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승부조작]] [include(틀:상위 문서,top1=승부조작)] [목차] == 개요 == 승부조작의 사례를 정리한 문서 == 사례 == === [[축구]]의 승부조작 사건 === ==== 이탈리아 [[세리에 A]]의 승부조작 ==== 1980년 [[AC 밀란]], [[SS 라치오]] 등이 연루된 [[https://en.wikipedia.org/wiki/Totonero_1980|토토네로 스캔들]], 2000년 [[아탈란타 BC]] 등이 연루된 승부조작 스캔들이 있었다. 2006년에 발생한 [[칼초폴리]]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다만 이 사건은 다른 승부조작 사례들과는 달리 선수나 심판이 주도한 게 아닌 [[루치아노 모지|구단 수뇌부]]가 심판 배정에 관여하는 등 부정행위[* 대법원 최종 판결문에서 쓰인 표현은 '범죄 공모죄 및 스포츠 사기죄(il reato di associazione per delinquere, sia la frode sportiva)'.]를 저지른 사건이다.[[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699579&memberNo=27411802|#]] 이 사건으로 [[유벤투스 FC|유벤투스]]는 2004-05 시즌과 2005-06 시즌 [[스쿠데토]]가 박탈되고 [[세리에 B]](2부 리그)로 강등당했으며, [[AC 밀란]], [[SS 라치오]], [[ACF 피오렌티나]], [[레지나 1914]]도 승점 삭감 등의 처벌을 받았다. 상세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2011-12 시즌 [[아탈란타 BC]]와 [[로부르 시에나 SSD|AC 시에나]], [[US 레체]], [[AS 바리]], [[UC 삼프도리아]] 등이 승부조작에 연루되었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를 스코메소폴리라고 부른다. 이 사건은 칼초폴리와 달리 선수가 직접 승부조작에 개입하고 도박 사이트를 통해 이익을 얻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주세페 시뇨리]], [[크리스티아노 도니]] 등 몇몇 유명 선수들이 이 사건에 연루되어 2~3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사실상 축구계에서 퇴출되었다. [[안토니오 콘테]] 감독도 이 사건으로 4개월 감독 자격정지를 당했으나 2016년 형사 재판에서 무혐의로 판결되어 누명을 벗었다. [[http://www.thehardtackle.com/2015/catania-rocked-by-italys-latest-match-fixing-scandal|2015년 6월 카타니아 칼초가 승부조작으로 리가프로 C로 강등]]되었다. ==== 독일 [[분데스리가]]의 승부조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971년 분데스리가 승부조작 사건)] 1970/71 시즌 오펜바흐의 구단주 카넬라스가 하위권 팀들이 시즌 막판 강등을 피하기 위해 승부조작을 했다는 사실을 폭로했다. 독일 축구협회의 조사 결과 사실로 드러났으며, 오펜바흐는 리그 면허가 취소되었고, 빌레펠트는 강등되지는 않았으나 모든 리그 기록이 삭제된 상태로 다음 시즌에 참가했다가 강등되었다. 이 사건으로 분데스리가의 인기는 땅에 떨어졌다가 1974년 서독 월드컵에서 서독이 우승하고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 서독 클럽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며 겨우 회복되었다. 2004년에는 심판들이 하위리그와 포칼에서 이해할 수 없는 판정을 내리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조사 결과 크로아티아의 베팅업체가 심판들을 매수하여 승부를 조작한 것이 밝혀졌다. 매수된 심판 로베르트 호이저는 징역형 및 분데스리가 영구 퇴출 처분을 받았고, 기타 몇몇 심판들도 징역형 및 퇴출 징계를 받았다. 당시 조작된 경기 중 하나를 치르고 패배한 [[함부르크 SV]]는 피해 보상금을 받았다. ==== 잉글랜드 [[잉글랜드의 축구 리그|풋볼 리그]]의 승부조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915년 영국 축구 승부조작 사건)] 1915년 4월 2일 올드 트래퍼드에서 열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리버풀 FC|리버풀]]의 잉글랜드 1부 풋볼 리그 경기에서 양 팀의 선수들이 승부조작에 관여했던 사실이 드러난 사건. 총 3명의 맨체스터 유나티드 선수들과 4명의 리버풀 선수들이 승부조작에 관련된 것으로 밝혀져 모두 영구 출전 금지의 징계를 받았다. ==== 튀르키예 [[쉬페르리그]]의 승부조작 ==== 2011년에도 터키 전역을 경악으로 빠뜨린 승부조작이 터졌다. 그것도 중하위리그도 아닌 쉬페르리그 빅 3에 들어가는 [[페네르바흐체 SK]]와 [[베식타스 JK]]에 [[트라브존스포르]]까지 연루된 것이다. 때문에 구속된 사람들도 줄줄이 터키 축구계 유명인물들이었는데, 전직 터키프로축구연맹 회장과 트라브존스포르의 사드리 세네르 구단주, 페네르바흐체의 아지즈 이을드름 구단주, 베식타슈 회장 및 감독같은 고위간부들까지 30명이나 줄줄이 구속되었다. 거기에 FA컵을 우승한 베쉭타쉬까지 관여된 것이 드러나 우승컵을 반납했다. 리그 우승한 페네르바흐체 대신 트라브존스포르가 챔피언스 리그 32강에 나가게 되었으나, 이 사태로 인하여 리그 운영도 대대적으로 교체되었다. 자세한 건 [[쉬페르리그]] 문서로. ==== [[중국 슈퍼 리그]]의 승부조작 ==== 중국 슈퍼리그에서도 2009년 시즌에 광저우 헝다(广州恒大)와 청두 셰페이롄(成都谢菲联)이 승부조작에 가담했고 그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결국 그 두 팀은 [[중국 갑급 리그]](2부)로 강등조치되었다. 그덕에 원래 강등될 팀이었던 항저우 뤼청(杭州绿城)과 충칭 리판(重庆力帆)이 어부지리로 잔류했다. 그리고 그 강등될뻔한 [[항저우]]는 다음 시즌인 2010년 시즌에 4위로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 심지어 심판들까지 승부조작에 관여했다. 관련 정보는 [[루쥔]] 문서로. [[존 듀어든]]은 [[흑사회]]들의 승부조작을 비난했는데 중국에서만 그러는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승부조작을 저지르니 문제라고 깠다. 실제로 한국 [[K3리그]] 승부조작에 흑사회가 매수한게 드러나, 리그 경기장에서 경기보면서 무전기나 [[휴대폰]]으로 전화하는 중국인을 보면 신고하라는 문구가 걸렸을 정도이다. 그 밖에도 동남아나 세계 각지에서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고 한다. 존 듀어든의 [[책]]에 의하면 인구 30만 수준인 [[아이슬란드]] 리그에서도 [[삼합회]]가 매수시도하려다가 걸려 영구추방된 일까지 있었다고 한다. 이게 왜 그런가하면 그만큼 많은 [[리그]]에 베팅을 걸어야 하기 때문에 세계 듣보잡 리그나 심지어 여자리그 및 하위리그까지 매수를 시도한다고 한다. ==== 기타 ==== [[그리스]]도 슈퍼리그 승부조작 혐의가 터졌다. 아직 확정은 아니지만 여기도 그동안 말이 많았다.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예선에서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칠레]]가 승부조작을 벌이려다 실패한 전적이 있다. [[마라카낭의 비극(1989)|문서 참조]] [[동남아시아]]는 이미 1960~70년대에 장난 아니게 터졌다. 태국 및 인도네시아같은 경우에는 리그는 물론, 국대팀 경기에서도 승부조작 및 매수가 터지면서 조폭 세력이 연루되었다. 이로 인하여 당시 아시아에서 수준급 실력을 가진 동남아 축구가 타격을 받게 된 원인 중 하나가 된다. 특히 말레이시아는 당시 승부조작의 여파로 인해 한때 아시아를 호령하던 강팀이었던 국가대표팀이 동남아에서도 중위권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초라하게 몰락하고 말았다.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북한]]의 고의 패배가 적발되었다. D조에 속한 [[북한]]은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를 남겨두고 있었는데 두 팀은 이미 2승을 선점하여 8강 진출을 확정한 터였다. 그런데 옆의 C조에서 [[오만]]이 조 1위를 차지하고 [[이라크]]가 조 2위를 차지하자 [[북한]]은 까다로운 [[이라크]] 대신 그나마 만만해 보이는 [[오만]]을 만나고자 져주기 게임을 시도한다. 후반 4분 우즈베키스탄의 골키퍼 우므르자코브 라수르벡이 길게 골킥을 하자 북한의 [[골키퍼]] 장백호가 달려나와 점프로 막는 시늉을 하면서 공을 뒤로 흘린다. 그리고 골대로 굴러가는 공을 쫓아가다가 두 번이나 넘어지며 선제골 허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북한은 우즈베키스탄에 1:3으로 패배하여 조 2위가 되고 8강에서 오만을 만나 승부차기 끝에 4:2로 승리하고 4강에 진출하였다. 이를 적발한 AFC는 11월 4일 징계위원회를 열어 북한 축구협회에 벌금을 부과하고 윤정수 감독과 골키퍼 장백호에게는 벌금과 함께 1년 참가 정지 처분을 내렸다. 그리고 [[2017년 FIFA U-17 월드컵]] 참가 자격은 유지하되 2018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는 참가 정지 처분을 내렸다. 다만 후에 징계가 해제된 것으로 보인다. 2013년 7월, [[나이지리아]]의 축구 하부리그에서 2경기에서 '''146골'''이 나왔다.~~농구냐~~ 나이지리아 아마추어 구단인 플라테우 유나이티드와 폴리스머신은 최하위 프로리그로 승격하기 위한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는데, 두 팀이 승점이 같기 때문에 골득실이 앞서야 승격이 되는 상황이었고, 상상할 수 없는 스코어를 연출하기에 이르렀다. 플라테우는 아쿠르바FC를 상대로 79-0으로 승리했는데, 같은 시간 폴리스머신은 바바야로FC를 67-0으로 이겼다. 아무리 수준이 낮은 최하위 리그라고 할 지라도, 거의 후반 '''1분당 한 골 이상'''이 나온 셈이라 이러한 스코어는 [[펠레]], [[리오넬 메시]]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와서 팀 전원을 채울지라도 무리다. 거의 승부조작 확정. 이렇듯이 아프리카 리그에선 이런 일이 많이 터진다. 2022년 6월, [[남아프리카 공화국]] 4부 리그에서는 우승이 달린 마지막 라운드에서 59-1 승, 33-1 승이 터지는 통에 논란이 거세졌다. 그리고, 2022년 [[시에라리온]] 2부 리그에서 역대급 승부조작이 펼쳐졌다. 2경기에서 '''186골'''이 터져버렸다. 리그 마지막 라운드에서 카훈라 레인저스는 레베부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95-0'''으로 걸프 FC는 코키마 레바논을 '''91-1'''로 이겨버린 것. 결국 시에라리온 축구협회 회장인 토마스 브리마는 "2경기 모두 무효 처리됐다. 이번 승부조작에 참가한 사람은 모두 기소할 것이다"라면서 두 경기의 클럽과 선수, 관계자에 대한 전수 조사를 약속했다. ==== 의심 사례 ==== ===== [[2006년 독일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라운드 4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승점''' || || '''1'''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 6 || 5 || 0 || 1 || 15 || 2 || +13 || '''15''' || || '''2'''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6 || 5 || 0 || 1 || 14 || 1 || +13 || '''15''' || || 3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6 || 2 || 0 || 4 || 5 || 15 || -10 || '''6''' || || 4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 || 6 || 0 || 0 || 6 || 2 || 18 || -16 || '''0''' || [[2006년 독일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라운드 4조의 경기에서도, 확실히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승부조작 '''의심''' 사례가 있었다. 당시 [[중국]], [[말레이시아]], [[쿠웨이트]], [[홍콩]] 4개국이 같은 조였다. 조 1위에게만 주어지는 최종예선 [[티켓]]을 두고 [[중국]]과 [[쿠웨이트]]가 경쟁하고 있었다. 중국과 쿠웨이트는 맞대결 1/2차전에서 서로 1대0으로 승패를 주고 받았기 때문에, 관건은 다른 약체팀들을 상대로 얼마나 대량득점을 해서 골득실에서 우위에 서느냐였다. 마지막 경기 대진이 [[쿠웨이트]]-[[말레이시아]] 그리고 [[중국]]-[[홍콩]]이었다. 마지막 한 경기를 앞 둔 시점에서,쿠웨이트와 중국은 승점은 같았고, 골득실에서 2골을 앞선 쿠웨이트가 1위, 중국이 2위였는데, 중국이 홍콩을 상대로 대량득점을 하면 1위를 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알다시피 [[중국]]과 [[홍콩]]은 행정적으로만 분리가 되어 있을 뿐, [[일국양제]] 체제 아래의 같은 [[국가]]다. 같은 시간에 동시에 열린 경기 결과는 [[쿠웨이트]] 6 : 1 [[말레이시아]] , '''[[중국]] 7:0 [[홍콩]]'''으로 나왔다. 중국이 [[홍콩]]을 대파했음에도 쿠웨이트 역시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대량득점을 해서 1위/2위가 뒤바뀌지 않으면서, 쿠웨이트가 1위 자리를 그대로 지켰고, [[중국]]은 2위로 탈락했다. __[[승점]], 골득실까지 같았지만 다득점에서 쿠웨이트가 '''딱 1골'''을 중국보다 앞서면서 최종예선에 나갔다.__ 중국:홍콩은 전반전 3대 0, 후반전 시작하자마자 2골을 보태 5대 0으로 중국이 앞서나갔다. 쿠웨이트:말레이시아는 후반전 10분까지 1:1 의 스코어였다. 그런데 말레이시아 선수가 1명 퇴장당하면서 상황은 급격히 변했다. [[쿠웨이트]]는 이후 무려 5골을 연속으로 득점하면서 6대1로 이겼다. 중국은 [[페널티킥]]을 실축하는 등 후반전에 2골을 추가하는데 그치면서 결국 7대 0으로 대승을 했음에도 조 2위에 머물렀다. 더블라운드였기 때문에 2경기씩 대전을 했는데, 홍콩과 중국간 1차전은 홍콩(홈) 0:1 중국(원정)이었다. 2차전에서의 [[중국]](홈) 7:0 [[홍콩]](원정)은 쉽게 나올 수 없는 결과다. 홍콩이 아무리 축구 실력이 별로라고 해도, 중국에게 7:0 대패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홍콩 선수들이 자국(?)인 중국을 위해서 일부러 설렁설렁 뛰면서 대량 실점을 했을 가능성이 상당하다. 뭐, 그래도 결과적으로 조 1위가 바뀌지는 않았기 때문에, 승부조작이니 뭐니 하지 않고, 별 말 없이 넘어간 사례다. || 경기장 ||<-2> 쿠웨이트 - 카즈마 SC 스타디움, 쿠웨이트 시티 || || 경기일 ||<-2> 2004년 11월 17일 16:00 (현지시각) || || 국 가 || '''[[쿠웨이트]]''' || [[말레이시아]] || || 득 점 || '''6''' || 1 || || 득점자 || 알 무타와 Goal 17'[br] 압둘라 Goal 60', 70'[br] 라히브 Goal 75', 85'[br] 알 하마드 Goal 82' || 야야 Goal 19' || || 경기장 ||<-2> 중국 - 톈허 스타디움, 광저우 || || 경기일 ||<-2> 2004년 11월 17일 21:00 (현지시각) || || 국 가 || '''[[중국]]''' || [[홍콩]] || || 득 점 || '''7''' || 0 || || 득점자 || 리진유 Goal 8', 47' [br] 샤오쟈이 Goal 42', 44' [br] 쑤윤롱 Goal 49' [br] 유젠웨이 Goal 88' [br] 리웨이펑 Goal 90+2' || - || ==== 국가적 단위의 승부조작과 의심사례 ==== [[아르헨티나]]가 개최한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1978년 FIFA 월드컵]]에서도 승부조작 의혹이 있었다. 2라운드 때가 그러했는데, 당시 2라운드도 1라운드처럼 조별리그로 짜여졌다. 아르헨티나는 브라질, 페루, 폴란드와 함께 2라운드 B조에 속했고 각자 두 경기씩 치르고 난 뒤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이 각각 1승 1무였고 폴란드가 1승 1패, 페루가 2패인 상태에서 브라질-폴란드, 아르헨티나-페루 이렇게 남아 있었다. 이러면 골을 최대한 많이 넣어야 결승에 진출할 수 있었는데 아르헨티나 정권이 개입해서 자기들은 경기 시간을 조금 늦춰놓고 페루와의 경기에서 브라질을 3위 결정전으로 밀어내고 결승에 올라갔다. 하지만 이 당시 이미 페루는 2패로 아르헨티나전 이전의 두 경기만에 조별리그 탈락이 확정되었기 때문에 아르헨티나를 이길 의지가 애초에 없었다. 페루는 브라질전과 폴란드전에서는 그래도 어떻게든 한번 살아남아보려고 발악이라도 했지만 마지막 경기인 아르헨티나전에서 페루는 이미 2패라서 그런 승부욕이 완전히 꺾인 상태였다. 반면 폴란드는 1승 1패 상태라서 3위 결정전이라도 한번 가보려고[* 만에 하나 폴란드가 브라질을 이긴 상황에서 페루가 아르헨티나를 이길 경우 이 조에서 2승은 폴란드밖에 없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폴란드가 결승에 가는 경우도 발생했다.] 브라질을 상대로 죽을 힘을 다했다. 애초부터 페루가 대패를 했다고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인 것이다. 이와 비슷한 식으로 돼서 의혹이 제기된 사례도 있었다. [[UEFA 유로 2004]] [[UEFA 유로 2004/C조|조별리그 C조]]가 그러했다. 스웨덴과 덴마크가 각각 1승 1무, 이탈리아는 2무, 불가리아는 2패가 된 상황에서 스웨덴-덴마크, 이탈리아-불가리아 이렇게 남아 있었다. 이탈리아가 불가리아를 이기고 스웨덴과 덴마크가 서로 비기면 3패의 불가리아를 제쳐두고 나머지 셋이 1승 2무가 되는데 스웨덴과 덴마크가 2-2 이상으로 비길 경우 상대 전적상 골득실, 다득점 원칙에서 밀리는[*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에서는 1996년 대회부터 승점이 같으면 [[승자승]] 원칙이 골득실이나 다득점보다 우선 적용되며 스웨덴과도 무승부, 덴마크와도 무승부라 상대 전적상 다득점을 비교할 수 밖에 없었다.] 이탈리아가 조별리그에서 [[무패 탈락]]하게 될 상황이었다. 때문에 이탈리아 언론에서는 스웨덴과 덴마크가 짝짜꿍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리고 이탈리아는 불가리아를 2-1로 간신히 이겼는데 스웨덴과 덴마크가 진짜로 2-2 무승부를 거두는 바람에 탈락하게 됐다. 이에 이탈리아는 UEFA에 승부조작 의혹을 제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실제 경기 내용을 봐도 2-2 무승부 상태에서 거의 끝나갈 때쯤 볼돌리기한 것을 빼고는 도무지 조작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게다가 당시 체코가 강팀이었기 때문에 덴마크로서는 8강에서 체코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스웨덴을 이길 수 밖에 없었던지라 이에 따라 이탈리아 축구팬들은 이 사건을 비아냥거리기 위해 '''스웨덴마크'''라고 두 팀을 합쳐서 부르기도 했다.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서는 [[독일|서독]]과 [[오스트리아]]의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s-3|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승부조작을 했고 [[히혼의 수치]]라고 불린다. 서독은 오스트리아, 알제리, 칠레와 조별리그 B조에 속했고 오스트리아가 2승, 서독과 알제리가 각각 1승 1패, 칠레는 2패가 된 상황에서 알제리-칠레, 서독-오스트리아 이렇게 남아 있었다. 그 전의 경기 결과는 오스트리아는 칠레와 알제리를 연파, 알제리는 서독에게 승리했으나 오스트리아에게 패배, 서독은 칠레에게 승리했으나 알제리에게 패배했다. 조별리그 3차전에서 알제리가 칠레를 이겼는데 경기 상황이 서독이 오스트리아를 1점차로 승리하면 3패의 칠레를 제쳐두고 나머지 셋이 2승 1패가 되는데 골 득실차로 인하여 알제리가 탈락하게 될 상황이었다. 즉, 서독이 적은 점수차로 오스트리아를 이기지만 않으면 알제리는 12강 진출이 확정된 것이었다. 한데 서독과 오스트리아는 서로 짝짜꿍을 하고 오스트리아 쪽에서 고의로 져주기로 했다.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전반 10분까지는 그럭저럭 제대로 경기를 했지만, 전반 10분에 서독의 흐루베쉬가 골인을 하자 짝짜꿍을 하고 80분 동안이나 볼돌리기를 했다. 이 때문에 관중들은 경기장에 오물을 투척하며 욕설을 퍼붓고 경기가 끝난 이후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2639|서독의 언론들은 독일 역사상 최악의 경기]]라고 하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결국 서독은 오스트리아와 짝짜꿍해서 [[자멜 지단]]이 이끄는 알제리를 조별리그 탈락시키고 자기들이 12강에 올라갔다. 여담으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 감독인 [[울리 슈틸리케]]가 당시 스위퍼로 출전했었다. 결국, 서독과 오스트리아의 담합으로 인하여 [[FIFA]]는 [[유로 1984]]부터 이런 식의 승부조작 사례를 막기 위해서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는 동시에 진행한다."'''라는 공식 룰을 도입했으나[* 보통은 프로축구 리그에서도 마지막 경기는 동시에 진행한다. 그러나, 이례적으로 [[2016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적용되지 않았다.], 2018년에도 [[볼고그라드의 수치|이런]] [[모스크바의 수치|사례]]가 두 건이나 발생했다. 2011년 2월 [[터키]]에서 열린 A매치 2경기가 승부조작 의혹에 휩싸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4912367|#]] 7골이 모두 [[페널티킥]]이었다. 2012년 2월 29일에 펼쳐진 2014년 브라질 월드컵 3차예선 마지막라운드에서 [[바레인]] vs [[인도네시아]]의 경기가 승부조작 혐의를 받고 있다. 스코어가 자그마치 10:0으로 바레인의 압승으로 끝난 것. 상대전적으로 보나 양 팀 전력으로 보나 10:0의 스코어가 나올 수 있을만한 경기가 아닌데다가[* 물론 [[미네이랑의 비극]] 같은 경우도 있다.], 조 2위였던 카타르가 간신히 비기지 않았다면 바레인이 골득실로 앞서 최종예선에 진출할 수 있었던 상황인지라 더더욱 의혹이 짙다. 결국 [[FIFA]]에서 진상조사에 나서기로 했지만 1년이 지나도록 별다른 증거를 찾지 못했고 결국 무혐의로 끝나버렸다. 2016년 3월 29일에 펼쳐진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2018년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C조|이 조]]와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H조|이 조]]의 마지막 경기들이 [[북중관계|이런 이유때문에]] 국가 단위의 승부조작으로 의심하는 의견이 있었다. [[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13&aid=0000031781|관련 기사]]의 댓글에 나온다. 해당 댓글을 단 사람들은 이 전에도 [[EAFF E-1 챔피언십/2015년|의심의 여지]]가 있는 [[EAFF 동아시안컵#s-4.3|여러 가지]]의 [[EAFF 동아시안컵#s-4.2|사례]]들이 있었으므로 정당한 의혹 제기를 한 것이다. ===== [[2013년 유럽 축구 승부조작 스캔들]]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 명=2013년 유럽 축구 승부조작 스캔들 )] 2013년 2월 4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유로폴]]은 유럽 15개국 425명의 심판, 선수 및 축구 관계자가 승부조작에 연루됐다고 발표했다. 무려 380경기서 조작이 이루어졌으며[* BBC는 680경기라고 보도.] 이는 [[FIFA 월드컵|월드컵]]과 [[UEFA 유로|유로]] 예선, [[UEFA 챔피언스 리그|챔피언스리그]], 그리고 몇몇 리그의 빅매치 또한 포함되었다고 한다. 게다가 이러한 발표 조차도 빙산의 일각이라는 말이 있으며 유로폴은 수사가 전세계로 확대될 방침이라고 한다. ===== [[2018년 유럽 축구 승부조작 스캔들]] ===== [[벨기에 프로리그]]를 시작으로 [[세르비아]], [[프랑스]] 등 주변국으로 수사가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2013년 스캔들과 마찬가지로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경기에서도 승부조작 의혹이 생길 정도로 사태가 확산되고 있다. === [[야구]]의 승부조작 사건 === [[야구]]는 특성상 승부조작이 가능한가 싶고, 가능하다해도 승부조작을 하고 싶어도 실패할 확률이 높을정도로 매우 어려워보이는게 사실이나, 놀랍게도 야구도 승부조작 사례들이 존재한다. ==== 미국 프로야구의 승부조작 사건 ==== 미국의 경우 세계최초의 승부조작으로도 유명한데 1919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팀인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조 잭슨]] 등 8명의 선수가 승부조작에 참여하여 물의를 일으킨 [[블랙삭스 스캔들]]이 유명하다. 블랙 삭스 스캔들이 워낙 [[충공깽]]이라 승부조작 가담자는 물론 [[벅 위버|가담 사실을 알고도 신고하지 않았거나]], [[프레드 맥멀린|가담하지는 않았지만 승부조작의 대가를 과도하게 요구한 경우]] 등 관련자 전원이 영구제명되었으며, 이와 같은 일을 근절하기 위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커미셔너(총재) 제도가 탄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대만 프로야구의 승부조작 사건 ==== 야구에서의 승부조작이라면 단연 [[대만]]이 가장 먼저 거론된다. 자세한 건 [[대만 프로야구|타이완 프로야구]] 문서로. '''우승팀에서 최하위 팀까지 모두 짜고 쳤고, 앞으로도 짜고 칠 가능성이 높다.''' 승부조작이라면 따라올 리그가 없을 듯. 조폭이 깊숙히 연루되어 정부와 밀착관계까지 되어있고 야구계도 깊숙히 같이 들어가 도저히 건드릴 수 없을 지경이기에 이렇다. * [[검은 독수리 사건]] ==== 일본 프로야구의 승부조작 사건 ==== 1969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니시테츠 라이온즈]] 소속이던 [[나가야스 마사유키]]의 주동으로 터진 [[검은 안개 사건]] 등의 [[흑역사]]가 있다. 좀 듣보잡 경기들은 [[야쿠자]]들의 개입으로 빈번히 일어났다고 하나 확인된 것은 없다. 일반적으로는 퍼시픽리그의 [[지명타자]]제 도입과 전 구단 TV중계가 이루어진 1970년대 중후반 부터는 사라진 것으로 본다. === [[바둑]]의 승부조작 사건 === [[바둑]]에서도 승부조작이 있을 수 있다. 아니, 바둑은 승부조작 [[리스크]]가 매우 높다. 대국 중에 [[화장실]]을 다녀오는 것도 자유이며, 심지어 [[일본]] [[바둑]] 7대기전은 이틀대국이고, 이는 곧 하룻밤 사이가 시간이 남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응씨배]]와 같이 공식적인 점심시간이 있는 [[바둑 기전]]도 존재한다. 이런 시간에서 아예 짜고 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것. 대국 두는 상대가 [[외국인]]인 국제기전이 아닌 국내기전이라면, 어차피 [[바둑기사]]들은 대국 둘 때 아니면 다같이 친하게 지내고 [[친목질]]하므로 [[밀당]]해두기도 정말 좋다. [[끝내기(바둑)|끝내기]] 돌입할 때쯤 너무 이해가지 않는 실수만 하지 않는다면 어느정도의 실수는 [[초읽기]]에 몰려서 정확한 수읽기가 되지 않았다고 발뺌하기도 정말 좋다. 유명한 사건은 고의로 계속 비긴 사건. 그 당시 [[일본]] [[바둑]]은 반집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집 수가 완전히 같아서 무승부가 나오는 일이 있었다. 생계가 곤궁한 두 기사가 대진 상대로 우연히 만나 짝짝꿍을 해서 연속 [[무재배]]로 경기 수를 뻥튀기시켜 대국료를 많이 타 간 사건이었다. 이 사건이 후수에게 덤에 반집 개념을 도입한 계기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 외에도, 일본 [[메이지]] 시대에 청과물 점포를 운영하는 사람이 하나 있었는데 이 사람이 바둑 초고수였다고 한다. 하지만 손님들과 바둑을 둘 때는 단골 확보 차원에서 [[져주기 게임]]을 적당히 해 가면서 바둑을 두었다고 한다. 하지만 져주기 게임 치고는 너무나도 진지해서 승패(勝敗)를 적당히 주고 받는 것을 다들 그의 진짜 기력으로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기원에서 져주기 게임 없는 그의 진짜 기력을 측정해 보자 모두 놀랐다고 한다. 일본어로 승부조작을 의미하는 야오초(八百長)라는 단어가 바로 이 일화에 등장하는 청과물점 주인의 이름인 초베에(長兵衛)에서 따 온 것. (八百屋[* 일본어로 '청과물 가게'를 뜻하는 말.] + 長兵衛) == [[/대한민국|한국의 사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승부조작/사례/대한민국)] == 창작물에 등장하는 승부조작 == [include(틀:스포일러)]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류우키]] - [[가면라이더 오딘]] * [[가면라이더 빌드]] - 격투가인 [[반죠 류우가]]가 여자친구의 수술비를 위해서 했다가 제명당했다. 국내판 한정으로 집행유예까지 받은 걸로 추정된다.[* 그래서인지 살인은 누명이라고 증명했지만 승부조작은 반죠 본인 입으로 했다고 했기 때문에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범죄자는 맞다]].] * [[공포의 외인구단]] - [[최엄지]]의 져 달라는 부탁에 [[오혜성]]은 수비 중 고의로 타구를 맞고 쓰러지면서 공을 잡고 놓지 않아 역전을 허용한다. * [[낙제 기사의 영웅담]] - 가문에서 [[스텔라 버밀리온]]과의 스캔들을 빌미로 [[쿠로가네 잇키]]를 완전히 매장시키려고 원래 매칭하려 했던 상대 대신 하군 학원 최강자인 토도 토카를 상대하게끔 대진표를 바꿔 놓는 만행을 저질렀다. 심지어 잇키는 심문 과정에서 심한 짓을 당한 탓에 몸 상태까지 악화된 상태였다. 이런 상황에서 잇키가 보란 듯이 일도나찰로 토도를 압도적으로 바른 후, 승부조작 및 매장하려던 직접적인 인물인 아카자의 실각으로 이어졌고, 스텔라의 아버지까지 남녀 간의 사랑을 도구로 이용한다는 것에 대하여 불쾌감을 드러내기까지 한다. * [[내일은 실험왕]] - 태양초 교장이 [[에릭 우드|에릭]]에게 가설 선생님을 돌려주겠다는 담보로 승부 조작을 요구한다. 에릭은 이것 때문에 한별초 실험반을 떠나려 한다. 나중에 이 사실을 그들에게 말하는데, 실험반원들은 승부 조작을 도와주겠다며 떠나지 말라고 했다. 어쨌 승부 조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실험반원들은 여러 번 일부러 실수를 저지르려고 했으나 에릭이 제지했다.] * [[드래곤볼]] - [[천하제일무술대회]]에서 [[18호]]가 결승전에서 만난 [[미스터 사탄]]과 계약해 사탄에게 일부러 패배한 대신 사탄에게서 돈을 왕창 뜯어냈다.(대회 우승상금의 약 두배가량.)[* 우승을 못 했다지, 준우승은 가져가서 실질적으론 준우승 상금까지 탔을 것이다.] 그 이후에도 부우가 사탄에게 져주는 등 사기행각은 계속되었다. * [[레드라인]] - 각 선수 별로 배당금이 걸려 있는 자동차 레이스에서 계속 꼴찌로 달리다가 마지막 바퀴에서 순식간에 1등으로 부상, 그리고 우승 직전에 [[리타이어]]함으로써 막대한 차익을 챙기는 방식으로 돈을 따낸다. 승부조작의 주체는 [[야쿠자]]와 결탁한 '''주인공'''... * [[리전에어]] - 지역의 갱조직의 두목인 갈가니(짐 카터 분)는 잘나가는 복서 알랑 르페브르([[장 클로드 반담]] 분)에게 자신이 키우고 있는 복서 줄로(조 몬타나 분)에게 져주는 대가로 돈을 지불하겠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알랑 르페브르는 이 제안을 받아들이는 척 하다가, 경기에서 줄로를 눕혀버린다. 물론 이러한 승부조작을 거부한 주인공은 이것 때문에 인생이 꼬이고 만다. * [[배드파파]] - 작중 주인공이 승부조작을 저질러서 몰락했다가 종합격투기로 복귀하는 전직 권투선수다. * [[북두의 권]] - [[효우]]가 북두종가의 계승자가 되기에 그 실력이 한참이나 모자란 탓에 [[쥬케이]]는 적통의 권위를 세워주기 위해 [[라오우]]와 [[토키(북두의 권)|토키]]의 목숨을 담보로 [[카이오(북두의 권)|카이오]]에게 효우한테 고의로 패하라고 강요했다. 물론 승부조작이 아닌 진검승부로 둘이 맞붙을 경우 효우는 카이오우에게 흠집조차 내지 못한다. *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 [[도미닉 토레토]] 및 [[제이콥 토레토]]의 아버지는, 막대한 빚을 청산하기 위해 승부 조작을 시도하지만, 의도적으로 고장낸 엔진에 뜻 밖의 화재가 발생하여 사망했다. * [[블랙아웃]] - 일본 고교야구선수였던 주인공이 자신이 출전했던 마지막 경기에 승부조작이 있었음을 깨닫고 진실을 추구하는 내용이다. * [[블루 락]] - 축구 만화, 주인공 z팀의 일원인 쿠온이 z팀의 아슬아슬한 승패에 블루락 2차 선발전의 특수 룰 팀내 득점 1위가 상위로 올라가는걸 이용해서 다음에 맞붙을 w팀에게 자신이 속한 z팀의 정보를 주고 자신은 3득점을 올리고 + 11대 11로 경기하는 축구를 배신해서 10대(z팀) 12(w팀)을해서 z팀을 패배시키고 자기 혼자 살아 남는다는 승부 조작을 거래한다. 참고로 블루 락 규칙상 허용되는 수준이라고 블루 락에 대한 것은 해당 문서로. 참고로 1차 선별 시험은 축구 상황을 이용한 공으로 이용하는 술래잡기인데 핸들만 금지되었다고 발로 가격과 프렌드 실드가 허용되었다... * [[뽀롱뽀롱 뽀로로]] - [[에디]]는 '''똑똑 주사위'''라는 주사위를 만들어 친구들과 게임을 진행했다. 사실 이 똑똑 주사위는 명령을 이용해 원하는 숫자가 나오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일행들 개털렸다-- * [[셜록 홈즈]]가 등장하는 [[아서 코난 도일]]의 작품인 [[셜록 홈즈의 회상록#s-1.1|실버 블레이즈]]에서도 경마 승부 조작이 등장한다. 그리고 '''[[끔살|그 승부 조작을 시도한 범인은 결국...]]''' * [[시티헌터]] - 사에바 료에게 의뢰한 의뢰인 중 하나가 권투 선수였는데 상대 선수에게 동생을 납치당했다. 경기중 일방적으로 공격을 가하던 상대선수는 너무 시시하다면서 한대 쳐보라며 도발을 했고 의뢰인은 질 경기 한대만이라도 때려보자는 심정으로 주먹을 날렸는데 사에바 료는 그 타이밍에 맞춰서 상대 선수의 귓구멍 속으로 헤드샷을 성공시켰다. 경기 내용은 단 한방에 KO, 그리고 상대 선수는 암살이 아닌 시합 중 사망 처리되었다. * [[신의 탑]] - 네임 헌트 정거장 편에서 엔도르시가 밤에게 일부러 지고 이름을 달라고 제안했으며, 제전에서 카이저를 공략한 인물은 밤이지만 대외적으로는 엔도르시 자하드라고 알려졌다. * [[십이대전 대 십이대전]] - 12년 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십이대전을 십이성좌의 전범들이 유력자의 도움으로 제 12회 십이대전을 탈취해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판을 짜고 십이전사들을 철저하게 속이면서 12회 십이대전을 조작하는 것에 성공했다. * '''[[소림축구]]''' - [[진 주인공]]이자, '황금 오른발'이라는 별명으로 중국 최고의 축구선수로 군림했던 명봉([[오맹달]] 분)은 라이벌이자 2인자 강웅(사현 분)이 스포츠복표를 건네면서 승부조작 제안을 했고 처음에는 거절 했으나, 나중에 하기로 약속하는 최악의 선택을 하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명봉이 마지막 [[승부차기]]에서 그만 실축을 하게 되면서 팀이 패배하게 된다. (정황상 돈만 받아들이고 절대로 실축하지 않으려고 했으나 의도치 않게 실축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관중들이 패배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경기장으로 난입하면서 난장판이 되었고 그 과정에서 명봉은 야구방망이로 다리를 강타당하고 절름발이가 되면서 불명예스럽게 선수생활에서 은퇴를 해야 했다. 그리고, 20년 후에는 명봉은 최고의 축구선수에서 인생이 말 그대로 나락으로 떨어지면서 완전히 거지꼴이 되고 실패한 인생이 되었다. 반면, 강웅은 2인자에서 1인자가 되고 은퇴 후에는 축구협회장과 명문 축구단 악마팀의 구단주가 되면서 성공한 인생으로 완전히 뒤바뀌게 된다. '''만일, 명봉이 승부조작 제안을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다면, 축구협회장 자리는 강웅이 아니라 명봉이 앉았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강웅도 결국 승부조작으로 망해버리는데 대회 결승전을 우승하기 위해 선수단 전원 [[도핑]]과 더불어 심판까지 매수해서 어떠한 반칙도 반칙으로 잡지 않으면서 [[몰수 게임]]을 유도했지만 아매([[조미]] 분)가 교체투입이 되면서 이 도핑 능력을 역이용해 역으로 몰수패를 당해버린다. 그 후 매수와 도핑 사실이 밝혀짐으로 인해 악마팀은 강웅까지 전원 영구제명 처분을 받는다. * [[심쿵! 프리큐어]] - 13화의 대회. * [[아기공룡 둘리]] - [[핵폭탄과 유도탄들]] * [[유희왕 5D's]] - [[팀 라그나로크|드래건]]이 아버지의 치료비를 벌기 위해 [[렉스 고드윈]]의 제안을 받고 [[잭 아틀라스]](듀얼 킹 시절)와의 라이딩 듀얼에서 [[져주기 게임]]을 했다. * [[이나즈마 일레븐 GO]] - [[피프스 섹터]]라는 협회에 의해서 소년 축구 승부조작이 아주 치밀하게 진행되고 있다. 피프스 섹터는 후에 사라졌지만 [[이시드 슈지|성제]]로 활동했던 [[고엔지 슈야|그 분]]은 국가대표에서 사실상 '''제명'''됐다. * [[철권 시리즈]] * [[철권 4]] - 초일류 권투선수였던 [[스티브 폭스]]는 마피아의 승부조작에 연루되어 일부러 경기를 져주라는 강요를 받았지만 본인은 그걸 무시하고 이겨버렸다. 당연히 큰 손실을 입은 마피아로부터의 살해위협으로 도피생활을 하던 그는 원래의 자신의 목적인 출생의 비밀을 빨리 풀기 위해 철권 대회에 출장한다. 참고로 그런 스티브를 암살하기 위해 마피아는 [[니나 윌리엄스]]를 대회에 투입시키고, 마피아를 때려잡기 위한 증거찾기에 혈안이 되어 있던 [[레이 우롱]]도 이 사실을 파악하고 뒤따라 출전한다. 헌데 문제는 니나가 스티브 폭스의 어머니라는 사실이 밝혀져 스티브 암살 시도는 완벽하게 실패했다. * [[철권 7]] - 태국 무에타이 챔피언인 [[파캄람]]은 승부조작 제의를 받았으나 역시 이를 무시해버렸고, 이것 때문에 빡친 관계자들이 덤벼들자 그들 중 일부를 살해해버린다. 허나 승부조작 뒤에 태국군의 높으신 분과 깊게 연결되어있는 바람에 아내와 자식을 인질로 잡히고, 파캄람 본인은 지하세계에서 짐승만도 못한 취급을 받는다. 그러던 중 태국 정부로부터 철권7 대회에 나가서 우승하면 파캄람과 그의 가족을 모두 풀어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철권대회에 참가한다. * [[토르: 라그나로크]] - 헐크가 토르에게 밀리자 그랜드마스터가 토르를 패배하게 만든다. * [[꿈의 보석 프리즘 스톤|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 - [[아세치 킨타로]] 문서로. * [[프린세스 나인 키사라기 여고 야구부]] - 주인공 료의 아버지인 히데히코는 승부조작에 연루되어 야구계를 떠났다. 이로 인해 료가 주장으로 있는 키사라기 여고 야구부는 폐부 위기에 처하게 된다. * [[피구왕 통키]] - 태동팀[* 원작에서는 타마가와 소학교]과 백아팀[* 원작에서는 블랙 아머즈]의 경기에서 태동팀에게 강한 원한을 갖고 있는[* 아버지가 태동국민학교 피구 동상 제작에 몰두하느라 아내(민대풍의 어머니)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못했다.] [[민대풍]]이 '''일부러 라인오버를 하며 [[나통키|통키]]를 맞혀''' 아웃을 면하게 해 주었다. 단, 피구왕 통키가 유난히 통키에 대한 [[주인공 보정]]으로 떡칠이 된 작품이니 판단은 알아서. * [[하이스쿨 DxD]] - [[레이팅 게임]] * [[텐 고카이저]] - [[캡틴 마벨러스]]와 [[이카리 가이]] 간에 [[레인저 키]]를 건 결투에서 바쿠토 해적단의 렘이 개입해 가이가 이기도록 능력을 썼다. * [[Warhammer 40,000]] - [[인류제국]]의 배신자인지 아닌지 음모론 떡밥을 뿌려대는 [[사이퍼(Warhammer 40,000)|사이퍼]]를 게임에 사용할 경우 플레이어 차원에서 승부조작을 대놓고 조장하는 규칙이 적용된다. 플레이어의 지휘관이 [[프래깅|전투 도중 사망하도록]] 만들면 승점을 추가로 얻는다거나, 플레이어의 승점이 상대방의 승점보다 낮으면 오히려 승점을 받아서 역전승한다거나... == 기타 == * [[몬트리올 스크류잡]] - 이 사건은 다른 사건들과는 좀 다른데, [[프로레슬링]]은 원래 과정과 결과를 미리 정해 놓고, 그 각본에 따라 액션으로 경기력으로 평가하는 종목이다. 즉 이 사건은 사전에 짜 놓은 각본을 임의로 뒤집어서 문제가 된 사건. 경기에 참여한 선수와 시전에 상의해 놓은 각본을 철저히 무시한 채 경기 결과를 결정지어버렸다. 게다가 이 날 이벤트의 막판 5분은 각본상의 계획은 물론 '''원래 계획에도 없던 상황'''이 발생한다. * [[크래쉬 게이트]] - 2008년 [[포뮬러 1]] [[마리나 베이 시가지 서킷|싱가포르 GP]]에서 르노 F1 팀의 [[넬슨 피케 주니어]]가 팀 동료 [[페르난도 알론소]]의 우승을 위해 일부러 급가속을 하여 레이스 카를 배리어에 들이받아 세이프티 카 상황을 유발한 사건. [[스파이 게이트]]와 함께 2000년대 후반 F1을 뒤흔든 양대 흑역사. * [[스모]] - 2010년에 선수들이 야구도박에 연루됐다. 이것만 따지면 스모 자체랑은 상관이 없는데 그것을 수사하던 도중 2011년에 스모 자체에서도 승부조작이 있었다는 게 드러났다. * [[리그 오브 레전드]] * 2012년 8월 [[MLG]] 서머 챔피언쉽 결승전 ARAM [[트롤링]] 게이트 - 어쩌면 [[리그 오브 레전드]] 사건 사고 중 '''최악의 사건'''이 될 수도 있는 사건. 북미의 두팀인 디그니타스와 커스NA 이 두 팀이 이 대회 결과에서 얻는 서킷포인트(월드 챔피언쉽 출전에 필요한 대회 점수)결과와는 상관없이 월챔이 확정되었던 나머지 상금 나눠먹겠다고 대회장에서 (그것도 소리나게) 합의를 보고 올랜덤 올미드(ARAM)를 해버린 사건. 결국 라이엇 게임즈와 [[MLG]]측에서는 이 두팀의 우승-준우승을 무효로 하고, 서킷포인트를 주지 않았다. * Dragon gate team 승부조작 사건 - 가뜩이나 망해가던 [[LMS]]의 몰락에 쐐기를 박아버린 사건이다. 팀 구단주를 포함한 사람들이 승부조작을 저지르면서 팀은 리그에서 강제 퇴출 당하고 구단주는 LoL 관련 팀 영구 운영 금지 처분을 받았으며, 기타 관련자들도 징계를 받은 사건이다. * 중국 LDL 승부조작 사건 - 자세한 것은 [[저우양보]] 문서로. 적발 당시에 최초의 자진신고자 [[저우양보]]를 비롯해 3명의 LPL 선수들이 고작 4~12개월 가량 출장정지의 솜방망이 징계를 받으면서 논란이 번졌다. 이들을 제외하고도 [[https://lol.fandom.com/wiki/2021_LPL_and_LDL_match-fixing_investigations|전현직 LDL 선수 및 관계자 수 십명이 적발]]되어 영구 징계부터 수개월 가량의 출장정지 등의 징계를 받았고, LDL의 SJG라는 게임단은 1시즌 참가 자격이 박탈되었다. * 2022년 중국 LPL 승부조작 사건 - 22 스프링 시즌 [[LG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LGD Gaming]] 소속 미드라이너 Jay 천보가 시즌 중 TES와의 경기에서 패배하는 조건으로 승부조작 브로커를 통해 돈을 받은 사건이 적발되어 LPL 사무국에서 조사 및 징계 절차에 나섰다. 이후 2022년 4월 8일, 승부조작범인 Jay는 [[저우양보]]보다 더한 중징계[* 저우양보는 2부인 LDL 시절 저지른 승부조작건이었지만, 이 건은 현 시점 1부리그에서 벌어진 일이므로 아예 차원이 다르다고 판단한 것]인 영구 선수 자격 박탈을 선고받았다. * 2022년 중국 LDL 승부조작 사건 - LPL의 2부 LDL 의 2022 서머 시즌 중 [[Team Orange]]와 [[TWELVE(프로게임단)|TWELVE]]와의 경기에서 '''9명의 선수가 승부조작에 가담한 걸로 알려져''' 충격을 주었다. 이후 두 팀은 LDL에서 실격 처리되었고, 두 팀의 감코진과 선수들은 무기한 자격 정지를 받았고, 12의 미드 두 명은 2025년까지 자격 정지를 받았다. * [[도타 2]] - 2013년 6월 스타래더 시즌 6에 출전한 RoX.KIS 팀의 캡틴인 Solo 알렉세이 비르진이 배팅 사이트로부터 '''322'''달러를 받고 고의로 패배한 정황이 대회 주최측으로부터 밝혀져 Solo는 스타래더 영구 출전 금지, 나머지 팀원들도 스타래더 3년간 출전 금지 처분을 받았다. 이후로 한국에서 이스포츠의 승부조작을 대표하는 드립이 주작이 되었듯 도타판에서는 승부조작을 대표하는 단어가 322로 정착되어 트위치 등지에서 경기력이 실망스러울 경우에는 322로 도배된다. 2014년 10월에는 동남아에서 실력을 인정받던 세 팀(MSI 에볼루션 게이밍, 미네스키, 애로우 게이밍)의 승부조작이 잇다라 발각되면서 해당 팀들이 해체되기도 했다. 그런데 이중 TI4에 출전한 적도 있는 애로우 게이밍은 12월에 '''We are sorry'''란 이름으로 팀을 재결성해 베트남 대회에 참가하면서 도무지 반성의 기미를 보여주지 않았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iBUYPOWER]] 승부조작 사건 - 2014년 8월 이루어진 [[iBUYPOWER]] vs Netcodeguides.com 경기에서, IBP 선수들이 경기를 던지고 직접 [[라운지]] 베팅을 해서 돈을 가져간 사건. 당시 IBP는 북미 강팀중 하나였고 그 경기 또한 IBP가 당연히 이길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었기 때문에 DaZeD와 steel 등 IBP 선수들은 많은 돈을 챙길 수 있었다. 이후 2015년 1월 사건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어 팬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특히 당시 뛰어난 에임과 천재적인 게임센스로 북미를 이끌어갈 선수로 평가받던 swag도 승부조작에 가담을 했다는거에 충격을 받은 팬들이 매우 많았다. 그도 그럴게 당시 swag의 나이는 고작 18살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이들은 밸브 지원 메이저 대회에 못 나가게 되었고, 카운터 스트라이크 공식 블로그에는 'Integrity and Fair Play'라는 이들에 대한 글을 개재했으며 이후 시간이 지나 밴을 풀어달라는 팬들의 요청이 점점 수면위로 나오게 되었지만 밸브는 2016년, 카운터 스트라이크 공식 블로그에 'A Follow Up to Integrity and Fair Play'라는 글을 올려 이들에 대한 밴이 영원함을 확실히 했다. 이후 steel, DaZeD등은 트위치 스트림을 하고 있으며 swag은 [[Cloud9]] 조언직으로 들어갔다가 이후 나와 스트림을 하고 있다. AZK는 은퇴 후 종목을 [[오버워치]]로 바꿔 프로선수로 활동중이며 Skadoodle은 승부조작 자체에는 참여했지만 승부조작에 따른 이득을 나누기를 거절해 밴을 면하고 현재 [[Cloud9]]에 들어갔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ESL]]에서 밴을 풀어주며[* 물론 밸브가 후원하는 [[CS:GO Major Championships]]에선 아직 밴 처리 상태다.] 현재 은퇴를 선언한 DaZeD를 제외한 3명 모두 프로로 복귀해 프로로 활동중이다. * 중국 농구리그 2023년 PO * [[Epsilon eSports]] 승부조작 사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승부조작, version=1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