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끌별 녀석들 극장판 목록)] ||<-2>
{{{#F0CC13,#dddddd '''{{{+1 시끌별 녀석들 3 Remember My Love}}}''' (1985)[br]''うる星やつら3 リメンバー・マイ・ラブ''}}}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qfDoNlMwQraambUb066aNi71UQx.jpg|width=100%]]}}} || ||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타카하시 루미코]]}}}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야마자키 카즈오]]}}}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콘파루 토모코}}} || || '''작화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도키테 츠카사]]}}} || || '''촬영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와카나 아키오}}}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미키 요시노}}} || ||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후루카와 토시오]], [[히라노 후미]], [[이와타 미츠오]], [[시마모토 스미]]}}}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키티 필름, [[스튜디오 딘]]}}}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토호]]}}}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985년 1월 26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1}}}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0분}}}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끌별 녀석들(1981년 애니메이션)|시끌별 녀석들 (1981)]]의 치프 디렉터이자 총괄 감독이였던 [[오시이 마모루]]가 감독직에서 사퇴한 후 새로 부임한 총괄 감독, [[야마자키 카즈오]]의 시끌별 녀석들 극장판 첫 감독 작품. 이 작품은 '[[시끌별 녀석들 1 Only You]]'의 기획 원안이 '아타루를 쫓는 라무'였기 때문에 반대로 '라무를 쫓는 아타루'를 원안으로 두고 제작 되었다. == 예고편 == || [Youtube(iFklpK-jV4k)] || || 40초 선공개 예고편 || || [Youtube(QBs2TEKhqdU)] || || 메인 예고편 || 모든 영상의 내레이터는 작중 [[사쿠란보(시끌별 녀석들)|체리]] 역을 맡고 있는 성우 [[나가이 이치로]]. == [[시끌별 녀석들 3 Remember My Love/줄거리|줄거리]] == [[시끌별 녀석들 3 Remember My Love/줄거리]] 문서참조. == 게스트 캐릭터 == '''루''' - CV. [[이와타 미츠오]](마술사), CV. 스즈키 카즈키(실제) 토모비키 메르헨 랜드의 피에로와 마술사로 분장 해, 아타루를 핑크색의 하마~~[[인사이드 아웃/등장인물#s-3.1|빙봉]]~~로 바꾼 장본인. 진짜 모습은 10세 정도의 소년. 어느날 쓰레기장에서 얻은 이상한 유리 구슬 덕분에 초능력을 익혀 시간여행을 하다가 어린 시절의 라무를 만났고 그녀에게 반하여 계속 지켜보다가 그녀가 모로보시 아타루를 만난 이후로 전혀 진심으로 웃지 않는다는 것을 느낀다. '''라라''' - CV. [[시마모토 스미]][* 시리즈 내에서 미즈노코지 아스카 역을 맡고 있었으며, [[시끌별 녀석들 2 Beautiful Dreamer|전작]]에서 수수께끼의 흰옷의 소녀를 연기한 바 있으며 후에 [[메종일각]]에서 [[오토나시 쿄코]] 역을 맡게 된다.] 루의 교사. 아타루가 라무가 없어진 사실을 기억 한 것을 계기로 둘이서 라무를 구출하려는 계혁을 짠다. 교사라는 직업 답게 '매우 잘 했어요' 와 '10점 감점' 이라는 문장을 새긴 도장을 지니고 있으며 이 도장을 이마에 찍어주는 것이 버릇 되어 있다. 이 작품이 극장에 공개되던 시기에 TVA 애니메이션에서 아타루가 읽고 있던 잡지의 표지나 포스터 또는 배경으로 루와 함께 등장하곤 했다. '''오시마''' - CV. 스가야 마사코 작중 마술사의 루의 인간 여성 조수로 등장하여 아타루를 유혹하는데 성공하지만 실제 모습은 너구리이며 자신이 상처를 입고 쓰러졌을 때에 루가 구해주었기에 루를 따르고 있다. TVA와 원작에서도 한 번쯤 등장했던 너구리이며 이름의 유래는 [[타카하시 루미코]]의 담당 편집자 오시마 씨[* 사실 이게 본명이 아니라 한다.] 에게서 가져왔다. '''떡갈 나무 숲 할멈(오바바)''' - CV. [[쿄다 히사코]] 라무의 탄생 축하 파티에 자신만 초대되지 않았기 때문에 분풀이에 라무가 어느정도 성장할 때, 서로 사랑하는 남자와 반드시 헤어지는 저주를 특별한 유리 구슬에 담아 우주 택배로 우송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탄생 축하 파티의 초대장 발송 중의 사고에 의해 할멈에게 닿지 않았을 뿐, 사실은 초대 되었었다. 오해했다는 것을 알게된 할멈은 배송 중에 저주 취소의 의도를 전했다. 그러나 정작 유리 구슬로 우송 도중의 터미널에서 분실되고 저주 자체는 행방불명 취급하며 방치되어 있었다. == OST == || [Youtube(RIxRA50ngM4)] || || 오프닝 테마 <'''Born to Be Free'''> || || [Youtube(FckcRk1J8H4)] || || 엔딩 테마 <'''Remember My Love'''> || 작사 - Ralph McCarthy 작곡 - 타케카와 유키히데 편곡 - 히지카타 타카유키 노래 - 스테파니 보저스[* [[시끌별 녀석들/애니메이션/주제가|시끌별 녀석들의 5번째 오프닝과 8번째 엔딩 곡을 보유하고 있다.]]] 오프닝, 엔딩 작화 - [[니시지마 카츠히코]] 오프닝, 엔딩 테마 모두 하드 록 풍의 곡으로 1980년대 당시로서는 선구적인 시도였다. 엔딩 테마인 에 대한 찬사가 쏟아졌었다. 당시 일본의 카페에서 가장 많이 틀던 음악이라고 소개되는 경우가 있을 정도의 잔잔한 분위기와 [[야마자키 카즈오]]가 지시했던 '영업이 끝난 놀이공원과 아쉬움을 가진 채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들을 배경 삼아 사랑을 갈망하는 라무' 를 잘 소화해 내어 [[야마자키 카즈오]]도 굉장히 좋아하는 곡 이다. PC 엔진 CD-ROM 2용의 게임으로 발매된 '시끌별 녀석들 STAY WITH YOU' 의 BGM으로 사용되고있다. == 여담 == * 라무의 루 추격 장면에서 '바다 사자가 걸림' 이라는 간판이 잠시나마 등장한다. 이것은 '아니메 쥬' 잡지에 연재되고 있었던, [[오시이 마모루]]와 [[모리야마 유지]]의 만화를 원작으로 둔 작품 'とどのつまり...'의 패러디 이다. * [[야마자키 카즈오]]의 첫 감독작이고 그가 봐왔던 것이 [[오시이 마모루]]의 [[시끌별 녀석들]]이었기에 [[오시이 마모루]]의 벽을 어느정도 인지했는지 스토리 전개나 구성과 연출등 <[[시끌별 녀석들 1 Only You|온리 유]]>의 스토리와 <[[시끌별 녀석들 2 Beautiful Dreamer|뷰티풀 드리머]]>의 연출을 짜집기 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렇다고 평이 나쁘지는 않다. * 소재를 [[오페라의 유령]]에서 가져왔다는 설이 있다. 실제로 가면을 쓴 사내가 사건의 주범이며 거울 뒷면의 세계에서 살고 있다는 것과 자신이 사랑하는 여성이 다른 남성과 사랑에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거울 속의 자신 만의 세상으로 안내한다거나 비슷한 요소가 많다. 아이러니 하게도 [[오페라의 유령]]의 후속작인 [[러브 네버 다이즈]]에서는 유령이 코니 아일랜드라는 이름의 놀이동산을 세웠다는 내용이 있다. * 자주 같이 뭉쳐다니는 애니메이터 [[모리야마 유지]], [[키타쿠보 히로유키]], [[니시지마 카츠히코]], [[안노 히데아키]]가 친해진 작품이기도 하다. [[분류:시끌별 녀석들(애니메이션)/극장판]][[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85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스튜디오 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