習禎 생몰년도 미상 [목차]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촉나라의 인물이며 자는 문상(文祥)으로 [[방림#s-1]]의 매제이자 [[습씨]]의 오빠. 형주 양양군 사람. [[관우]]의 부하 [[습진(삼국지)|습진]]과 관계는 불분명하나 같은 [[습씨]] 가문 사람인데다가 고향도 같으니 [[친족]]일 것이다. == 생애 == 풍류가 있고 담론을 잘해서 명성이 [[방통]]에 버금가면서 [[마량]]보다 높았으며, 건안 6년(201년) 유비가 유표에게 몸을 맡겼는데 습정은 이때 유비에게 떠났다. 건안 16년(211년) 습정은 유비를 따라 촉에 들어갔다. 건안 19년(214년)에 유비가 익주를 얻고 신하들에게 관직을 내렸는데 습정은 낙현현령, 비현현령, 광한태수를 지냈다. 본래는 [[유비]]의 부하였지만 [[조조]]가 [[형주]]를 공격할 때 누이동생 [[습씨]]와 헤어지게 되었고 습씨는 방통의 동생 [[방림#s-1]]의 아내였다. 습씨는 남편과도 헤어진 후에도 수절하면서 어린 딸을 혼자서 길렀는데, 221년 남편 방림이 [[황권]]을 따라서 오나라를 상대로 싸운 [[이릉대전]]에 종군했다가 패하자 방림은 황권을 따라 위나라에 항복했다. 이로 인해 습씨는 방림과 10여년 만에 재회했다. 습정은 [[양희]]가 계한보신찬을 저술한 일을 도왔고 계한보신찬에서 마량, 위문경, 한사원, 장존, 은관 등과 함께 언급되었다. 습정은 같이 언급된 이들과 모두 넓은 뜻을 펴서 초 땅의 우수한 인물이 되었다는 것과 함께 습정은 은관과 함께 각기 재능과 명망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아들로는 명망이 있었고 상서랑까지 벼슬이 오른 습충(習忠)이 있었고 손자로는 습충의 아들로 보병교위. 장교필서에 오른 습융(習隆)이 있었다. 그의 후손이 한진춘추를 서술한 [[촉한정통론]]의 [[습착치]]이고 습착치의 후손이 바로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시진핑]]'''--최후의 승자 촉나라, 이제 조조 및 위나라 묘 파일 위기;;--이다.[* 취소선이 꼭 농담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 위나라 조조의 서량, 요동 핍박정책으로 인해 후에 눌러져있던 흉노, 선비족이 날뛰는 계기가 되었고 이것이 오호십육국시대, 위진남북조시대, 원나라, 최근에는 청나라까지 이민족에게 한족이 많이 지배당하던 역사가 존재한다. 따라서 현대 중국에서는 분열된 중국에 대한 전국민적인 트라우마가 상당하다. 따라서 이 트라우마로 인해 한족 정권인 중국공산당은 중국의 분열조짐에 엄청나게 알러지적인 반응을 보이며 소수민족을 가혹하게 핍박하고 있다. ] == 창작물에서 == || [[파일:습정.jpg|width=400]] || || [[삼국지 14]] 일러스트 ||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4]]부터 등장하고 능력치는 통솔 33, 무력 29, 지력 67, 정치 73, 매력 69이며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치면서 웃고 있다. 개성은 석병, 명성, 주의는 명리,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어린, 충차, 전법은 충차, 구축, 친애무장은 [[방림#s-1]], 혐오무장은 없다. 생년은 181년, 몰년은 218년까지 설정되어 있다. 특히 삼고초려 시나리오 등에서 초반에 신야성과 주변 지역 몇 개밖에 없을 때 습정을 등용할 수 있다면 파견 내정관으로 매우 쓸만하다. 마을(거점)에 갖다놓으면 마을 주변이 죄다 자세력으로 금새 색칠해져가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거의 유비가 학익진형으로 진군할 때의 범위와 동급이다. 이 때문에 거점을 점령한 후 습정을 파견해서 초반 안정화를 시키는 플레이가 쏠쏠한 편. 그런데 후손 중 하나가 [[시진핑]]이라 습진과 마찬가지로 유저들에게 자주 '''처형'''을 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분류:촉한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