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승영호}}}'''[br]'''承永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승영호.jpg|width=100%]]}}} || || '''본관''' ||[[승(성씨)|연일 승씨]][* 학림파(鶴林派)-현암파(絃岩派) 29세 영(永) 항렬.] || ||<|2> '''출생''' ||[[1920년]] [[10월 24일]] || ||[[평안북도]] [[정주군]] 신안면 안흥동[* [[승(성씨)|연일 승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승계련]]·[[승병일]]·[[승영제]]·[[승준현]]·[[승진(독립운동가)|승진]]·[[승치현]]도 이 마을 출신이다.][br](현 평안북도 [[정주시]] 신안리) || ||<|2> '''사망''' ||[[1988년]] [[5월 4일]]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서울)|서교동]] 자택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45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승진(독립운동가)|승진]]·[[승병균]] 형제는 그의 6촌 재종형(再從兄)이다. == 생애 == 승영호는 1920년 10월 24일 평안북도 정주군 신안면 안흥동(현 정주시 신안리)에서 아버지 승계정(承啓鼎)과 어머니 [[조(성씨)|배천 조씨]](白川 趙氏) 조예균(趙禮均)의 딸 사이의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래로 동생 승영휘(承永暉)·승영시(承永視) 등이 있었다. 그의 직계는 대대로 문관을 종종 배출했는데, 10대조 승득운(承得運)은 1675년([[숙종(조선)|숙종]] 1) 식년시 문과에 병과 21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b_1675_006775|급제하여]] [[성균관]] 전적(典籍:정6품)에 오른 것을 시작으로, 6대조 승경술(承景述)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종2품)를 지냈고, 5대조 승응조(承膺祚)는 1782년([[정조(조선)|정조]] 6) [[평안도]]별시 문과에 병과 1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c_1782_010728|급제하여]] [[사헌부]] 장령(掌令:정4품)에 올랐다. 또한 그의 백증조부[* 증조부 승진곤(承鎭坤)의 넷째 형이다.] 승진태(承鎭泰)는 1846년([[헌종(조선)|헌종]] 12) 식년시 문과에 병과 22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c_1846_012773|급제하여]] [[사헌부]] 지평(持平:정5품)에 오르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자라난 그는 1942년 9월 [[일본]] [[도쿄]] 소재 [[주오대학]] 상과를 졸업하였으며, 1944년 1월 20일 [[학병]]으로 징집되어 중국 전선에 배치되었다. 같은 해 5월 중국에 있던 일본군 부대를 탈영하였고,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였다. 이후 [[황포군관학교|중국국민당 중앙육군군관학교]] 간부훈련단에 병설된 한광반(韓光班)에 입교하여 1944년 10월에 훈련을 마쳤고, 충칭에 있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군법무실에 배속되어 항일 활동을 전개하다가 [[8.15 광복]]을 맞이했다. 광복 후 조국으로 귀환하였으며, 1949년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4반에 입교하여 그해 4월 27일 임관하여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1954년 7월 대령으로 예편한 후에는 제주병무청장을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m/20190411/3/BBSMSTR_000000010058/view.do|역임하였다]]. 1988년 5월 4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50400329202031&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5-04&officeId=00032&pageNo=2&printNo=13107&publishType=00020|별세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0년 승영호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1988년 5월 6일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에 안장했다. == 기타 == * 2019년 11월 26일, LA총영사관은 [[캘리포니아 주]]에 거주하던 승영호의 차남 승원표(承元杓)씨에게 건국훈장을 전달하고 한국 국적 증서를 수여했다.[[http://ny.koreatimes.com/article/20191126/1282391|#]]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1920년 출생]][[분류:1988년 사망]][[분류:연일 승씨]][[분류:정주시 출신 인물]][[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주오대학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장교 출신]][[분류:희귀성씨인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