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Stanhope_Tree_-_geograph.org.uk_-_2531669.jpg|width=300]]|| ||||||||||<#00CC00><:>'''시길라리아'''|| ||||||||||<:><#BDFF12>''' ''Sigillaria'' '''|| ||<|7><:><#D7FFCE>분류|| ||[[계]]||||||'''식물계'''|| ||[[문]]||||||†석송문(Lycopodiophyta)|| ||[[강]]||||||†물부추강(Isoetopsida)|| ||[[목]]||||||†레피도덴드론목(Lepidodendrales)|| ||[[과]]||||||†레피도덴드론과(Lepidodendraceae)|| ||[[속]]||||||†시길라리아속(Sigillaria)|| ||<-5><:><#DBFF12> '''[[종]]''' || ||<-5>본문 참조|| || [[파일:sigillaria-topplus11.jpg|width=45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들은 오래된 양치식물의 조상이며 [[고생대]]에 나타나 지구 전체로 퍼져 번성한 양치식물 무리들 중 하나이다. 그 당시 고온 다습한 환경으로 양치식물들은 크게 번성하였는데 이들은 늪지대에서 노목([[칼라미테스|calamites]]), 인목(lepidodendron)류와 같이 거대한 숲을 이루었다. == 상세 == 시길라리아는 2차비대성장을 하며 뿌리가 두 갈래로 갈라져 그 뿌리가 땅 속 줄기가 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줄기는 잎이 빠져나온 모양이 드러나는데 이 모양을 본따 봉인목이라고 일컫는다. 또한 줄기는 드물게 한 갈래로 계속 자라지만 흔히 두 갈래로 갈라져 자란다. 이들은 [[석탄기]]에 크게 번성해 현재 [[석탄]]의 일부분이 되었다. 이들은 크게 번성했지만 페름기 말 겉씨식물의 등장과 [[판게아]]라는 대륙의 탄생으로 환경이 바뀌어 절멸했다. 대신 이들의 먼 후손뻘이 현재 지구 상에 존재하는데, 이들은 고작 키가 20cm밖에 안 되는 작은 초본으로써 그 당시의 환경과 대조해 현재의 지구가 이 양치식물들에게 냉엄한 환경임을 각인시켜준다. 인터넷에선 실제 이 나무와 비슷한 나무를 보고 코미디 호러 장르의 밈이 만들어지는 중이다. == 종류 == * †''S. alveolaris'' (Brongniart, 1828) * †''S. barbata'' (Weiss, 1887) * †''S. bicostata'' (Weiss,1887) * †''S. boblayi'' (Brongniart, 1828) * †''S. brardii'' (Brongniart, 1828) * †''S. cancriformis'' (Weiss,1887) * †''S. cristata'' (Sauveur, 1848) * †''S. cumulata'' (Weiss, 1887) * †''S. davreuxii'' (Brongniart, 1828) * †''S. densifolia'' (Brongniart, 1836) * †''S. elegans'' (Sternberg, 1825) * †''S .elongata'' (Brongniart, 1824) * †''S. fossorum'' (Weiss, 1887) * †''S. hexagona'' (Brongniart, 1828) * †''S. loricata'' (Weiss, 1887) * †''S. mammiliaris'' (Brongniart, 1824) * †''S. menardi'' (Brongniart, 1828) * †''S. micaudi'' (Zeller, 1886-1888) * †''S. monostigma'' (Lesquereux, 1866) * †''S. orbicularis'' (Brongniart, 1828) * †''S. ovata'' (Sauveur, 1848) * †''S. pachyderma'' (Brongniart, 1828) * †''S. principes'' (Weiss, 1881) * †''S. reticulata'' (Lesquereux, 1860) * †''S. rugosa'' (Brongniart, 1828) * †''S. saulii'' (Brongniart, 1836) * †''S. schotheimiana'' (Brongniart, 1836) * †''S. scutellata'' (Brongniart, 1822) * †''S. sillimanni'' (Brongniart, 1828) * †''S. tesselata'' (Brongniart, 1828) * †''S. transversalis'' (Brongniart,1828) * †''S. trigona'' (Sternberg, 1826) * †''S. voltzii'' (Brongniart, 1828) [[분류:고생물]][[분류: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