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슬라브)] [INCLUDE(틀:인도유럽어족)] [INCLUDE(틀:슬라브어파)] [[파일:Balto_Slavic_countries.svg.png]] Slavic languages [목차] == 개요 == [youtube(926l0dYY_P8)] [[비교언어학]]적 분류에 따른 [[인도유럽어족]]의 한 갈래로, [[슬라브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묶은 어파이다. [[동유럽]], [[중앙유럽]], [[발칸 반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또한 [[러시아]]의 무지막지한 영토와 소프트파워 때문에 [[우랄 산맥]] 동부 [[시베리아]] 쪽의 [[북아시아]]와 [[연해주]] 등의 [[동북아시아]]에서도 모어로 쓰는 인구가 많다. [[소련]]의 영향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발트 3국]], [[몰도바]], [[캅카스 3국]] 쪽에서도 구사자가 매우 많은 편. 특히 중앙아시아 지역의 경우는 [[러시아어]]를 못하면 할 수 있는 일의 폭이 크게 제한되기 때문에 대부분 러시아어를 할 줄 알며, 카자흐스탄과 같은 나라는 아예 러시아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화자가 [[카자흐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인구보다 많아, 정부가 의도적으로 카자흐어 진흥 정책을 펼친다. 슬라브어파 제어로 쓰인 기록 중, 문증 가능한 최고(最古)의 기록은 9세기 경에 [[노브고로드 공화국]]에서 집필된 [[노브고로드의 서]]이며, 이 책은 [[고대 동슬라브어]][* 루스어 또는 고대 루테니아어라고도 하며,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루신어]] 등의 [[동슬라브어군]] 제어의 [[조어#s-2]]다.]로 쓰였다. == 특징 == 과거에는 슬라브어파가 [[인도유럽어족]]의 [[사템 제어]](Satem languages)에 속하는 관계로, [[게르만어파]]나 [[이탈리아어파]], [[켈트어파]]보다는 [[인도이란어파]]에 더 가깝다고 여겼다. 하지만 현대에는 사템 제어와 켄툼 제어(Centum languages)의 구분이 [[인도유럽조어]]의 분화 과정과는 관련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거니와, 최신 연구결과에 의하면 슬라브어파는 [[인도이란어파]]보다는 켄툼 제어에 속한 [[게르만어파]]에 더 가깝다고 한다.[* 같은 연구에서 인도이란어파와 가까운 언어군은 [[그리스어]]와 [[아르메니아어]], [[알바니아어]]라고 한다.] 문법적 [[굴절]]이 상당 부분 소실된 로망스어파나 게르만어파, 인도이란어파 등과는 달리 [[인도유럽조어]]의 흔적이 비교적 많이 남아 꽤나 복잡한 문법적 굴절성을 유지하였다.[* [[러시아어]]는 동사의 과거 시제가 상당히 단순화되었으나, 폴란드어 등에서는 복잡한 굴절 형태가 남았다.] 슬라브어파 언어들에는 대체로 [[관사(품사)|관사]]가 없는데, 이 또한 [[인도유럽조어]]에서 이어진 특징이다. 다만 [[불가리아어]]는 예외. 불가리아어는 격 변화가 많이 소실되어 형태적으로 주격과 호격만이 남았지만, 그 대신 다른 슬라브 언어들에서 없는 관사가 있다.[* [[불가리아어]]에서는 관사가 영어의 the와는 달리 명사의 앞이 아니라 [[스웨덴어]]나 [[아이슬란드어]]에서처럼 뒤에 붙는다.] 격 변화가 소실되면서 관사가 생김은 [[인도유럽어족]]에서는 일반적인 역사적 변화이다. 또한 시제가 비교적 크게 발달하지 않았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 체계가 발달되었다. 따라서 동사를 외운다면 완료상-불완료상 형태를 모두 암기해야 한다. 명사는 대부분 언어에서 3성 체계(남성-여성-중성)를 따르는데, [[로망스어군]]과 함께 단어의 형태만으로도 비교적 성을 구분하기 쉬운 언어들이 많다. [[세르보크로아트어]]와 [[우크라이나어]] 정도를 제외한 대다수 슬라브어파 언어들은 어말 무성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한편 동유럽 지역에 있지만 [[헝가리]]에서 쓰는 [[헝가리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이며, 발칸 반도에 있는 [[루마니아]]와 [[몰도바]]에서 사용하는 [[루마니아어]]는 지리적 인접성 때문에 슬라브계 언어들에 영향을 받기는 하였지만 엄연히 [[로망스어군]]에 속한다. 슬라브어파를 [[라트비아어]]와 [[리투아니아어]]가 속한 [[발트어파]]와 합쳐서 [[발트슬라브어파]]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일단 지리적으로도 인접했기 때문에 영향을 안 받으려야 안 받을 수가 없었다. 더구나 발트 지역 자체가 폴란드와 러시아가 역사적으로 서로 주고 받던 지역이기도 하고. 단 발트 3국 가운데 [[에스토니아]]에서 쓰는 [[에스토니아어]]는 [[핀란드어]]와 유사하며 언어 계통상으로도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한다. 사용인구 순으로 보면 러시아어가 1억 5천만~2억 6천만 명[* 모어 구사자 기준이라면 전자, 공용어로 지정된 지역까지 합치면 후자에 가깝다.]으로 단연 1위이고, 폴란드어가 대략 4천만 명으로 2위, 우크라이나어가 대략 3천만 명으로 3위를 차지한다. 인구는 우크라이나가 대략 4400만 명으로 폴란드(3800만 명)보다 더 많지만, 우크라이나에서도 동부 지역은 우크라이나어 사용자 수가 많이 적은 데다가[* 러시아와 인접한 동부 우크라이나 주민이나 소련 내 타 지역에 거주하다 귀환한 우크라이나인의 경우 정체성은 우크라이나인이지만 러시아어를 제 1언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우크라이나 밖에서는 우크라이나어가 거의 쓰이지 않는다. 반면 폴란드어는 단일민족 국가에 가까운 인구특성상 거의 모든 인구가 폴란드어를 사용하는데다 폴란드뿐만 아니라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체코, 슬로바키아 그리고 미국 등지에 사용자가 꽤 있기 때문에 본국의 인구보다 해당 언어 사용자 수가 더 많게 나타난다. 철자법에서는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 자음 연쇄가 심한 편이다. * č/dž, ć/đ등의 파찰음이 많다. [[C]]는 항상 /ts/ 발음이고[* 게르만어파에서 [[영어]]를 제외하고 c가 잘 안 쓰이고 로망스어군에서 c가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것과는 정 반대이다.], 그의 유성음인 dz도 많이 쓰인다. * Q, X를 잘 쓰지 않는다. == 분류 == *동슬라브어군(동유럽):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사실 수십 년 전까지만 해도 러시아의 [[프로파간다]]로 인해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는 러시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우크라이나어 화자와 러시아어 화자가 서로의 말로 대화하면 소통이 원활하 않으며 우크라이나어는 러시아어와 비교해서 폴란드어의 영향을 많 받았다. 다만 폴란드어와 우크라이나어는 엄연히 어군부터 다르며 따라서 문법적으로 우크라이나어는 같은 동슬라브 어군인 러시아어와 더 가깝다.], [[루신어]][* 우크라이나어와 가까워서 우크라이나어의 방언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 [[루테니아어]], [[고대 동슬라브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루신어의 조상격인 언어이다.] *서슬라브어군(중앙유럽): [[폴란드어]], [[소르브어]], [[체코어]]-[[슬로바키아어]], [[실레시아어]], [[카슈브어]], [[크난어]][* 예전에 지금의 [[체코]]지역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이 사용하던 언어였으나 현재는 사멸되었다. [[이디시어]]처럼 히브리 문자로 표기되었다.], [[폴라브어]][* 예전에 지금의 [[독일]] 동부에서 쓰였던 언어였으나, 현재는 사멸되었다.] 등 *남슬라브어군(발칸반도) *동부 남슬라브어군: [[마케도니아어]], [[불가리아어]], [[교회 슬라브어]] 등 *서부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를 합쳐서 일컫는 말이다.], [[슬로베니아어]] 등 *~~[[슬로비오]]~~[* [[에스페란토]]와 함께 인공어에 속해 있지만, 어휘나 문법은 슬라브어파의 언어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분류:슬라브어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