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A 중앙경마 중상경주)] ||<-3> ''' {{{#fff スプリンターズステークス}}} [br] {{{#fff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br] {{{#fff Sprinters Stakes}}}'''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마코차_스프린터즈S.jpg|width=100%]] [br] '''[[2023년]] 우승마 [[마마 코차]]'''}}} || ||<-2> 개최국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2> 주최 || [[일본중앙경마회]] || ||<-2> 개최지 || [[나카야마 경마장]] || ||<-2> 창설 || [[1967년]] [[7월 9일]] || ||<-3> '''{{{#fff 2021년 경주 정보}}}''' || ||<-2> 거리 || 잔디 1200m 우회전 || ||<-2> 등급 || G1 || ||<-2> 상금 || 1착 1억 3000만엔 || ||<-2> 출주조건 || [[서러브레드]]계 3세이상 (국제, 지정) || ||<-2> 부담중량 || 정량 (3세 55kg, 4세이상 57kg, 암말 2kg 감량) || ||<-3><:>[[https://jra.jp/keiba/program/2021/pdf/bangumi/nakayama4.pdf|'''출처 : 레이와 3년 제4회 나카야마 경마 프로그램 (PDF)''']]|| ||<-3> '''레이스 레코드''' || ||<-3> [[로드 카날로아]](2012년) 1:06.7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7년]]부터 시작된 일본의 국제등급 G1 그레이드의 단거리 경마 경주 대회이다. 개최 시기는 9월 말에서 10월 초 사이로, 상반기에 열리는 타카마츠노미야 기념과 함께 하반기의 단거리 최강자전 경주로 개최되고 있다. 단거리 최강자전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JRA]]에서 개최하는 모든 단거리 중상 경주[* 한국에서의 대상경주]를 통틀어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한다. == 역사 == [[1967년]] 4세(현 3세) 이상의 중상 경주로 당해 [[7월 9일]] 나카야마 경마장에서의 제1회 대회로 창설되었다. 당시 4세(현 3세) 이상이 출주할 수 있는 JRA 유일의 단거리(1000~1300m) 중상 대회였다. 제1회는 7월 9일에, 제2회는 5월 3일에 열리는 등 개최 시기가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다가, [[1969년]] 제3회 대회에서 '''영국 페어 개최 기념'''(제3회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로 (이 해에만) 명칭을 변경하여 개최하게 될 때부터 9월 말에서 10월 초 사이에 대회가 편성되기 시작했다. 명칭은 이듬해 4회 대회 때 다시 환원되었다. [[1974년]]에 상 수여를 [[요미우리 신문]]이 맡게 되면서 명칭을 '''요미우리배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로 변경했다가 [[1980년]]에 '''요미우리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1983년]]에 다시 [[요미우리 신문]]이 빠지고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란 명칭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그 사이 개최 시기는 [[1981년]]에 2월 말로 이동했다가 [[1984년]] 등급제 도입으로 G3로 지정되면서 3월 중순으로 조정되었다. [[1987년]]에 경주 등급이 다시 G2로 격상되었다. [[1990년]]에는 이 대회를 1년을 마무리하는 스프린트 계열 중상 경주로 지정하자는 의견이 모아져, 개최 시기를 [[아리마 기념]] 전주인 12월 중순으로 지정하면서 마침내 경주 등급 또한 G1으로 격상되었다. [[1994년]]에 국제 경주로 지정되었고, [[1995년]]부터 지방경마 소속마도 출주가 가능해졌다. 이후 주쿄 경마장에서 열리던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대회가 G1으로 격상됨과 함께 단거리 경주로 변경되는 등의 환경 변화로 [[2000년]]에 타카마츠노미야 기념을 3월 말에, 이 대회를 9월 말에서 10월 초 사이에 편성하는 것으로 조정하면서 현재까지 가을 경마에서 열리는 G1 경주로 자리 잡게 된다. 이 무렵 홍콩 국제 레이스도 창설되어 스프린터들은 홍콩 레이스에도 노릴 수 있게 된다. == 주요 특징 == === 상금 === 2021년 기준으로 상금은 1착 1억 3000만엔, 2착 5200만엔, 3착 3300만엔, 4착 2000만엔, 5착 1300만엔이다. === 출주 자격 === JRA 소속 및 지방경마, 외국 소속의 [[서러브레드]] 3세 이상의 경주마가 출주 가능하며, 출주 등록을 한 경주마 중 우선출주권을 보유한 경주마에 출주 권한을 주고, 이후로는 통산 수득 상금 + 최근 1년간의 수득 상금 + 최근 2년간의 G1 및 Jpn1 경주의 수득 상금의 총계가 많은 순서대로 출주 권한을 부여한다. ==== 우선 출주권 ==== 외국 출주마 및 평점 순위의 상위 5마리(수컷/거세 110파운드, 암말 106 파운드 이상)에게 우선 출주권을 부여한다. 또한 아래 트라이얼 경주에서 우승한 [[JRA]] 소속마에게, 2착 이상을 기록한 지방경마 소속마에게 우선 출주권이 부여된다. * 킨랜드 컵(G3) - 삿포로 경마장 잔디 1200m * 센토어 스테이크스(G2) - 한신 경마장 잔디 1200m 이 외에도 지방경마 소속마가 상기 대회 외의 3세 이상의[* 2세 G1경주 우승은 인정되지 않는다.] G1 경주 우승 경력이 있는 경우에도 출주권이 주어진다. [[2005년]]부터 [[2017년]]까지 이 대회가 글로벌 스프린트 챌린지의 일환으로 참전했을 때는 글로벌 스프린트 챌린지 대상경주 중 하나에서 2착 이내를 기록한 경주마에게도 출주자격이 주어지기도 했다. == 역대 우승마 == [include(틀: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 기록 === * 경주 기록 - 1:06.7(제46회 우승마 [[로드 카날로아]])[* 나카야마 경마장 3세 이상 잔디 1200m의 코스 레코드이기도 하다.] * 최다 우승 - 2승 [[사쿠라 바쿠신 오]](제27회・제28회), [[로드 카날로아]](제46회・제47회), [[레드 팔크스]](제50회・제51회) * 최단거리차 우승 - 30회 [[플라워 파크]], 코차('''1cm''') == 기타 == * 본래 한 해 스프린터 계통의 최종전이었으나, [[2000년]]에 개최 시기가 9~10월로 조정되면서 이후로는 이 지위를 일본이 아닌 [[홍콩]]에서 열리는 [[홍콩 스프린트]]가 가져갔다. 일본에서는 2001년부터 지금까지 단 2회([[2007년]], [[2010년]])를 제외하고 매년마다 꾸준히 1마리 이상은 홍콩 스프린트에 꾸준히 출주하고 있다.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홍콩 스프린트로 이어지는 국제 G1 원정 경로가 정착된 것이다.[* 단 일본 말이 처음으로 출주했던 [[2001년]] 당시에는 국제 G2 대회였으며, 국제 G1 대회로 승격된 것은 다음 대회인 [[2002년]] 대회부터였다.] * [[2021년]] 대회에서는 여러가지 기록이 나왔는데, 관동 지역 대회임에도 출주마 16마리가 모두 관서마[* 관동마가 없는 G1 대회로는 [[2015년]]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이래 6년만, 잔디 G1 대회로만 한정하면 [[1992년]] [[재팬 컵]] 이래 무려 29년만이었다.]였으며, 당회 경주에서 [[픽시 나이트]]가 우승하며 [[JRA]] 사상 최초로 4대 직계([[그래스 원더]]-[[스크린 히어로]]-[[모리스(말)|모리스]]-[[픽시 나이트]])가 모두 G1 타이틀을 획득하는 대기록이 나왔다. [[분류:경마 대회/일본]][[분류:일본중앙경마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