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고슬라비아 관련 문서)] [include(틀:국가(노래))] [목차] == 개요 == || '''【언어별 명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슬로바키아어]] ||Hej, Slováci || || [[몬테네그로어]]·[[세르비아어]] ||Хеј, Словени / Hej, Sloveni || || [[보스니아어]]·[[크로아티아어]] ||Hej, Slaveni || || [[슬로베니아어]] ||Hej Slovani || || [[마케도니아어]] ||Еј, Словени || || [[영어]] ||Hey, Slavs ||}}}}}}}}} || 〈슬라브족이여〉는 과거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가(노래)|국가]]이다. 선율이 현대 [[폴란드 국가]]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후렴부와 느린 박자와 음정을 약간 조절한 것을 제외하면 두 노래의 선율은 아예 동일하다. 이렇게 된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애초에 이 노래가 폴란드 국가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노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과거 유고슬라비아와 [[폴란드]]가 축구를 비롯한 국가대항전 체육경기를 열 때마다 관중들이 서로의 국가를 혼동하기도 했다. == 역사 == [[1834년]]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였던 [[슬로바키아]][* 엄밀히 말하면 슬로바키아는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다. 그 헝가리 왕국을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가문]]이 통치하고 있어서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는 헝가리의 지배를 받는 슬로바키아라는 3중 지배 형태였다.]의 시인인 사모 토마시크(Samo Tomášik, 1813–1887)가 [[보헤미아 왕국]]의 수도 [[프라하]]를 방문하였다. 이때 토마시크는 [[체코어]]보다 [[독일어]]가 훨씬 많이 들리는 프라하의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보헤미아 왕국]]이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로 편입된 이후 독일 본토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독일인]]이 체코 영내로 이주했다. 이후 보헤미아는 주요 민족인 [[체코인]] 뿐만 아니라 [[프라하]] 등 대도시와 [[주데텐란트|수데티]]를 중심으로 [[독일인]] 역시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프라하는 [[30년 전쟁]] 이후 독일인의 이주가 가속화되면서 오히려 [[19세기]] 중반까지 독일인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지역이었다. 프라하가 다시 체코인 다수지역이 된 것은 [[1848년 혁명]] 이후 체코 [[민족주의]]의 등장과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체코인]]이 프라하로 대거 이주해 온 19세기 후반부터였다. 즉 이 당시에는 프라하에서 독일어가 더 많이 들리는 게 자연스러웠다.] 그 순간 토마시크의 머리 속에서 [[폴란드]] 노래(이자 훗날 폴란드의 국가가 되는) 〈[[폴란드는 아직 죽지 않았다]]〉가 떠올랐고 강한 영감이 떠오른 토마시크는 바로 노래의 가사를 자신의 민족인 [[슬로바키아인]]으로 바꾼 내용으로 개사했다. 이것이 나중에 슬로바키아인뿐만 아니라 슬라브족 전체를 가리키는 내용으로 바뀌면서 지금의 노래가 만들어졌다. 그 후 이 노래는 오스트리아 지배 하의 서슬라브 및 남슬라브 민족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게 되었다. == 사용 국가 == 시가 처음 쓰인 곳인 [[슬로바키아]]에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타트라 산 위에 번개가 쳐도]]〉가 공식 국가로 되었을 때에도[* 당시에는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이었으니 체코 국가인 〈[[나의 조국은 어디에?]]〉와 함께 연주되었다.] 많이 불렸으며 [[나치 독일]]의 [[괴뢰국]] 시절에 해당되는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때에도 여당에서 많이 불렸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는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시절인 1943년에 채택되어 사용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침공|나치 독일 침략]] 이전에 있었던 [[유고슬라비아 왕국|왕정 시절]]의 국가는 현 세르비아 국가와 현 크로아티아 국가, 구 슬로베니아 국가 선율이 합쳐져 있는 국가였다.] 1948년 유고슬라비아 연방인민공화국[* 과거 유고슬라비아의 국호였으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 이름만 다르고 같은 국가였다.] 당시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으로 취임 후 이 노래를 민족주의의 산물이라며 당장 교체하려 했으나 과거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출신 사람들의 반발과 마땅히 교체할 노래가 없어 계속 사용했다고 정해진다. 그 이후 [[신유고 연방]] 시기에도 새로 국가를 지정하려 했으나, 이렇다할 지지를 받은 새로운 국가 후보가 없어서 이 곡을 사용했다. 이후 [[2006년]] 몬테네그로가 분리독립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현재 이 노래는 유고슬라비아만의 노래가 아닌 슬라브권 국가들의 [[범슬라브주의]]적인 노래로 해석되고 있다. 때문에 유고슬라비아 구성국의 언어뿐만 아닌 이 노래의 원본급으로 평가되는 [[폴란드]], 이 노래가 만들어진 [[슬로바키아]], 그뿐만이 아닌 [[불가리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 여러 버전이 있다. 사실상 모든 슬라브어파 언어로 번역이 된 노래이며, 유튜브 등지에 올라가 있는 노래 영상[* 대부분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버전이나 가끔씩 기타 슬라브어로 된 영상이 보인다.]을 보면 서로 죽도록 치고받는 슬라브족 국가들이 일심단결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또한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에서는 유고슬라비아 관련 행사를 할 때 많이 애창되는 노래이다. 주위 사람들도 이에 맞춰서 자리에 일어나 예를 갖춘다. == 가사 == === [[세르보크로아트어]] === [youtube(Gr3XZAejMns)] || 절 ||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크로아티아어 기준으로 적힌 것이라, 키릴 문자로 기준으로 적힌 세르비아어와는 일부 단어 표기와 문장 부호의 사용 여부가 조금 다르다. 세르보크로아트어라는 큰 언어의 종류이기 때문에, 맞춤법 정도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 해석 || || 1 ||Хеј Словени, јоште живи Реч (Дух) наших дедова Док за народ срце бије Њихових синова ||Hej Slaveni, jošte živi R[ij]eč (duh) naših d[j]edova Dok za narod srce bije Njihovih sinova ||여전히 살아있는 슬라브족이여, 우리 조상들의 (정신의) 그 단어, 후손들이 국가를 위해 가슴이 뛸 때. || || 후렴 ||Живи, живи дух словенски Живеће веков'ма Залуд прети понор пакла, Залуд ватра грома ||Živi, živi duh slavenski Živjet će v[j]ekov'ma Zalud pr[ij]eti ponor pakla Zalud vatra groma ||살아있고 살아있는 슬라브족의 정신이여. 세대를 넘어서도 살아있으리라. 헛되이 지옥의 심연을 위협하더라도, 헛되이 천둥의 불을 위협하더라도. || || 2 ||Нек' се сада и над нама Буром све разнесе Стена пуца, дуб се лама, Земља нек' се тресе ||Nek se sada i nad nama Burom sve raznese St[j]ena puca, dub se lama Zemlja nek se trese ||우리 위의 모든 것들을 보라[* [[아드리아해]] 연안에서 부는 [[활강바람]]]에 의해 날아가게 하라. 바위를 가르고 참나무를 부서뜨리며 지진을 일으키게 하라. || || 후렴 ||Ми стојимо постојано Кано клисурине, Проклет био издајица Своје домовине! ||Mi stojimo postojano Kano klisurine Proklet bio izdajica Svoje domovine! ||우리는 굳건히 있을 것이다. 거대한 절벽이 그러하듯이, 설령 조국의 배신자가 해를 끼칠지라도! || === [[슬로베니아어]] === [youtube(pyAI3LWDi0Q)] || 절 || 슬로베니아어 || || 1 ||Hej Slovani, naša reč slovanska živo klije dokler naše verno srce za naš narod bije || || 후렴 ||Živi, živi, duh slovanski, bodi živ na veke, grom in peklo, prazne vaše proti nam so steke || || 2 ||Naj tedaj nad nami strašna burja se le znese, skala poka, dob se lomi, zemlja naj se strese || || 후렴 ||Bratje, mi stojimo trdno kakor zidi grada, črna zemlja naj pogrezne tega, kdor odpada! || === [[마케도니아어]] === [youtube(ru-EIOqvbb0)] || 절 || 마케도니아어 || || 1 || Еј, Словени, жив е тука зборот свет на родот штом за народ срце чука преку син во внукот! || || 후렴 || Жив е вечно, жив е духот словенски во слога Не нѐ плашат адски бездни ниту громов оган! || || 2 || Пустошејќи, нека бура и над нас се втурне! Пука даб и карпа сура тлото ќе се урне || || 후렴 || Стоиме на стамен-прагот клисури и бедем Проклет да е тој што предал Родина на врагот! || === [[슬로바키아어]] === [youtube(boKuhWhLDVU)] == 영상 == [youtube(uvOkAID1lUA)] [youtube(V53Oq9NIzKU)] [youtube(wos1V0fDopo)] [각주] [[분류:국가(노래)]][[분류:유고슬라비아]][[분류:슬로바키아]][[분류: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