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odel 1870}}}'''[br]''Springfield Model 1870 Remington-Navy''[br]''스프링필드 모델 1870 레밍턴-네이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mington—Navy.jpg|width=100%]]}}}|| || '''종류''' ||[[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
{{{#White '''이력'''}}} || || '''역사''' ||[[1870년]] || || '''개발''' ||조셉 라이더 || || '''개발년도''' ||[[1870년]] || || '''생산''' ||[[스프링필드 조병창]] || || '''생산년도''' ||[[1870년]] || || '''생산수''' ||22,000정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깃발, 문서=프랑스 제2제국, 파일명=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 출력=프랑스)] || || '''사용된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 ||<-2> {{{#White '''기종'''}}} || || '''원형''' ||[[https://en.wikipedia.org/wiki/Springfield_Model_1868|스프링필드 M1868]][br][[레밍턴 롤링블럭]] || || '''파생형''' ||M1870 Type II[br][[스프링필드 M1871]]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50-70 Government || || '''급탄''' ||브리치로딩[br]단발 || || '''작동방식''' ||롤링블럭 || || '''총열길이''' ||830mm || || '''전장''' ||1,320mm || || '''중량''' ||4.1kg ||}}}}}}}}}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밍턴 암즈]]의 롤링블럭 방식을 바탕으로 [[스프링필드 조병창]]에서 생산한 [[소총]]. 스프링필드 조병창에서 생산한 [[트랩도어]] 방식의 [[https://en.wikipedia.org/wiki/Springfield_model_1870|M1870]]과는 별개의 총기이다. == 상세 == 조셉 라이더(Joseph Rider)는 [[남북전쟁]] 중인 [[1865년]]에 롤링블럭 구조의 총기 설계 특허를 취득했다. [[레밍턴 암즈]]는 라이더의 개발에 여러 지원을 해 줬으며, 라이더의 설계는 훗날 후장식 소총의 베스트셀러로 등극한 [[레밍턴 롤링블럭]]의 바탕이 되었다. [[미합중국 해군]]은 이 새로운 소총에 관심을 갖고 [[1867년]]부터 [[1869년]]까지 롤링블럭 소총을 가지고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 해군과 [[미합중국 해병대]]가 사용하기 위한 .50구경 롤링블록 소총을 채택하기로 결정하였다. 논의 끝에 해군이 주문한 롤링블럭 소총 10,000정은 레밍턴 사가 아닌 국영 스프링필드 조병창에서 생산하기로 했고, 대신 생산된 한 정당 $1의 [[로열티]]를 레밍턴 사에 지급하기로 하였다. 스프링필드 조병창의 레밍턴-네이비 소총은 기존 [[https://en.wikipedia.org/wiki/Springfield_Model_1868|스프링필드 M1868]]의 [[총열]]과 [[개머리판]]을 재활용하면서 레밍턴의 롤링블럭 구조를 채택했으며, 1년만에 10,000정 모두 해군에 인도되었다. 그러나 해군에 인도된 직후에 소총에 설계 결함이 발견되었는데, 가늠자가 약실과 너무 가까운 위치에 있어 사용자에게 위험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그에 따라 기껏 생산한 10,000정의 레밍턴-네이비 소총은 전량 해군에서 거부되었고, 이 "불량품" 소총들은 어찌저찌 [[프랑스군]]에 전량 팔아넘기는 데 성공했으며, 이 소총들은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 사용되었다. 미국이 해당 소총의 결함을 언질해 주고 프랑스에 판매했는지, 프랑스군이 이 불량품 소총들을 어떻게 평가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어쨌든 결함이 있는 소총을 팔아넘겨서 자금 회수에 성공한 미 해군은 나중에 결함을 개선한 Type II 소총 12,000정을 추가로 주문했으며, 개선형인 Type II는 문제가 되었던 가늠자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사소한 변경이 이루어졌다. == 참고자료 == * [[https://en.wikipedia.org/wiki/Springfield_model_1870_Remington%E2%80%94Navy]] * [[https://guns.fandom.com/wiki/Springfield_Model_1870_Remington-Navy]] [[분류:소총]][[분류:보병 무기/근대]][[분류:미군/화기]][[분류:프랑스군/장비]][[분류:1870년 이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