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포르팅 CP)] ||<-2>
[[스포르팅 CP|[[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50]]]][br]{{{+1 '''{{{#FFF 스포르팅 CP 2022-23 시즌}}}''' }}} || || 회장 || 아르투르 토레스 페레이라 [br] (Artur Torres Pereira) || || 단장 || [[우구 비아나]][br](Hugo Viana) || || 감독 || [[후벵 아모링]][br](Ruben Amorim) || || 주장 || [[세바스티안 코아테스]][br](Sebastián Coates) || ||<-2> {{{+3 '''{{{#ffffff 경과}}}''' }}} || || [[프리메이라 리가|[[파일:Liga NOS logo.png|width=100%]]]] || || ||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 || '''{{{+1 조별리그 탈락}}}[br](6전 2승 1무 3패 8득점 9실점)''' || ||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 || '''{{{+1 8강 진출}}}[br](4전 1승 3무 0패 8득점 4실점)''' || || [[타사 드 포르투갈|[[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a%C3%A7a_de_Portugal_logo.jpg|width=100%]]]] || || || [[타사 다 리가|[[파일:포르투갈리그컵.jpg|height=50]]]]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포르팅 CP]]의 2022-23 시즌에 대한 문서.[* 영입, 경기 등 사건의 날짜 및 요일은 한국시간 기준.] == 22-23 시즌 스쿼드 == [include(틀:스포르팅 CP)] == 이적 == === 영입 === ||<-6>
'''{{{#fff 스포르팅 CP 2022-23 시즌 여름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이전 구단}}}''' || '''{{{#fff 이름}}}''' || '''{{{#fff 영문이름}}}''' || '''{{{#fff 포지션}}}''' || '''{{{#fff 국적}}}''' || '''{{{#fff 이적료}}}''' || || [[파리 생제르맹 FC]] || [[누누 멘데스]] || Nuno Mendes || DF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레알 바야돌리드 CF]] || [[곤살로 플라타]] || Gonzalo Platal || MF || [[에콰도르|[[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맨체스터 시티 FC]] || [[페드로 포로]] || Pedro Porro || DF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8.5m ||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후벵 비나그르]] || Ruben Vinagre || DF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10m || || [[1. FSV 마인츠 05]] || [[제리 신트쥐스터]] || Jerry St. Juste || DF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9.5m || || [[CD 산타 클라라]] || [[모리타 히데마사]] || Morita Hidemasa || MF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3.8m ||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프란시스쿠 트링캉]] || Francisco Trincão|| FW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임대 || }}} || === 방출 === ||<-6>
'''{{{#fff 스포르팅 CP 2022-23 시즌 여름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이적 구단}}}''' || '''{{{#fff 이름}}}''' || '''{{{#fff 영문이름}}}''' || '''{{{#fff 포지션}}}''' || '''{{{#fff 국적}}}''' || '''{{{#fff 이적료}}}''' || || [[파리 생제르맹 FC]] || [[파블로 사라비아]] || Pablo Sarabia || FW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후벵 비나그르]] || Ruben Vinagre || DF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에버튼 FC]] || [[주앙 버지니아]] || João Virgínia || GK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풀럼 FC]] || [[주앙 팔리냐]] || João Palhinha || MF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20m ||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마테우스 누네스]] || Matheus Nunes || MF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45m || || [[SE 파우메이라스]] || [[브루누 타바타]] || Tabata || MF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5m || || [[파리 생제르맹 FC]] || [[누누 멘데스]] || Nuno Mendes || DF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38m || || [[레알 바야돌리드 CF]] || [[곤살로 플라타]] || Gonzalo Platal || MF || [[에콰도르|[[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30]]]] || €3m || || [[레알 바야돌리드 CF]] || [[주하이르 페달]] || Zouhair Feddal || DF || [[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 FA || || [[RCD 마요르카]] || [[로드리고 바탈리아]] || Rodrigo Battaglia || MF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FA || || [[스타드 브레스트 29]] || [[이슬람 슬리마니]] || Islam Slimani || FW || [[알제리|[[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5]]]] || FA || || [[에버튼 FC]] || [[후벵 비나그르]] || Ruben Vinagre || DF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임대 || }}} || == [[프리메이라 리가]] == == [[UEFA 챔피언스 리그]] == === [[UEFA 챔피언스 리그/2022-23 시즌/조별리그|조별 리그]]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UEFA 챔피언스 리그/2022-23 시즌/조별리그|{{{#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D조}}}]]''',,}}} || ||<#FFF,#191919><:>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width=50]] ||<:><#DCDCDC,#000>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프랑크푸르트]][br]{{{#000,#FFF (Frankfurt)}}} ||<#FFF,#191919><:>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width=30]] ||<:><#DCDCDC,#000>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br]{{{#000,#FFF (Tottenham)}}} ||<#FFF,#191919><:>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width=50]] ||<:><#DCDCDC,#000> [[스포르팅 CP|스포르팅 CP]][br]{{{#000,#FFF (Sporting CP)}}} ||<#FFF,#191919><:>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width=50]] ||<:><#DCDCDC,#000>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마르세유]][br]{{{#000,#FFF (Marseille)}}} || ==== MD1 VS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원정, 0:3 승)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D조 1차전[br]2022년 9월 8일 목요일 01:45 (CEST+7)}}}'''}}} || ||<-3> '''[[도이체 방크 파르크|{{{#00008B 프랑크푸르트 슈타디온}}}]] [[프랑크푸르트|{{{#00008B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3> '''{{{#00008B 주심: 오렐 그린펠드}}}''' || ||<-3> '''{{{#00008B 관중: 50,500명}}}''' ||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흑색).svg|height=100]]||<|2> '''{{{#00008B {{{+5 0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57 3%, #fff 3%, #D3D3D3 10%, #fff 15%, #D3D3D3 20%, #fff 25%, #D3D3D3 30%, #fff 35%, #D3D3D3 40%, #fff 45%, #D3D3D3 50%, #fff 55%, #D3D3D3 60%, #fff 65%, #D3D3D3 70%, #fff 75%, #D3D3D3 80%, #fff 85%, #D3D3D3 90%, #fff 97%, #008057 97%)"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 || ||<:>'''{{{#fff 프랑크푸르트}}}''' || '''{{{#008057 스포르팅 CP}}}'''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65' [[마커스 에드워즈]][br]67' [[프란시스쿠 트링캉]][br]82' [[누누 산투스]]''' || ||<-3><:>'''[[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video/0279-160e881836d4-36fbd2c94f5e-1000--highlights-frankfurt-0-3-sporting-cp/|{{{#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647/|{{{#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마커스 에드워즈|{{{#FFF 마커스 에드워즈}}}]]}}}'''|| ---- 첫 경기부터 지난 시즌 [[UEFA 유로파 리그|유로파 리그]]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챔피언]]을, 그것도 원정에서 만난다. 게다가 프랑크푸르트는 직전 경기였던 [[분데스리가]] 5R [[RB 라이프치히]]전을 4:0으로 대파하면서 분위기가 오른 상태. 그러나 후반 20분 [[마커스 에드워즈]]의 챔스 데뷔골을 시작으로 2분 뒤 이적생 [[프란시스쿠 트린캉]]의 연속골, 그리고 [[누누 산투스]]의 추가골까지 더하면서 예상을 깨고 독일 원정에서 3:0 승리를 따내 쾌조의 스타트를 끊었다. 지난 시즌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도르트문트]]와의 조별리그 5차전에 이어 분데스리가 클럽을 상대로 2연승을 달성한 건 덤. 마커스 에드워즈는 데뷔골을 포함해 1골 1도움으로 맹활약을 하면서 이 경기 MOM에 선정되었다. 같은 날,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도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마르세유]]에 승리를 거뒀으나 골 득실차에 밀려 스포르팅이 조 1위로 올라섰다. ==== MD2 VS [[토트넘 홋스퍼 FC]] (홈, 2:0 승)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D조 2차전[br]2022년 9월 14일 수요일 01:45 (WEST+8)}}}'''}}} || ||<-3>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00008B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 [[리스본|{{{#00008B (리스본)}}}]]''' || ||<-3> '''{{{#00008B 주심: 스르잔 요바노비치}}}''' || ||<-3> '''{{{#00008B 관중: 39,8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3%, #01AE62 3%, #01AE62 5%, #fff 5%, #fff 15%, #01AE62 15%, #01AE62 17%, #fff 17%, #fff 20%, #01AE62 20%, #01AE62 40%, #fff 40%, #fff 43%, #01AE62 43%, #01AE62 45%, #fff 45%, #fff 55%, #01AE62 55%, #01AE62 57%, #fff 57%, #fff 60%, #01AE62 60%, #01AE62 80%, #fff 80%, #fff 83%, #01AE62 83%, #01AE62 85%, #fff 85%, #fff 95%, #01AE62 95%, #01AE62 97%, #fff 97%)"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 ||<|2> '''{{{#00008B {{{+5 2 : 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deg, #39538E 5%, #55BAD8 5%, #55BAD8 10%, #39538E 10%, #39538E 15%, #55BAD8 15%, #55BAD8 20%, #39538E 20%, #39538E 25%, #55BAD8 25%, #55BAD8 30%, #39538E 30%, #39538E 35%, #55BAD8 35%, #55BAD8 40%, #39538E 40%, #39538E 45%, #55BAD8 45%, #55BAD8 50%, #39538E 50%, #39538E 55%, #55BAD8 55%, #55BAD8 60%, #39538E 60%, #39538E 65%, #55BAD8 65%, #55BAD8 70%, #39538E 70%, #39538E 75%, #55BAD8 75%, #55BAD8 80%, #39538E 80%, #39538E 85%, #55BAD8 85%, #55BAD8 90%, #39538E 90%, #39538E 95%, #55BAD8 95%)" [[파일:토트넘 홋스퍼 로고_white.svg|height=100]]}}}|| ||<:>'''{{{#01AE62 스포르팅 CP}}}''' ||<:>'''{{{#fff 토트넘}}}''' || || '''90' [[파울리뉴(1992)|파울리뉴]][br]90+3' 아르투르 고메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video/0279-161a7d674e43-2ace166e5e7c-1000--highlights-sporting-cp-2-0-tottenham/|{{{#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663/|{{{#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파울리뉴(1992)|{{{#FFF 파울리뉴}}}]]}}}'''|| 스포르팅과 마찬가지로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은 조별리그 첫 경기를 승리로 장식해 스타트를 잘 끊었으며 현재 [[프리미어 리그]]에서 무패 행진을 달리고 있는 강력한 상대다. 그러나 토트넘 입장에서도 까다로운 상대를 만난 건 마찬가지이며 좋은 성적에 가려졌을 뿐 경기력 자체는 그닥 좋다고 할 수 없다. 거기다가 포르투갈 홈에서 치르기 때문에 스포르팅 입장에서는 조별리그 통과를 위해서라면 홈에서 승점 1점이라도 챙겨야 한다. 변수라면 체력 관련 문제인데, 토트넘은 [[엘리자베스 2세]]의 서거로 지난 주말 리그 [[맨체스터 시티 FC|맨시티]]전이 연기된 반면에 스포르팅은 그것과 상관없이 주말 리그 경기를 정상적으로 소화해 토트넘보다 덜 쉬었다. 한편 토트넘의 [[에릭 다이어]]는 자신의 유스 시절부터 프로 데뷔 이후 2년간 뛰었던 친정팀 스포르팅을 8년만에 적으로 만나게 되었다.[* 스포르팅은 다이어에게 일러스트가 그려진 액자와 유니폼, 그리고 후드티를 선물해줬다.[[https://www.instagram.com/p/Cifo3oFKTKP/|#]][[https://www.instagram.com/p/CifpHIyqkNg/|##]]] [[마커스 에드워즈]] 역시 유스 시절부터 함께 했던 토트넘을 3년 만에 적으로 만난다.[* 스포르팅 구단 SNS에서도 이를 알고 매치데이 포스터에 에드워즈와 다이어가 대립하는 [[https://www.instagram.com/p/Ciav7kKMAJj/|사진]]을 넣었다.] 전반전에는 볼 점유율을 높게 가져갔으나 지루한 경기 양상으로 0:0으로 마쳤다. 후반 31분 [[프란시스쿠 트린캉|트린캉]]을 빼고 [[파울리뉴(1992)|파울리뉴]]를 투입했는데 이것이 [[신의 한 수]]가 되어 후반 추가시간 파울리뉴의 선제골로 1:0으로 앞서나갔다. 마찬가지로 교체 투입된 아르투르 고메스의 쐐기골로 강적 토트넘을 상대로 홈에서 2:0 승리를 거두는 쾌거를 이뤘다. 이 경기 승리로 스포르팅은 조별리그 개막 이후 2연승을 기록했는데, [[UEFA 챔피언스 리그|챔피언스리그]] 개막 이후 연승은 팀 역사상 최초라고 한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1위 자리를 더욱 공고히 지켜 토너먼트 진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 MD3 VS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원정, 4:1 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D조 매치데이 3[br]2022년 10월 5일 수요일 01:45[* 스포르팅 CP의 경기장 도착 지연으로 인해 한국 시간 02:05에 킥오프] (CEST+7)}}}'''}}} || ||<-3> '''[[오렌지 벨로드롬|{{{#00008B 스타드 드 마르세유}}}]] [[마르세유|{{{#00008B (마르세유)}}}]]''' || ||<-3> '''{{{#00008B 주심: 다비데 마사}}}''' || ||<-3> '''{{{#00008B 관중: 6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B0B3B 2%, #fff 2%, #fff 98%, #0B0B3B 98%)"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height=100]]}}}||<|2> '''{{{#00008B {{{+5 4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20%, #CDFF00 25%, #000 40%, #CDFF00 45%, #000 60%, #CDFF00 65%, #000 80%, #CDFF00 85%, #000 100%)"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 || ||<#fff><:>'''{{{#0B0B3B 마르세유}}}'''|| '''{{{#CDFF00 스포르팅 CP}}}''' || || '''13' [[알렉시스 산체스]][br]16' [[아민 하릿]][br]28' [[레오나르도 발레르디]][br]84' [[샹셀 음벰바]]'''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1' [[프란시스쿠 트링캉]]''' || ||<:><#FCC>'''-'''||<:><#C00>[[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FCC> '''23' [[안토니오 아단]]''' || ||<-3><:>'''[[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video/027a-1644b95ffd88-bcca757da29e-1000--highlights-marseille-4-1-sporting-cp/|{{{#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679/|{{{#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아민 하릿|{{{#FFF 아민 하릿}}}]]}}}'''|| 조별리그 2차전 마르세유 vs 프랑크푸르트의 경기에서 마르세유 팬들이 여러 금지 행위[* 물건 투척은 물론 홍염을 사용하고 레이저 포인터로 프랑크푸르트 선수들을 방해했다.]를 저질렀고 결국 UEFA가 징계 철퇴를 내리면서 이 경기는 무관중으로 진행되었다. 전반전 시작한 지 1분도 채 되지 않아 트린캉 왼발 원더골로 선취점을 획득하면서 스포르팅이 앞서갔으나 아단 골키퍼의 골킥이 들어오는 산체스를 맞고 그대로 골문 안으로 빨려들어가는 대형 실수가 나오면서 다시 동점이 되었다. 그리고 마르세유의 공격에서 조나탕 클로스의 크로스를 하릿이 헤더로 처리해 골망을 흔들어 마르세유가 역전에 성공한다. 전반 23분에는 아단이 또 대형 사고를 저지르는데, 공중볼을 처리하려 나갔다가 '''페널티 박스 밖에서 펀칭을 하는 실수'''를 저질렀고 결국 레드 카드를 받아 퇴장당했다. 이후 마르세유의 코너킥 상황에서 발레르디가 헤딩으로 추가골을 터트리면서 3:1로 더 벌어졌다. 그리고 후반전에 음벰바에게 추가골을 내주며 결국 4:1로 대패하고 말았다. 이 경기에서 아단은 마치 [[UEFA 챔피언스 리그/2017-18 시즌/결승전|2017-18 시즌 결승전]]의 [[로리스 카리우스|카리우스]]급 [[반어법|활약]]을 펼치면서 팀의 대패에 크게 일조하고 말았다. 그나마 이후 펼쳐진 아인트라흐트 vs 토트넘은 무승부로 끝나면서 여전히 1위 자리를 지킬 수 있게 되었다. ==== MD4 VS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홈, 0:2 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D조 매치데이 4[br]2022년 10월 13일 목요일 04:00 (WEST+8)}}}'''}}} || ||<-3>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00008B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 [[리스본|{{{#00008B (리스본)}}}]]''' || ||<-3> '''{{{#00008B 주심: [[알레한드로 에르난데스 에르난데스|{{{#00008B 알레한드로 에르난데스}}}]]}}}''' || ||<-3> '''{{{#00008B 관중: 38,12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3%, #01AE62 3%, #01AE62 5%, #fff 5%, #fff 15%, #01AE62 15%, #01AE62 17%, #fff 17%, #fff 20%, #01AE62 20%, #01AE62 40%, #fff 40%, #fff 43%, #01AE62 43%, #01AE62 45%, #fff 45%, #fff 55%, #01AE62 55%, #01AE62 57%, #fff 57%, #fff 60%, #01AE62 60%, #01AE62 80%, #fff 80%, #fff 83%, #01AE62 83%, #01AE62 85%, #fff 85%, #fff 95%, #01AE62 95%, #01AE62 97%, #fff 97%)"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 ||<|2> '''{{{#00008B {{{+5 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b9bd5 3%, #0B0B3B 3%, #0B0B3B 97%, #0b9bd5 97%)"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height=100]]}}}|| ||<:>'''{{{#01AE62 스포르팅 CP}}}''' ||<:>'''{{{#0b9bd5 마르세유}}}'''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0' (PK) [[마테오 귀앵두지]][br]30' [[알렉시스 산체스]]''' || ||<:><#FCC>'''19' [[히카르두 이스가이우]][br]60' [[페드루 곤살베스]]'''||<:><#C00>[[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FCC> '''-''' || ||<-3><:>'''[[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video/027a-165518763ccb-7d03f14917c7-1000--highlights-sporting-cp-0-2-marseille/|{{{#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696/|{{{#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알렉시스 산체스|{{{#FFF 알렉시스 산체스}}}]]}}}'''|| 전반 16분, 이스가이우가 누누 타바레스와 공중볼을 경합하는 도중 팔로 얼굴을 누르는 반칙을 저질러 경고를 받았고 3분 뒤에는 페널티 박스 안에서 또 파울을 저질러 경고 누적으로 퇴장을 당했다. 그리고 귀앵두지가 얻어낸 PK를 성공시켜 마르세유가 이번에도 리드를 잡는다. 전반 30분, 마르세유의 공격에서 하릿의 땅볼 크로스가 쇄도해 들어가는 산체스에게 정확히 전달되어 또 다시 실점을 내주고 만다. 이렇게 마르세유와의 2연전에서 무려 6골을 내주는 참사가 벌어졌다. 전반전은 0:2로 종료. 이 경기에서 지면 안되었으나 이미 수적으로 불리한 이상 동점까지 만들기란 쉽지 않았고 설상가상으로 후반 15분에는 이번엔 페드루 곤살베스가 경고누적으로 퇴장당하면서 한 경기에 무려 2명이 퇴장(...)당했다. 결국 이대로 경기가 끝나면서 조별리그 2연패에 빠지고 말았다. 한편 토트넘 vs 프랑크푸르트에서 토트넘이 3:2로 승리를 거둬 단숨에 1위로 치고 올라갔고 마르세유와 승점 동률이 되었으나 승자승에서 완벽히 밀리면서 '''3위로 떨어졌다.''' ==== MD5 VS [[토트넘 홋스퍼 FC]] (원정, 1:1 무)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D조 매치데이 5[br]2022년 10월 27일 목요일 04:00 (BST+8)}}}'''}}} || ||<-3>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00008B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 [[런던|{{{#00008B (런던)}}}]]''' || ||<-3> '''{{{#00008B 주심: [[대니 마켈리|{{{#00008B 대니 마켈리}}}]]}}}''' || ||<-3> '''{{{#00008B 관중: 59,58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b1c56 3%, #D6E93F 3%, #D6E93F 5%, #0b1c56 5%, #0b1c56 7%, #FFF 7%)" [[파일:토트넘 홋스퍼 로고(2).svg|height=100]]}}}||<|2> '''{{{#00008B {{{+5 1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20%, #CDFF00 25%, #000 40%, #CDFF00 45%, #000 60%, #CDFF00 65%, #000 80%, #CDFF00 85%, #000 100%)"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 || ||<:>'''{{{#0b1c56 토트넘}}}''' || '''{{{#CDFF00 스포르팅 CP}}}''' || || '''80' [[로드리고 벤탄쿠르]]'''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2' [[마커스 에드워즈]]''' || ||<-3><:>'''[[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video/027a-167137e37a1e-1dc6c0705ea4-1000--highlights-tottenham-1-1-sporting-cp/|{{{#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711/|{{{#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마커스 에드워즈|{{{#FFF 마커스 에드워즈}}}]]}}}'''|| 16강 진출을 위해 이 경기에서 반드시 이겨야 되고 못 이기더라도 최소한 무승부라도 거두고 프랑크푸르트 vs 마르세유의 경기 결과도 봐야 된다. 전반 21분, 에드워즈의 왼발 슈팅이 토트넘의 골문 구석을 정확히 찌르며 스포르팅이 토트넘 원정에서 선취점을 가져온다. 그리고 40분에는 코아테스가 코너킥에서 추가골을 넣었으나 그 과정에서 핸드볼 반칙을 범하면서 취소가 되었다. 실점 이후 토트넘은 계속해서 스포르팅의 골문을 두드렸으나 아단과 수비수들의 선방으로 계속해서 1:0 리드를 유지했다. 그러다가 토트넘의 코너킥에서 벤탄쿠르가 헤딩으로 골을 넣으며 동점이 되었다. 토트넘은 기세를 올려서 역전 찬스를 여러번 맞이했으나 기회를 살리지 못했었다. 그러다가 후반 추가시간에 페리시치-에메르송이 연결하고 케인이 마무리지으면서 토트넘이 다시 앞서나갔고 이대로 경기가 종료되는 듯 했다. 하지만 VAR 판독 결과 에메르송의 패스 때 '''케인의 오프사이드가 선언이 되면서 극적인 역전골이 취소가 되었다.''' 콘테 감독이 바로 거세게 항의하다가 오히려 퇴장을 당하게 된 건 덤. 어찌됐든 스포르팅 입장에서는 한 숨 돌리게 되었다. 그리고 프랑크푸르트가 마르세유를 2:1로 잡아내면서 프랑크푸르트와 7점으로 같은 승점이 되었으나 승자승에서 앞서면서 토트넘에 이어 다시 조 2위로 올라섰다. ==== MD6 VS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홈, 1:2 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D조 매치데이 6[br]2022년 11월 2일 수요일 05:00 (WET+9)}}}'''}}} || ||<-3>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00008B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 [[리스본|{{{#00008B (리스본)}}}]]''' || ||<-3> '''{{{#00008B 주심: [[슬라브코 빈치치|{{{#00008B 슬라브코 빈치치}}}]]}}}''' || ||<-3> '''{{{#00008B 관중: 41,74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3%, #01AE62 3%, #01AE62 5%, #fff 5%, #fff 15%, #01AE62 15%, #01AE62 17%, #fff 17%, #fff 20%, #01AE62 20%, #01AE62 40%, #fff 40%, #fff 43%, #01AE62 43%, #01AE62 45%, #fff 45%, #fff 55%, #01AE62 55%, #01AE62 57%, #fff 57%, #fff 60%, #01AE62 60%, #01AE62 80%, #fff 80%, #fff 83%, #01AE62 83%, #01AE62 85%, #fff 85%, #fff 95%, #01AE62 95%, #01AE62 97%, #fff 97%)"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 ||<|2> '''{{{#00008B {{{+5 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d1c2a 10%, #ed1c2a 75%, #000 77.5%, #000 77.5%, #ed1c2a 92.5%, #000 92.5%)"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흑색).svg|height=100]]}}}|| ||<:>'''{{{#01AE62 스포르팅 CP}}}''' ||<:> '''{{{#fff 프랑크푸르트}}}''' || || '''39' 아르투르 고메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62' (PK) [[카마다 다이치]][br]72' [[랑달 콜로 무아니]]''' || ||<-3><:>'''[[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video/027b-167d5b92ecd6-b383e75dec9e-1000--highlights-sporting-cp-1-2-frankfurt/|{{{#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727/|{{{#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제바스티안 로데|{{{#FFF 제바스티안 로데}}}]]}}}'''|| 이 경기에서 이기면 바로 16강이 확정되고 마르세유 vs 토트넘의 결과에 따라서 조 1위까지 노려볼 수 있으며 무승부를 거두더라도 마르세유가 토트넘 상대로 승리를 거두지 못할 경우에도 16강에 진출한다. 그러나 패배 시 16강 좌절은 물론이고 최하위까지 떨어지며 유로파 리그에도 진출하지 못할 수 있다. 전반 11분 프랑크푸르트의 코너킥에서 파울리뉴가 걷어낸다는 것이 스포르팅의 골문 쪽으로 향했으나 아단이 선방을 적립하면서 자책골을 면하게 되었다. 그리고 28분에는 누누 산투스가 발목을 접질리는 부상을 입어 마테우스 헤이스와 교체되었다. 그러나 위기 뒤에 기회가 온 건지 전반 38분에 아르투르 고메스가 선제골을 기록하면서 스포르팅이 앞서나가게 된다. 그리고 마르세유 vs 토트넘에서 음벰바가 전반 추가시간에 선제골을 기록하면서 조 1위로 16강 진출까지 노려볼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하지만 좋은 흐름은 오래 가지 못했다. 코아테스가 카마다 다이치와 공중볼 경합 도중 핸드볼 파울을 저질렀고 카마다가 PK를 성공시키며 동점이 되었다. 그래도 같은 시간 대에 토트넘은 이미 랑글레의 동점골로 1:1 균형을 맞춘 상황이라 이대로 끝나면 토트넘과 함께 16강에 진출하는 듯 했다. '''그러나...''' 10분 뒤, 랜달 콜로 무아니에게 역전골을 허용하면서 다시 프랑크푸르트가 앞서나가게 된다. 다급해진 스포르팅은 어떻게든 프랑크푸르트의 골문을 노렸으나 더 이상 득점을 올리지 못했고 결국 이대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분명 개막 이후 2연전에서 모두 승리를 거둘 당시만 해도 조별리그 통과가 유력해 보였으나 이후 4경기에서 1무 3패라는 처참한 성적을 거두며 조별리그 탈락이 확정되었다. 같은 [[프리메이라 리가]]의 [[SL 벤피카]]와 [[FC 포르투]]는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하면서 조별리그 탈락은 더더욱 씁쓸하게 다가왔다.[* 벤피카는 [[유벤투스 FC|유벤투스]]를 저 멀리 따돌리고 [[파리 생제르맹 FC|파리 생제르맹]]과 일찌감치 2강 2약 체제를 만든 것도 모자라 그 PSG를 제치고 조 1위로 16강에 갔으며 포르투는 스포르팅과 반대로 초반 2연패 이후 내리 4연승을 달리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그나마 마르세유가 토트넘에게 패배해 마르세유를 제치고 조 3위가 확정되면서 유로파 리그에는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여담으로 [[골 때리는 그녀들]] 포르투갈 원정대[* [[박선영(1970)|박선영]], [[에바 포피엘]], [[아유미(연예인)|아유미]], [[김승혜]], [[서기(가수)|서기]].]가 이 경기를 직관했고, 11월 16일 방송에서 공개되었다. == [[UEFA 유로파 리그]] == === 16강 플레이오프 VS [[FC 미트윌란]] === 16강 PO 팀들 중 포르투갈 팀은 스포르팅이 유일하기에 유로파 리그 조 2위 8팀[* [[PSV 에인트호번]], [[스타드 렌 FC]], [[AS 로마]], [[1. FC 우니온 베를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FC 미트윌란]], [[FC 낭트]], [[AS 모나코 FC]]]을 모두 만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추첨 결과, 덴마크의 [[FC 미트윌란]]과 16강 PO에서 맞붙게 되었다. 참고로 미트윌란은 이번 유로파 리그에서 치열한 순위 경쟁으로 화제를 모은 F조[* 치열한 경쟁을 넘어 네 팀 모두 2승 2무 2패, 승점 8점(...)으로 동률이었고 승자승마저 같아서 결국 전체 골득실로 순위가 갈렸다.]에서 2위로 올라온 팀이다. 리그 수준 차나 팀 전력 상으로 스포르팅이 앞서는 건 맞으나 스포르팅의 이번 시즌은 이전 시즌보다 부진[* 특히 수비력은 이전 시즌보다 안정성이 눈에 띄게 떨어졌다.]하고 있고 미트윌란은 이번 시즌 리그에서 상위권 순위 경쟁을 하고 있는 세리에 A의 라치오를 꺾고 올라온 팀[* 심지어 2차전 맞대결에서는 무려 '''5:1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이기에 방심해서는 안된다. ==== 1차전 (홈, 1:1 무) ==== ||<-3>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유로파 리그 16강 PO 1차전[br]2023년 2월 17일 금요일 02:45(UTC+9)}}}''' || ||<-3>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000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 [[리스본|{{{#000 (리스본)}}}]]''' || ||<-3> '''{{{#000 주심: [[프랑수아 르텍시에|{{{#000 프랑수아 르텍시에}}}]]}}}''' || ||<-3> '''{{{#000 관중: 23,2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 #008057 2%, #008057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008057 90%, #008057 98%, #000 98%), linear-gradient(to bottom, #008057 4%, #FFF 4%, #FFF 6%, #008057 5%, #008057 6.5%, #FFF 6.5%, #FFF 12.5%, #008057 12.5%, #008057 13%, #FFF 13%, #FFF 15%, #008057 15%, #008057 21%, #FFF 21%, #FFF 23%, #008057 23%, #008057 23.5%, #FFF 23.5%, #FFF 29.5%, #008057 29.5%, #008057 30%, #FFF 30%, #FFF 32%, #008057 32%, #008057 38%, #FFF 38%, #FFF 40%, #008057 40%, #008057 40.5%, #FFF 40.5%, #FFF 46.5%, #008057 46.5%, #008057 47%, #FFF 47%, #FFF 49%, #008057 49%, #008057 55%, #FFF 55%, #FFF 57%, #008057 57%, #008057 57.5%, #FFF 57.5%, #FFF 63.5%, #008057 63.5%, #008057 64%, #FFF 64%, #FFF 66%, #008057 66%, #008057 72%, #FFF 72%, #FFF 74%, #008057 74%, #008057 74.5%, #FFF 74.5%, #FFF 80.5%, #008057 80.5%, #008057 81%, #FFF 81%, #FFF 83%, #008057 83%, #008057 89%, #FFF 89%, #FFF 91%, #008057 91%, #008057 91.5%, #FFF 91.5%, #FFF 97.5%, #008057 97.5%, #008057 98%, #FFF 98%)"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2> '''{{{#FF6900 {{{+5 1 : 1}}}}}}''' || [[파일:FC 미트윌란 로고.svg|height=100]] || ||<:>'''{{{#FFF 스포르팅 CP}}}''' ||<:>'''{{{#dd0129 미트윌란}}}''' || || '''90' [[세바스티안 코아테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73' 에맘 아슈르''' || ||<-3><:>'''[[https://www.spotvnow.co.kr/player?type=vod&id=135036|{{{#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europaleague/match/2036603--sporting-cp-vs-midtjylland/|{{{#000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전반전은 0:0으로 마친 채 후반전이 시작되었으며 후반 32분 백패스 미스로 미트윌란의 에맘 아슈르한테 중거리슛으로 선취골을 내줬으나 후반 추가시간 3분 [[세바스티안 코아테스]]가 극장 동점골을 넣으며 1:1로 비겼다. 홈 경기임에도 1:1로 무승부를 거둔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 2차전 (원정, 0:4 승) ==== ||<-3>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유로파 리그 16강 PO 2차전[br]2023년 2월 24일 금요일 02:45(UTC+9)}}}''' || ||<-3> '''{{{#000 MCH 아레나}}} {{{#000 (헤르닝)}}}''' || ||<-3> '''{{{#000 주심: {{{#000 이반 크루즐리악}}}}}}''' || ||<-3> '''{{{#000 관중: 9,576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30%, #000 30%, #000 40%, #dd0129 45%, #dd0129 55%, #000 60%, #000 70%, #FFF 70%)" [[파일:FC 미트윌란 로고.svg|height=100]]}}} ||<|2> '''{{{#FF6900 {{{+5 0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20%, #CDFF00 25%, #000 40%, #CDFF00 45%, #000 60%, #CDFF00 65%, #000 80%, #CDFF00 85%, #000 100%)"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 || ||<:>'''{{{#dd0129 미트윌란}}}''' || '''{{{#CDFF00 스포르팅 CP}}}'''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1' [[세바스티안 코아테스]][br]50' [[페드루 곤살베스]][br]77' [[페드루 곤살베스]] (A. [[누누 산투스]])[br]85' 슈테판 가르텐만 (O.G.)''' || ||<-3><:>'''[[https://www.spotvnow.co.kr/player?type=vod&id=135830|{{{#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europaleague/match/2036607--midtjylland-vs-sporting-cp/|{{{#000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부담을 떠안은 채로 덴마크 원정을 떠나게 되었으나 경기 시작 21분만에 1차전 동점골의 주인공인 코아테스가 선제골을 넣었고 그 다음에는 곤살베스가 멀티골을 기록해 0:3까지 벌려놓았다. 그리고 미트윌란의 수비수 가르텐만의 자책골까지 나와 기분 좋게 0:4 대승을 거두고 16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 16강 VS [[아스날 FC]] === 추첨 결과, 현 [[프리미어 리그]] 1위인 [[아스날 FC|아스날]]과 만나게 되었다. 어떻게 보면 최악의 상대를 만난 셈이 되었는데 스포르팅이 과연 열세를 극복할 수 있을 지가 주목된다. 참고로 두 팀은 총 4번의 맞대결을 가졌으며 2승 2무로 아스날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최근 맞대결은 2018-19 시즌 유로파 리그 조별리그로 1승 1무로 아스날이 우세를 점했다. ==== 1차전 (홈, 2:2 무) ==== ||<-3>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유로파 리그 16강 1차전[br]2023년 3월 10일 금요일 02:45(UTC+9)}}}''' || ||<-3>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000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 [[리스본|{{{#000 (포르투갈, 리스본)}}}]]''' || ||<-3> '''{{{#000 주심: [[토비아스 슈틸러|{{{#000 토비아스 슈틸러 (독일)}}}]]}}}''' || ||<-3> '''{{{#000 관중: 36,0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 #008057 2%, #008057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008057 90%, #008057 98%, #000 98%), linear-gradient(to bottom, #008057 4%, #FFF 4%, #FFF 6%, #008057 5%, #008057 6.5%, #FFF 6.5%, #FFF 12.5%, #008057 12.5%, #008057 13%, #FFF 13%, #FFF 15%, #008057 15%, #008057 21%, #FFF 21%, #FFF 23%, #008057 23%, #008057 23.5%, #FFF 23.5%, #FFF 29.5%, #008057 29.5%, #008057 30%, #FFF 30%, #FFF 32%, #008057 32%, #008057 38%, #FFF 38%, #FFF 40%, #008057 40%, #008057 40.5%, #FFF 40.5%, #FFF 46.5%, #008057 46.5%, #008057 47%, #FFF 47%, #FFF 49%, #008057 49%, #008057 55%, #FFF 55%, #FFF 57%, #008057 57%, #008057 57.5%, #FFF 57.5%, #FFF 63.5%, #008057 63.5%, #008057 64%, #FFF 64%, #FFF 66%, #008057 66%, #008057 72%, #FFF 72%, #FFF 74%, #008057 74%, #008057 74.5%, #FFF 74.5%, #FFF 80.5%, #008057 80.5%, #008057 81%, #FFF 81%, #FFF 83%, #008057 83%, #008057 89%, #FFF 89%, #FFF 91%, #008057 91%, #008057 91.5%, #FFF 91.5%, #FFF 97.5%, #008057 97.5%, #008057 98%, #FFF 98%)"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2> '''{{{#FF6900 {{{+5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3%, transparent 3%, transparent 4%, #FFF 4%, #FFF 5%, transparent 5%),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CD0023 10%, #CD0023 90%, #FFF 90%)" [[파일:아스날 FC 로고.svg|height=100]]}}}|| ||<:>'''{{{#FFF 스포르팅 CP}}}''' || '''{{{#CD0023 아스날}}}''' || || '''34' [[곤살루 이나시우]] (A. [[마커스 에드워즈]])[br]52' [[파울리뉴(1992)|파울리뉴]]'''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2' [[윌리엄 살리바]] (A. [[파비우 비에이라]])[br]62' [[모리타 히데마사]] (O.G.)''' || ||<-3><:>'''[[https://www.spotvnow.co.kr/player?type=vod&id=137975|{{{#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europaleague/match/2037610--sporting-cp-vs-arsenal/|{{{#000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전반 22분에 선제골을 내줬으나 곧이어 이나시우가 헤더로 동점골을 집어넣어 동점을 맞추더니 후반 초반에 곤살베스의 슈팅이 골키퍼에게 막혔으나 파울리뉴가 세컨볼을 오른발로 밀어넣으며 2:1로 역전에 성공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모리타가 자책골을 넣으며 다시 동점이 되었고 이대로 경기는 끝이 났다. 홈에서 대어 아스날을 잡아낼 기회를 잡았으나 자책골로 기회를 날려버린 스포르팅 입장에서는 두고두고 아쉬울 일이다. 게다가 모리타와 코아테스가 경고 누적으로 2차전에 못 나오게 되어 스쿼드에 공백도 생겨버린 채 2차전 런던 원정을 떠나게 되었다. 다만 이번 시즌 스포르팅의 유럽대항전 원정 성적이 좋은 편이긴 하다.[* 마르세유와의 챔스 조별리그 3차전을 제외하고는 무패를 달리고 있다.] ==== 2차전 (원정, 1:1 무 - 승부차기 3:5 승) ==== ||<-3>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유로파 리그 16강 2차전[br]2023년 3월 17일 금요일 05:00(UTC+9)}}}''' || ||<-3> '''[[에미레이트 스타디움|{{{#000 아스날 스타디움}}}]] [[런던|{{{#000 (런던)}}}]]''' || ||<-3> '''{{{#000 주심: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000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스페인)}}}]]}}}''' || ||<-3> '''{{{#000 관중: 59,9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3%, transparent 3%, transparent 4%, #FFF 4%, #FFF 5%, transparent 5%),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CD0023 10%, #CD0023 90%, #FFF 90%)" [[파일:아스날 FC 로고.svg|height=100]]}}}||<|2> '''{{{#FF6900 {{{+5 1 : 1}}}[br]{{{+1 A.E.T}}}[br]합산 스코어[br]3 : 3[br](P.S.O 3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 #008057 2%, #008057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008057 90%, #008057 98%, #000 98%), linear-gradient(to bottom, #008057 4%, #FFF 4%, #FFF 6%, #008057 5%, #008057 6.5%, #FFF 6.5%, #FFF 12.5%, #008057 12.5%, #008057 13%, #FFF 13%, #FFF 15%, #008057 15%, #008057 21%, #FFF 21%, #FFF 23%, #008057 23%, #008057 23.5%, #FFF 23.5%, #FFF 29.5%, #008057 29.5%, #008057 30%, #FFF 30%, #FFF 32%, #008057 32%, #008057 38%, #FFF 38%, #FFF 40%, #008057 40%, #008057 40.5%, #FFF 40.5%, #FFF 46.5%, #008057 46.5%, #008057 47%, #FFF 47%, #FFF 49%, #008057 49%, #008057 55%, #FFF 55%, #FFF 57%, #008057 57%, #008057 57.5%, #FFF 57.5%, #FFF 63.5%, #008057 63.5%, #008057 64%, #FFF 64%, #FFF 66%, #008057 66%, #008057 72%, #FFF 72%, #FFF 74%, #008057 74%, #008057 74.5%, #FFF 74.5%, #FFF 80.5%, #008057 80.5%, #008057 81%, #FFF 81%, #FFF 83%, #008057 83%, #008057 89%, #FFF 89%, #FFF 91%, #008057 91%, #008057 91.5%, #FFF 91.5%, #FFF 97.5%, #008057 97.5%, #008057 98%, #FFF 98%)"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 ||<:>'''{{{#CD0023 아스날}}}''' ||<:>'''{{{#FFF 스포르팅 CP}}}''' || || '''19' [[그라니트 자카]] (A. [[가브리엘 마르티넬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62' [[페드루 곤살베스]]''' || ||<:> '''-''' ||<:>'''[[레드 카드|[[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 ||<:> '''118' [[마누엘 우가르테]]''' || ||<-3><:>'''[[https://www.spotvnow.co.kr/player?type=vod&id=139170|{{{#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europaleague/match/2037618--arsenal-vs-sporting-cp/|{{{#000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그라니트 자카|{{{#fff 그라니트 자카}}}]]}}}'''|| 전반 초반부터 자카의 골로 아스날에게 선취점을 허용하긴 했으나 코아테스가 빠진 스포르팅 수비진은 이후에 1실점도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후반 17분에 아스날의 램즈데일 골키퍼가 앞으로 나온 것을 본 곤살베스가 때린 하프라인 슛이 그대로 아스날의 골문으로 빨려들어가 원더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스포르팅은 역전을 노렸으나 좀처럼 골이 나오지 않았고 결국 1:1로 정규시간이 마무리되어 연장전으로 가게 되었다. 연장전에도 승부의 균형은 깨지지 않았으나 연장 후반전에 우가르테가 경고누적으로 퇴장을 당해 위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남은 시간동안 1명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실점하지 않았고 승부차기에 돌입하게 되었다. 그리고 아스날의 4번째 키커로 나선 마르티넬리의 PK를 아단이 막아내며 승부차기 끝에 프리미어 리그 1위 팀 아스날을 잡고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 8강 VS [[유벤투스 FC]] === 8강 추첨 결과, [[SC 프라이부르크]]를 꺾고 올라온 [[유벤투스 FC|유벤투스]]를 상대하게 되었다. 두 팀은 2017-18 시즌 UCL 조별리그에서 만났으며 1승 1무로 유벤투스가 우세를 점했다. 또한 두 팀은 지난 시즌 챔스 16강에서 만날 뻔했으나 추첨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로 인해 재추첨을 하게 되면서 맞대결이 무산된 적이 있었다. ==== 1차전 (원정, ) ==== ==== 2차전 (홈, ) ==== == [[타사 다 리가]] == == [[타사 드 포르투갈]] == [[분류:스포르팅 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