 때문에 [[뉴질랜드]]가 [[루네시티]]라는 드립이 흥하는 중이다.] 최대 CP는 2858, 공격/방어/체력은 각각 162/203/225. 기술 배치는 노말 어택 [[사념의박치기]]/[[물대포(포켓몬스터)|물대포]], 스페셜 어택 [[원시의힘]]/[[아쿠아테일]]/[[하이드로펌프]]이다. 기술은 나쁘지 않지만 스탯이 애매해 그냥 도등용 포켓몬이다. 하지만 '''포켓몬고에 구현된 지역제한 포켓몬 중 체감 수집 난이도가 가장 높아''', 희귀 포켓몬 수집가들 사이에서 상당히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도 그럴것이, 대부분의 지역제한 포켓몬들은 출현 지역 범위가 넓어서 포획이 어렵지 않은데, 섬이 대다수인 폴리네시아 특성상 이동에도 어려움이 많고, [[오클랜드(뉴질랜드)|오클랜드]]나 [[웰링턴]] 같은 대도시를 가도 찾기가 쉽지 않다. 출현 지역 면적 자체도 지역제한 포켓몬들 중 세 번째로 좁은 건 덤이다.[* 두 번째는 [[버프론]], 첫 번째는 [[큐아링]].] 2023년 호연 투어를 통하여 기간 한정으로 10km 알 부화로 습득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동시에 색이 다른 모습도 해금된다. == 여담 == 3세대나 6세대에선 [[레지시리즈]]의 [[봉인]]을 풀기 위해 이 녀석과 [[고래왕]]을 잡아야 했다. 이 점은 [[포켓몬스터 SPECIAL]] 루비/사파이어편에서 잘 묘사되었다. 왕관의 설원 트레일러에서도 원조 레지시리즈 3마리를 보여줄 때 플레이어가 내보낸 포켓몬이 시라칸이다. 그래서인지 시라칸과 고래왕의 디자인이 각각 리틀보이와 팻 맨에서 따온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 또한 시라칸의 몸통이 핵폭탄을 투하하기 위한 지도가 아닌가 하는 루머도 돌고 있다. 자세한 건 [[레지시리즈 괴담]] 문서 참고. 일단 시라칸은 플레이스테이션 2와 드림캐스트로 발매된 인면어 키우기 게임 [[씨맨]]에 나오는 인면어와 비슷한 생김새다. 색이 다른 모습은 몸의 갈색 부분이 밝은 하늘색으로 바뀐다. 때문에 위의 시라칸 몸통 무늬가 지도고 빨간 반점이 폭격 지점을 나타낸다는 주장이 조금 더 확실해졌다. [[포켓몬스터 AG]] 2화 한국판에서는 일본판 이름 '지란스'를 그대로 사용했다. [[다이맥스 어드벤처]]에서는 특성이 '''돌머리'''에 '''양날박치기까지 배우고 있어''' 무반동 양날박치기를 해당 컨텐츠에서도 날려대는 엄청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선택할 수 있는 렌탈 포켓몬들 중 자속 기술의 위력이 100 이상을 넘기는 경우는 매우 드문 걸 감안하면 굉장히 파격적인 세팅으로, 양날박치기의 빗나감이 있을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함에도 바위타입에 찔리는 전설의 포켓몬 레이드에서 그 선택도가 느는 중이다. 아쿠아브레이크도 탑재하고 있기에 물타입 딜러로서의 밥값도 한다. == 관련 문서 == * [[화석 포켓몬]] [[분류:3세대 포켓몬]][[분류:물타입 포켓몬]][[분류:바위타입 포켓몬]][[분류:진화체가 없는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