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팅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더 폴리스)] ---- ||<-2>
[[파일:songwriters-hall-of-fame-logo_770_441_90_s.jpg|width=50]] {{{+1 '''[[작곡가 명예의 전당|{{{#ffd700 작곡가 명예의 전당}}}]] {{{#ffd700 헌액자}}} ''' }}}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d700 이름}}}''' || '''{{{#ffd700 스팅[br]STING}}}''' || || '''{{{#ffd700 입성 연도}}}''' || '''{{{#ffd700 2002년}}}''' [[https://www.songhall.org/profile/Sting|출처 참조]] ||}}} || ---- [include(틀:역대 폴라음악상 수상자)] ---- [include(틀:역대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 ||<-5>
{{{#e5d85c ''' 역대 [[그래미 어워드|{{{#e5d85c 그래미 시상식}}}]]'''}}}[* 그래미 시상식의 가장 중요한 상들로 여겨지는 올해의 레코드상, 올해의 앨범상, 올해의 노래상, 최고의 신인상만이 기록되어 있다. 나머지 부문의 상들은 따로 문서 내 수상 목록에 수록해주길.] || ||<-5> [[파일:external/www.brooklynvegan.com/grammy.jpg|width=150]] || ||<-5> {{{#e5d85c '''올해의 노래상'''}}} || || '''제25회[br]([[1983년]])''' || {{{+1 → }}} || '''제26회[br]([[1984년]])''' || {{{+1 → }}} || '''제27회[br]([[1985년]])''' || || "Always on My Mind" [br] - [br] 조니 크리스토퍼 외 2인[* [[윌리 넬슨]]의 곡이지만 작사 미참여로 수상자 제외] || {{{+1 → }}} || '''"[[Every Breath You Take]]" - 스팅'''[* [[폴리스(밴드)|더 폴리스]]의 노래이나 스팅이 단독 작사했으므로 홀로 수상자가 되었다.] || {{{+1 → }}} ||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br] - [br] 테리 브리튼 외 1인[* 티나 터너의 곡이지만 작사 미참여로 수상자 제외] || ||<-5> || ---- [include(틀:브릿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1977년~1999년))]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스팅,영어명=STING,분야=음악,입성날짜=2000년 12월 8일,위치=6834)] ---- [include(틀:도이치 그라모폰 소속 아티스트)] ---- ||<-5> {{{#e5d85c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러브 시상식'''}}}]]}}}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주제가상 수상자'''}}} || || ''' 제58회 [br] ([[2001년]]) ''' || {{{+1 →}}} || ''' 제59회 [br] ([[2002년]]) ''' || {{{+1 →}}} || ''' 제60회 [br] ([[2003년]]) ''' || || Things Have Changed[br][[밥 딜런]][br](원더 보이즈) || {{{+1 →}}} || '''Untill...'''[br][[스팅(가수)|스팅]][br]([[케이트 앤 레오폴드]]) || {{{+1 →}}} || The Hands That Built America[br][[U2]][br]([[갱스 오브 뉴욕]]) || ||<-5> || }}} || ---- ||<-2><#fff> [[스팅(가수)|[[파일:스팅 서명.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팅.jpg|width=100%]]}}} || || '''본명''' ||고든 매슈 토머스 섬너[br]Gordon Matthew Thomas Sumner|| ||<|2> '''출생''' ||[[1951년]] [[10월 2일]] ([age(1951-10-02)]세)|| ||[[잉글랜드]] [[타인 위어]] 월센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직업''' ||前 [[교사]][* 교사로 일하면서 야간에 음악 활동을 하다가 밴드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그만뒀다고 한다.][br]現 [[싱어송라이터]], [[배우]], [[사회 운동|사회운동가]] || || '''소속 그룹''' ||[[더 폴리스]] ^^(1977 – 2008)^^||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스팅 서명.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부모님''' ||^^'''부'''^^ 에르네스트 매슈 섬너[br]^^'''모'''^^ 오드리 섬너 || || '''배우자''' ||프랜시스 토멀티 ^^(1976 – 1984)^^[br]트루디 스타일러 ^^(1992 – 현재)^^ || || '''자녀''' ||아들 조 섬너 ^^(1976년생)^^[*A 프랜시스 토멀티 사이의 자녀.][br]딸 푸크시아 섬너 ^^(1982년생)^^[*A][br]딸 미키 섬너 ^^(1984년생)^^[*B 트루디 스타일러 사이의 자녀.][br]아들 제이크 섬너 ^^(1985년생)^^[*B][br]딸 엘리엇 섬너 ^^(1990년생)^^[*B][br]아들 지아코모 섬너 ^^(1995년생)^^[*B] || || '''신체''' ||180cm || || '''학력''' ||세인트 커트버츠 문법 학교 ,,(졸업),,[br][[워릭 대학교]] ,,(중퇴),,[br]노던 카운티스 교육대학[* Northern Counties College of Education. [[노섬브리아 대학교]]의 전신이다.] ,,(교육학 / [[학사]]),,[br][[버클리 음악대학]] ,,(명예 박사),, || || '''사용 악기''' ||[[보컬리스트|보컬]], [[베이시스트|베이스]], [[기타리스트|기타]] || || '''활동 기간''' ||[[1971년]] – 현재 || || '''장르''' ||[[뉴웨이브(음악)|뉴 웨이브]], [[팝 록]], [[포스트 펑크]], [[레게|레게 록]], [[스카]], [[재즈]], [[소프트 록]] || || '''레이블''' ||A&M, [[도이체 그라모폰]], [[유니버설 뮤직 그룹]] || || '''링크''' ||[[https://www.sting.com/tour?fbclid=IwAR3sHNykMKB5H1b9lAD3VUFftDzvGrFwNTGFDMKziBn5bW52689owOsJf0w|[[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fficialSting,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theofficialsti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sti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wERP8ZAI10RtZIAPsZQDD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국내에 가장 잘 알려진 스팅의 곡은 폴리스 시절의 [[Every Breath You Take]][* 록 역사상 최고의 명곡 중의 하나로(바로 [[Synchronicity]] 앨범 수록곡이다.) 수많은 후배 뮤지션들이 리메이크 하였고, 후에 [[퍼프 대디]]가 [[I'll Be Missing You]]에서 샘플링해 사용해 다시 유명해졌다.]와 [[Englishman in New York]][* [[탑밴드2]]에서 [[데이브레이크]]가 리메이크 한 바 있다. [[https://youtu.be/Y_BoAdOhFko|#]] 또한 [[블랙 아이드 피스]]가 Union이란 곡으로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영화 [[레옹]]의 OST로 사용된 [[Shape Of My Heart]][* [[Englishman in New York]]의 한국어 자막 버전이 유튜브 알고리즘으로 알려지면서 [[https://www.youtube.com/watch?v=pQ_K9QGCWE0]] 스팅의 섹시함이 한국인들에게 새삼스럽게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런닝맨]]으로 유명해진 Saint Agnes and the Burning Train 등이 있다. 또한 [[다이어 스트레이츠]]의 [[Money for Nothing]]이 바로 스팅이 샘플링한 노래이다. 이 노래의 인트로 드럼 솔로와 기타 리프는 이미 해외에서는 [[전설]]로 평가받는다. == 커리어 == === 음악 활동 === 초창기에는 1980년대를 대표하는 록 밴드 [[폴리스(밴드)|폴리스]]의 베이시스트, 보컬 겸 리더로 활동하며 당시 록 음악계의 주류였던 [[뉴웨이브(음악)|뉴 웨이브]]를 선도하였다. [[Synchronicity(앨범)|Synchronicity]][* 해체 직전인만큼 멤버들 간 사이가 좋지 않았던 시기에 만들어졌는데, 역설적으로 더 폴리스 최고의 음반이라 불리우고 있다.] 앨범을 마지막으로 그룹 해체와 함께 솔로 전향을 선언했다. 솔로 시절의 곡들은 뉴웨이브를 벗어나 유로피언 [[재즈]], [[보사노바]] 등의 영향을 받았고, 담백하고 서정적인 분위기 덕분에 국내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폴리스 시절에도 성공했지만 솔로 활동 때에도 빌보드 10위권내 앨범을 몇장씩 쏟아내며 크게 성공했다. 그와 자주 협업하는 뮤지션으로는 [[에릭 클랩튼]], [[필 콜린스]], [[피터 가브리엘]] 그리고 [[마크 노플러]] 등이 있다.[* 이렇게 다섯명은 거의 한 밴드처럼 서로 친한 사이다. 서로가 서로의 앨범에 레코딩으로 참여하고, 투어도 함께한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2017년 5월 31일 오후 7시 30분, 400석 규모의 서울 이태원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 소극장에서 [[내한공연]]을 했다. [[콜드플레이]]가 공연을 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시점에 발표된 데다가 이번엔 공연장의 규모도 작아서 30초만에 매진될 정도로 예매 경쟁이 무지막지하게 치열했다. 2019년 10월 5일 음악페스티벌 <슬로우라이프 슬로우라이브 2019>에서 헤드라이너 가수로 한국을 다시 찾았다. === 뮤지컬 활동 === 2008년부터 스팅이 [[뮤지컬]] 판을 겨냥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루머]]가 떠돌았다. 이듬해 그 루머는 사실인 것으로 밝혀졌고, 2011년에는 뮤지컬 캐스팅 오디션이 열렸다. <[[넥스트 투 노멀]]>로 유명한 브라이언 요키가 극본을 넘버는 본인이 작사 / 작곡하였다. 2014년 여름 뮤지컬 은 시카고에서 프리미어 공연을 선보였고, 같은 해 9월엔 미국 [[브로드웨이]]에 진출했다.[[https://broadwayinchicago.files.wordpress.com/2014/01/last-ship-logo-with-billing.jpg|#]] 그러나 안타깝게도 관객 수가 적었고, 12월부터는 스팅이 직접 무대에 오르기도 했지만 결국 작품은 2015년 1월, 단 4개월만에 조용히 내려졌다고 한다. 다소 무거운 내용과 후반부의 개연성이 떨어지는 전개가 원인이라고 짐작된다. 다만 음악은 호평을 받아 토니상 후보에도 올랐다. [[https://youtu.be/fh8lw-DJuu8|홍보 영상]] [[https://youtu.be/fXlW-ab0adM|전체 뮤지컬 콘서트 영상 - 상당한 퀄리티를 자랑한다.]] 묻히긴 아깝다고 생각했는지 이후에는 유럽과 캐나다에서 공연되었다. 2020년 상반기엔 스팅도 배우로 참여한 미국 공연 투어를 돌았다.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 1집 The Dream of the Blue Turtles ==== ||<-2>
'''{{{#fbff99 1집}}} {{{#ffd700 The Dream of the Blue Turtles }}}''' || ||<-2> [[파일:external/e1ffaf5f1f5a71876def0cd4f2942b986507753b4fbd61be9a7407577b9f09e2.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1985년]] [[7월]] 12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If You Love Somebody Set Them Free''' 2 Love Is The Seventh Wave 3 '''Russians''' 4 Children's Crusade 5 Shadows In The Rain 6 We Work The Black Seam 7 Consider Me Gone 8 The Dream Of The Blue Turtles 9 '''Moon Over Bourbon Street''' 10 '''Fortress Around Your Heart''' }}} || ==== 2집 ...Nothing Like the Sun ==== ||<-2>
'''{{{#fbff99 2집}}} {{{#ffd700 ...Nothing Like the Sun }}}''' || ||<-2> [[파일:external/35e8332d17096e158408c1b9d4e6d938abc67cee6307b76376ebd2d6d2cc73a3.jpg|width=250]] || || '''{{{#242525 발매일}}}''' || {{{#000000 [[1987년]] [[10월]] 5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The Lazarus Heart 2 '''Be Still My Beating Heart''' 3 '''[[Englishman in New York]][* 다니엘 데이 루이스 주연 영화 Stars and Bars OST로 사용된다.]''' 4 History Will Teach Us Nothing 5 They Dance Alone (Gueca Solo) 6 '''Fragile''' 7 We'll Be Together 8 Straight To My Heart 9 Rock Steady 10 Sister Moon 11 Little Wing 12 The Secret Marriage[* [[휴 그랜트]], [[앤디 맥도웰]] 주연 영화 네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 OST로 사용되었다.] }}} || ==== 3집 The Soul Cages ==== ||<-2>
'''{{{#fbff99 3집}}} {{{#ffd700 The Soul Cages }}}'''[* 2021년 1월 15일 발매 30주년을 기념해 미공개 곡들을 수록한 Expanded version이 발매되었다.] || ||<-2> [[파일:external/d8cfbb13e01ce3096a54b0b3380dde9936fe51cbdf8671f11441109358ced1ed.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1991년]] [[1월]] 17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Island Of Souls 2 All This Time 3 Mad About You 4 Jeremiah Blues (Part 1) 5 '''Why Should I Cry For You?'''[*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위한 스팅의 추모곡. 발매 당시부터 지금까지 크게 사랑받고 있는 노래다. 차분한 분위기, 시적인 표현과 '왜 당신을 위해 울어야 하나요' 라고 말하는 역설적인 가사가 인상적이다.] 6 Saint Agnes & The Burning Train[* [[런닝맨]] [[이광수]] 아웃(...) bgm이다.] 7 The Wild Wild Sea 8 '''The Soul Cages''' 9 When The Angels Fall }}} || ==== 4집 Ten Summoner's Tales ==== ||<-2>
'''{{{#fbff99 4집}}} {{{#ffd700 Ten Summoner's Tales }}}''' || ||<-2> [[파일:external/19cb3aa73979b03e5943e85b3f63567f9ccbba4232ae280eecc8e41346ee6cd6.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1993년]] [[2월]] 25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If I Ever Lose My Faith In You 2 Love Is Stronger Than Justice (The Munificent Seven) 3 '''Fields Of Gold''' 4 Heavy Cloud No Rain 5 She's Too Good For Me 6 '''Seven Days''' 7 Saint Augustine In Hell 8 It's Probably Me[* 영화 [[리썰 웨폰 3]] OST로 사용되기도 했다. [[에릭 클랩튼]]이 기타 피쳐링 아티스트로 등장한다.] 9 Everybody Laughed But You 10 '''[[Shape Of My Heart]]''' 11 Something The Boy Said 12 Nothing 'Bout Me }}} || ==== 5집 Mercury Falling ==== ||<-2>
'''{{{#fbff99 5집}}} {{{#ffd700 Mercury Falling }}}''' || ||<-2> [[파일:external/4c228b92df8f7fc8d3c18aa709bd024518968b45083d60be464a6d1a31e7b18e.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1996년]] [[3월]] 8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The Hounds Of Winter 2 I Hung My Head 3 '''Let Your Soul Be Your Pilot''' 4 '''I Was Brought To My Senses''' 5 You Still Touch Me 6 I'm So Happy I Can't Stop Crying 7 All Four Seasons 8 Twenty Five To Midnight 9 La Belle Dames San Regrets 10 Valparaiso 11 Lithium Sunset }}} || ==== 6집 Brand New Day ==== ||<-2>
'''{{{#fbff99 6집}}} {{{#ffd700 Brand New Day }}}''' || ||<-2> [[파일:external/cdn.sting.com/260.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1999년]] [[9월]] 28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A Thousand Years''' 2 '''Desert Rose''' 3 Big Lie, Small World 4 After The Rain Has Fallen 5 Perfect Love...Gone Wrong 6 Tomorrow We'll See 7 Prelude to the End Of The Game 8 Fill Her Up 9 Ghost Story 10 '''Brand New Day''' }}} || ==== 7집 Sacred Love ==== ||<-2>
'''{{{#fbff99 7집}}} {{{#ffd700 Sacred Love }}}''' || ||<-2> [[파일:external/a8b69a8e9c97216604302bd0593dce7009e19e11b7b9ed5113a661f245ee2ed8.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2003년]] [[9월]] 30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Inside 2 Send Your Love 3 Whenever I Say Your Name 4 Dead Man's Rope 5 Never Coming Home 6 '''Stolen Car (Take Me Dancing)''' 7 Forget About The Future 8 This War 9 The Book Of My Life 10 '''Sacred Love''' 11 Send Your Love (Dave Aude Remix) 12 Shape Of My Heart (Live)[* 영화 레옹으로 유명한 곡이지만 정작 영화 개봉 당시 발매되었던 레옹 OST 음반에는 이 곡이 수록되어 있지 않았었다.] }}} || ==== 8집 Songs From The Labyrinth ==== ||<-2>
'''{{{#fbff99 8집}}} {{{#ffd700 Songs From The Labyrinth[* 보스니아의 류트니스트 Edin Karamazov와의 협연으로 존 다울런드(1563-1626)의 곡들을 연주했는데, 무려 직접 [[류트(악기)|아치류트]]를 연주하면서 노래를 불렀다! [[http://www.lutesociety.org/pages/interview-with-sting|영국 류트협회와의 인터뷰]] 참조. ~~죽은 다울런드가 놀라서 무덤에서 뛰쳐 일어날 만큼 괴상하게 불렀다는 게 함정~~] }}}''' || ||<-2> [[파일:external/cec674b8d4d3ca16791b64735929b65789585a62ce0259722809a88e7578612c.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2006년]] [[10월]] 10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Walsingham 2 Can She Excuse My Wrongs? 3 Right Honorable: as I have bin most bound unto your honor... 4 Flow, my tears (Lachrimae) 5 Have you seen the bright lily grow 6 ...Then in time passing on Mr. Johnson died... 7 The Most High and Mighty Christianus the Fourth, King of Denmark, His Galliard 8 The lowest trees have tops 9 ... And according as I desired ther cam a letter... 10 Fine knacks for ladies 11 ...From thenc I went to Landgrave of Hessen... 12 Fantasy 13 Come, heavy sleep 14 Forlorn Hope Fancy 15 ...And from thence I had great desire to see Italy... 16 Come again 17 Wilt thou unkind thus reave me 18 ...After my departures I caled to mynde our conference... 19 Weep you no more, sad fountain 20 My Lord Willoughby's Welcome Home 21 Clear or Cloudy 22 ...men say that the Kinge of Spain is making gret preparation... 23 In darkness let me dwell }}} || ==== 9집 If On A Winter's Night... ==== ||<-2>
'''{{{#fbff99 9집}}} {{{#ffd700 If On A Winter's Night... }}}''' || ||<-2> [[파일:external/1182162cc209921dd409950568d207e297763d1d45385e6e2e08d48b435b1949.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2009년]] [[10월]] 26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Gabriel's Message 2 '''Soul Cake''' 3 There Is No Rose of Such Virtue 4 The Snow it Melts the Soonest 5 Christmas at Sea 6 Lo How a Rose E'er Blooming 7 Cold Song[* [[헨리 퍼셀]]의 유명한 곡이다. 스팅이 재해석한 고음악 곡들이 다 그렇듯이 괴랄하게 불렀다.[[https://youtu.be/TNbKx2x3a9U|#]] ] 8 The Burning Babe 9 Now Winter Comes Slowly 10 The Hounds Of Winter 11 Balulalow 12 Cherry Tree Carol 13 '''Lullaby To An Anxious Child''' 14 Hurdy Gurdy Man 15 You Only Cross My Mind in Winter 16 A Cradle Song (bonus track) 17 Coventry Carol (bonus track) 18 Bethlehem Down (bonus track) }}} || ==== 10집 Symphonicities ==== ||<-2>
'''{{{#fbff99 10집}}} {{{#ffd700 Symphonicities[* 기존에 발매한 히트곡들을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리메이크한 앨범이다.] }}}''' || ||<-2> [[파일:external/06f2bd5bdc9170e1b913f5df7096d1f01a88f26fa98739379e9adcbf5fac63eb.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2010년]] [[8월]] 17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Next To You 2 [[Englishman in New York]] 3 Every Little Thing She Does Is Magic 4 I Hung My Head 5 You Will Be My Ain True Love 6 Roxanne 7 When We Dance 8 End Of The Game 9 I Burn For You 10 We Work The Black Seam 11 She's Too Good For Me 12 The Pirate's Bride }}} || ==== 11집 The Last Ship ==== ||<-2>
'''{{{#fbff99 11집}}} {{{#ffd700 The Last Ship }}}''' || ||<-2> [[파일:external/4f19392a8ffd26f47511e21ac4ed0ad45a3236019c0fb54fde6b7cb4750aac91.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2013년]] [[9월]] 24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The Last Ship''' 2 Dead Man's Boots 3 And Yet 4 August Winds 5 Language Of Birds 6 '''Practical Arrangement''' 7 The Night The Pugilist Learned How To Dance 8 Ballad Of The Great Eastern 9 What Have We Got? (featuring Jimmy Nail) 10 I Love Her But She Loves Someone Else 11 So To Speak (featuring Becky Unthank) 12 The Last Ship (Reprise) }}} || ==== 12집 57th & 9th ==== ||<-2>
'''{{{#fbff99 12집}}} {{{#ffd700 57th & 9th }}}''' || ||<-2> [[파일:external/cdn.sting.com/album1deluxe1472662517_640.jpg|width=300]] || || '''{{{#242525 발매일}}}''' || {{{#000000 [[2016년]] [[11월]] 11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I Can't Stop Thinking About You''' 2 '''50,000''' 3 Down, Down, Down 4 One Fine Day 5 Pretty Young Soldier 6 Petrol Head 7 Heading South On The Great North Road 8 If You Can't Love Me 9 Inshallah 10 The Empty Chair }}} || ==== 13집 My Songs ==== ||<-2>
'''{{{#fbff99 13집}}} {{{#ffd700 My Songs }}}''' || ||<-2> [[파일:external/cdn.sting.com/|width=250]] || || '''{{{#242525 발매일}}}''' || {{{#000000 [[2019년]] [[5월]] 24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Brand New Day 2 Desert Rose 3 If You Love Somebody Set Them Free 4 Every Breath You Take 5 Demolition Man 6 Can't Stand Losing You 7 Fields of Gold 8 So Lonely 9 Shape of My Heart 10 Message in a Bottle 11 Fragile 12 Walking on the Moon 13 [[Englishman in New York]] 14 If I Ever Lose My Faith in You 15 Roxanne (Live) }}} || ==== 14집 Duets ==== ||<-2>
'''{{{#fbff99 14집}}} {{{#ffd700 Duets }}}'''[* 원래 2020년 11월 27일 발매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로 지연되었다. 대신 그 날 수록곡중 한곡인 'September'가 싱글로 발매 되었다.][* 디지털 음원으로는 공개되지 않고 LP와 CD로만 발매되었다.] || || '''{{{#242525 발매일}}}''' || {{{#000000 [[2021년]] [[3월]] 19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Little Something with Melody Gardot 2 It's Probably Me with [[Eric Clapton]] 3 Stolen Car with Mylène Farmer 4 Desert Rose with Cheb Mami 5 Rise & Fall with [[Craig David]] 6 Whenever I Say Your Name with [[메리 제이 블라이즈|Mary J. Blige]] 7 Don't Make Me Wait with [[Shaggy]] 8 Reste with GIMS 9 We'll Be Together with [[애니 레녹스|Annie Lennox]] 10 L'amour c'est comme un jour with Charles Aznavour 11 My Funny Valentine with [[허비 행콕|Herbie Hancock]] 12 Fragile with [[훌리오 이글레시아스|Julio Iglesias]] 13 Mama with G4shi 14 September with [[주케로|Zucchero]] 15 Practical Arrangement with Jo Lawry[* The Last Ship의 Practical Arrangement가 한 남자의 사랑표현이라면 듀엣버전에서는 중간에 여자의 답변이 포함되어있다. 스팅은 이 노래에 대해 유대감이 필요한 남자와 독립적이고 강인한 여자에 관한 노래라며 슬픈 노래라고 설명했다.] 16 None Of Us Are Free with Sam Moore 17 In the Wee Small Hours of the Morning with Chris Botti }}} || ==== 15집 The Bridge ==== ||<-2>
'''{{{#fbff99 15집}}} {{{#ffd700 The Bridge }}}''' || || '''{{{#242525 발매일}}}''' || {{{#000000 [[2021년]] [[11월]] 19일}}} || || '''{{{#242525 수록곡}}}''' ||{{{#000000 1 Rushing Water 2 '''If It's Love''' 3 The Book of Numbers 4 Loving You 5 Harmony Road 6 '''For Her Love''' 7 The Hills on the Border 8 Captain Bateman 9 The Bells of St.Thomas 10 The Bridge 11 Waters of Tyne 12 Captain Bateman's Basement 13 (Sittin' On)The Dock of the Bay}}} || === 싱글 === ==== [[빌보드 핫 100]] 1위 ==== * [[Money for Nothing]][* [[다이어 스트레이츠]]와의 협업곡. 공동 작사/작곡가로 크레딧에 올라가있다.] (1985) * All for Love (With [[Bryan Adams]] & [[Rod Stewart]]) (1994)[* [[찰리 신]], [[키퍼 서덜랜드]], [[올리버 플랫]]과 크리스 오도넬(달타냥 역), 레베카 드 모네이(밀라디 역), [[줄리 델피]](콘스탄스 역) 등이 출연했던 영화 [[삼총사]] OST에 사용되었다.] ==== 빌보드 핫 100 3위~10위 ==== * If You Love Somebody Set Them Free (1985) * Fortress Around Your Heart (1985) * We'll Be Together (1987) * All This Time (1991) ==== 빌보드 핫 100 11위~20위 ==== * Love Is the Seventh Wave (1985) * Russians (1985) * Be Still My Beating Heart (1988) * If I Ever Lose My Faith in You (1993) * Desert Rose (2000) ==== 그 밖의 싱글 ==== * Moon over Bourbon Street (1986) * [[Englishman in New York]] (1988) * Fragile (1988) * It's Probably Me (Duet with Eric Clapton) (1992) * Fields of Gold (1993) * [[Shape Of My Heart]] (1993) * Send Your Love (2003) * Whenever I Say Your Name (Duet with Mary J. Blige) (2003) === 대표곡 === [youtube(NlwIDxCjL-8)] [youtube(OMOGaugKpzs)] [youtube(d27gTrPPAyk)] [youtube(KLVq0IAzh1A)] [youtube(C3lWwBslWqg)] 아래는 스팅 팬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명곡으로 꼽히는 노래들이다. [[https://youtu.be/gZSGQ5wMaDE| Why Should I Cry For You?]] [[https://youtu.be/Ng4P6FWVdcE| Be Still My Beating Heart]] [[https://youtu.be/QrLF4HymAs4| I Was Brought To My Senses]] [[https://youtu.be/8603_JtSxVA| Stolen Car]] [[https://youtu.be/OiPiRKbNCWY| Fortress Around Your Heart]] [[https://youtu.be/lB6a-iD6ZOY| Fragile]] == 수상 내역 == === [[그래미 어워드]] === * '''1980년 제23회 그래미 어워드''' * Best Rock Instrumental Performance - Regetta De Blanc * '''1981년 제24회 그래미 어워드''' * Best Rock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with Vocal - Don't Stand So Close To Me * Best Rock Instrumental Performance - Behind My Camel * '''1983년 제26회 그래미 어워드''' * Song of the Year - Every Breath You Take * Best Pop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with Vocal - Every Breath You Take * Best Rock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with Vocal - Synchronicity * Best Rock Instrumental Performance - Brimestone And Treacle * '''1986년 제29회 그래미 어워드''' * Best Music Video, Long Form - Bring On The Night * '''1987년 제30회 그래미 어워드''' * Best Vocal Performance, Male - Bring On The Night * '''1991년 제34회 그래미 어워드''' * Best Rock Song - Soul Cages * '''1993년 제36회 그래미 어워드''' * Best Vocal Performance, Male - If I Ever Lose My Faith In You * Best Music Video, Long Form - Ten Summoner's Tales * '''1999년 제42회 그래미 어워드''' * Best Male Pop Vocal Performance - Brand New Day * Best Pop Album - Brand New Day * '''2000년 제43회 그래미 어워드''' * Best Male Pop Vocal Performance - She Walks This Earth(Soberana Rosa) * '''2003년 제46회 그래미 어워드''' * Best Pop Collaboration with Vocals - Whenever I Say Your Name * '''2018년 제61회 그래미 어워드''' * Best Reggae Album - 44/876[* [[Shaggy|샤기]]와의 협업 앨범이다.][* 44는 영국의 [[국가번호]], 876은 자메이카의 국가번호로 각각 스팅과 섀기의 모국이다.] === 기타 === * '''BRIT Awards''' [include(틀:브릿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1977년~1999년))] * 1988년 Best British Album * 1994년 Best British Male * 2002년 Outstanding Contribution * '''2002년 제59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 주제가상 - Untill...(from Kate&Leopold) * '''2002년 제54회 [[에미상]]''' * 버라이어티 / 음악 프로그램에서의 개인 퍼포먼스상(individual Performance in A Variety or Music Program) * '''2016년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 American Music Award of Merit == 여담 == * [[교사]] 출신이다. 대학에서 교육학을 전공한 후 2년 동안 가톨릭계 사립학교에서 일했다. * 별칭이자 예명이 '스팅'이 된 이유는 생각보다 평범하다. 스팅은 젊은 시절 검은색과 노란색 줄무늬의 스웨터를 즐겨 입었는데, 당시 스팅이 속해 있던 밴드 피닉스 재즈멘(Phoenix Jazzmen)의 리더 겸 트롬본 담당이었던 고든 솔로몬이 "벌처럼 보인다"고 말한 데에서 스팅(Sting, 영어로 '쏘다'라는 뜻이 있다.)이라는 별칭을 착안하였다고. * 잘생겼다. 지금도 곱게 늙은 편인데 젊었을때는 정말 그야말로 꽃미남이었다. * 정치성향이 상당히 진보적이다. 보여지는 이미지와는 달리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한 번은 유럽 투어 중 [[오스트리아]]에서 공연하기로 예정했는데 하필이면 오스트리아 총선에서 극우정당이 다수당이 되는 바람에 취소했다고 한다. 그는 환경운동, 성 소수자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 사명감이 꽤 큰지 그와 친한 음악가였던 [[로드 스튜어트]]가 열대우림 보호 운동을 가지고 스팅을 놀리자, 그야말로 '''딥빡'''한 스팅이 LA에 위치한 그의 집에 로드 스튜어트를 감금하여 로드가 경찰을 불러 겨우 자유의 몸이 되는 사건이 있었다. 또 폴리스 소속으로 이름을 날리던 1988년에는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를 맹비난하는 "They Dance Alone (Cueca Sola)" 라는 노래를 쓰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그도 [[우즈베키스탄]]의 [[독재자]]이자 [[학살자]]인 [[이슬람 카리모프]]가 주최한 콘서트에 참여한 적이 있고 이때문에 우즈베키스탄 주재 영국 대사에게 미친놈이라며 까였다. 카리모프 항목에 나오듯이 그 영국 대사가 카리모프 정권이 반대파에게 저지른 학살과 고문을 알려 해외로 퍼뜨린 사람이니 더더욱 스팅이 그런 독재자의 행사에 나간 것이 어이가 없었을 것이다. * 3000억 이상의 자산으로 영국 뮤지션 재산 순위에서 3등으로 꼽힌 적이 있다. [[http://diminished7.net/gallery/63945|]] 1위는 폴 매카트니이다. * 1994년도에 [[버클리 음악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https://www.berklee.edu/commencement/past/1994|#]] * 잉글랜드 북동부 타인위어 출신이어서 축구는 고향 팀 [[뉴캐슬 유나이티드]]를 응원한다. * [[영화]]에도 여럿 출연한 적이 있는데, [[1984년]]에 개봉한 [[듄 시리즈#s-3.1|듄]]에서 [[페이드 로타 하코넨]]을 분했다. 당시 극중에서 반라의 몸으로 등장하는 [[씬]]이 화제가 되기도 했으나... 여러가지 복잡한 사정으로 인해 영화 자체가 [[폭망]]하고 말았다. 1985년에 [[플래시댄스]] 여주인공인 제니퍼 빌즈와 같이 신부(The Bride)라는 영화에 주연으로 나왔으나 1300만 달러 제작비 1/3도 못벌고 역시 망하고 만다. 대신, 이 영화에서 스팅이 부른 주제가는 빌보드 차트 3위까지 오르며 노래는 성공했다. 그밖에도 1985년작인 Plenty라든지 1988년 영화 폭풍의 월요일 (Stormy Monday)등에서 조연으로 나왔다. [[가이 리치]]가 연출한 [[록 스탁 앤 투 스모킹 배럴즈]]에도 단역으로 출연했다. 미드 [[앨리 맥빌]] 시즌 3에선 본인 역으로 특별출연했는데, 한 중년남성에게 고소를 당해 공연 스케줄에 차질을 빚는 로펌 의뢰인으로 출연했다.[* 이 중년남성이 스팅을 고소한 이유가 "당신 공연을 보고 온 이후 당신에게 푹 빠져버린 내 마누라때문에 이혼하게 생겼으니 보상해라!"라는 논지. 스팅 입장에선 황당하기 짝이 없는 고소였지만, 어찌저찌 잘 해결하고 극 막바지엔 남주 래리(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함께 본인의 대표곡인 'Every Breath You Take'를 라이브로 열창한다.] * 더 폴리스 시절보다 솔로 전향 후에 더 인기를 끌다보니 스팅의 음색이 중저음의 허스키 보이스로 더욱 많이 알려져있는데 더 폴리스 시절에는 허스키한 음색을 기반으로 3옥타브대 음역을 숨쉬듯이 편안하게 올려대는 하이 테너였다.[* 더 폴리스의 So Lonely에서 젊은 시절 스팅의 고음역을 들어볼 수 있다. 3옥타브 도를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는 고음이 난무한다.] * 현재 [[넷플릭스]]에서 방영 중인 [[설국열차(드라마)]]의 조연 중 하나, 제동수 '베스 틸(Bess Till)' 역을 맡은 배우 '미키 섬너(Mickey Sumner)'가 그와 트루디 스타일러(Trudie Styler)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기도 하다. * 폴리스의 드러머 스튜어트 코플랜드와 몸싸움을 벌이다 갈비뼈에 금이 간 적이 있다. Every Breath You Take를 녹음하다가도 몸싸움을 벌였다고. * [[와인]]애호가로 유명하다. 해외공연할때는 와인을 반드시 가득 준비하라는 요구를 한다고. 심지어, [[여의도]]보다 더 넓은 땅을 사서 10년넘게 손수 인공비료없이 포도밭을 가꾸며 와인을 만든 경력이 있다. 그리고 2013년에 와인전문가들이 시식해보고 스팅의 와인을 그해 최고 와인 3위로 뽑을 정도로 와인 제조에도 정성을 기울인다고 한다. 물론, 돈벌이 목적으로 와인을 만들던 건 아닌데 이렇게 인정받아 와인 시장에선 제법 비싸게 팔린다고 한다. * 2021년 7월 27일 [[방탄소년단]]이 [[BBC Radio 1]]에서 [[Every Breath You Take]]을 [[샘플링]]한 [[I'll Be Missing You]]를 커버했다. [[https://youtu.be/EN5Ga6OMwhA|영상]] Every Breath You Take의 원곡자 스팅이 트위터에 이 영상의 링크를 걸며 박수 이모티콘 7개를 올렸다. [[https://twitter.com/OfficialSting/status/1420025051273965568|#]] * 스튜디오 앨범 저작권을 유니버설 뮤직에 매각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211001600072?section=international/all|#]] * 스팅의 아들이 [[스팅(프로레슬러)]]의 팬이어서 직접 만난 적이 있다. 출처는 프로레슬러 스팅의 플레이어스 트리뷴 기고문. * [[죠죠의 기묘한 모험]]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의 등장인물인 [[카쿄인 노리아키]]가 제일 좋아하는 뮤지션이다. [[분류:영국 남가수]][[분류:1951년 출생]][[분류:1978년 데뷔]][[분류:영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영국의 베이시스트]][[분류:영국의 보컬리스트]][[분류:더 폴리스]][[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대영제국 훈장 3등급]][[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타인 위어주 출신 인물]][[분류:워릭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