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승일상}}}'''[br]'''承一相[* 承'''{{{+1 壹}}}'''相으로 표기한 문헌도 있다.]'''}}}}}} || || '''본관''' ||[[승(성씨)|연일 승씨]][* 학림파(鶴林派) 30세 상(相) 항렬.] || ||<|2> '''출생''' ||[[1889년]] [[4월 6일]] || ||[[충청도]] [[아산시|신창현]] 현내면 읍내리[br](現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 ||<|2> '''사망''' ||[[1953년]] [[8월 18일]] (향년 64세) || ||[[충청남도]] [[아산시|아산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854호 || || '''상훈''' ||대통령표창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2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생애 == 1889년 4월 6일 충청도 신창현 현내면 읍내리(現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에서 아버지 승준길(承俊吉)과 어머니 [[함양 박씨]] 사이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4월 2일 아산군 신창면 읍내리에 있는 학성산(鶴城山)에 올라가서 인근 주민들과 함께 횃불을 올리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신창면사무소와 신창면 순사주재소, [[신창초등학교(충남)|신창공립보통학교]] 등을 차례로 습격하여 건물을 파괴하는 등 시위를 벌이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리하여 그해 5월 2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이른 바 보안법 위반 및 소요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형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620&evntId=0034986217&evntdowngbn=Y&indpnId=0000017619&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았다]]. 이에 공소하여 6월 28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위 혐의에 대해 원심 판결 중 자신에 대한 부분이 일부 취소되어 징역 6개월형으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62&evntId=0034971380&evntdowngbn=Y&indpnId=0000003798&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감형을 받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1953년 8월 18일 고향 아산군에서 별세하였다. 199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사후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창암리에 안장되었다가, 2008년 5월 22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분류:1889년 출생]][[분류:1953년 사망]][[분류:아산시 출신 인물]][[분류:연일 승씨]][[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희귀성씨인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