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wmHtO6o.jpg|width=300]] [목차] Sticube == 개요 == [[나우콤]]에서 서비스했던 [[클럽박스]]의 파생, 독립형 버전이라고도 할수 있는 '''위젯형 파일 자료실'''을 표방한 [[인터넷]] 서비스로, [[블로그]]나 사이트 등지에 위젯 형태로 달아서 사용할 수 있었다. == 본문 == 용량은 10기가를 지원했었으며[* 유료결제로 용량추가 가능], 1아이디 1큐브(자료실 단위)를 지원했다. 다운로드 속도는 업로드 속도와 비슷했는데, 웬만하면 1~2MB/s의 다운로드 속도가 나오지만, 접속이 급증하는 일요일 저녁즈음에는 [[클럽박스|근성박스]]의 다운로드 속도인 50KB/s에 못미치는 2~30KB/s가 나오기도 했다. 신청만 하면 100% 참여 가능한 클로즈 베타를 2009년 1월 6일에 시작하였으며 [[클럽박스]]/피디박스 파일 매니저로만 광고를 하였으나, 테스트가 시작된지 채 1주일도 지나지 않아 많은 버그 발생에도 불구하고 입소문 등으로 인해 생각 외로 많이 알려졌었다. 하지만 구글에서 검색을 시도하면... 2009년 중반까지만 해도 다음 위젯뱅크로 우회해서 네이버 블로그에 스티큐브를 장착할 수 있었지만 위젯뱅크 측에서 [[저작권]]에 위배되는 위젯들은 모두 없애버리겠다고 철퇴를 날렸고, 그로부터 약 2달 뒤엔 네이버 블로그 측에서 아예 스티큐브 위젯을 막아버렸다. 그래서 스티큐브 위젯을 통해 '''무료''' 배경음악을 사용하고 있는 블로거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경영난으로 인해 결국 2010년 12월 31일에 '''서비스 종료'''할 것을 선언하면서 '''[[흑역사]]'''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 일로 결국 지금까지 스티큐브를 사용하던 수많은 유저들은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상태가 되었다. 그나마 일찍 없어진데다 저 공지가 나온 시기가 2010년 11월 중순이었으므로 백업할 시간이 많이 남이있기 때문에 [[엠엔캐스트]]만큼의 충격은 없어서 다행. 그러나 역시 논란이 있었는지 예정보다 백업 기간을 늘려서 2011년 1월 7일부로 최종 서비스 종료. 하지만 디시인사이드 [[합성-필수요소 갤러리]]의 음원 한정으로 대부분의 음악 파일들을 스티큐브에 올려놓은 바람에 거진 흑역사가 되어 버렸다. [[분류:클라우드 스토리지]][[분류:폐쇄된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