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스티브 클락}}}[br]{{{-1 Stephen Clar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yPhoto_1197814510_0957.jpg|width=100%]]}}} || || '''본명''' ||스티브 메이너드 클락[br]Stephen Maynard Clark || || '''출생''' ||[[1960년]] [[4월 23일]] [[영국]] [[셰필드]] || || '''사망''' ||[[1991년]] [[1월 8일]](향년 30세) [[영국]] [[런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 '''직업''' ||[[기타리스트]] || || '''소속''' ||[[데프 레파드]]^^(1978년~1991년)^^ || || '''활동''' ||[[1978년]] ~ [[1991년]] || || '''악기''' ||[[기타]] || [목차] == 개요 == ''''레스폴이 가장 잘 어울리는 핵간지 기타리스트''''[* 흔히들 레스폴 하면 지미 페이지나 슬래쉬를 연상 하지만 스티브 클락의 레스폴 간지도 상당하다.] ''''[[데프 레파드]]의 사운드를 완성시켜나간 기타리스트\''''이면서도 솔로 플레이나 전면에 나서는 유형의 기타리스트가 아니어서 상당히 저평가된 기타리스트.[* 스티브 클락의 연주 영상 모음. 솔로보다는 리프 연주에 치중하는 모습이 많다. [[https://youtu.be/Kxhe9wlOolg|관련영상]]] 하지만 작곡 능력이 상당히 뛰어났고 'Riff Master'란 별명답게 기타 리프를 만드는데 발군이었다.[* 동시대 뮤지션들로부터의 평가는 높았으며 이와 관련한 일화로, 1990년대 초반 국내잡지 'Hot Music'에 소개된 [[제이슨 뉴스테드]]의 인터뷰에서 자신을 전임자 [[클리프 버튼]]과 비교하는 듯한 질문에, 스티브 클락이 사망한 [[데프 레파드]]와 달리 [[메탈리카]]는 내가 들어온 후 더 나아졌다'는 식으로 대답한 적이 있다는 카더라가 있다. --그러나 제이슨은 메탈리카에서(...)-- → 단순 기억에 의한 정보이므로 누가 출처를 찾아주기를 부탁함.] == 생애 및 활동 내역 == 1991년 알콜중독으로 사망했다. 사망 이후 발매된 [[데프 레파드]]의 5번째 정규앨범 'Adrenalized'에 그를 추모하는 곡 'White Lightning'이 실렸다.[* 참고로 White Lightning은 이 당시 Adrenalize 앨범 투어 이후에는 어찌된 일인지 라이브때는 거의 하지 않는 곡이 됐다.](그를 부르는 별명 중에 하나이자, 약물을 의미.) 같은 해 다른 록그룹 Tesla가 그들의 앨범 'Psychotic Supper'에 추모곡으로 'Song & Emotion'을 발표했다.[* Def Leppard는 Tesla와 매우 친한 사이이고 이는 Tesla가 데뷔시절 Def Leppard의 오프닝을 맡은 이래로 이어진듯하다.] == 장비 == 주로 사용한 기타는 [[깁슨]] 레스폴이지만 몇몇 곡에서는 다른 기타를 사용했다.[* 깁슨 파이어버드도 많이 사용했으며 특이하게 슈퍼스트랫 형 기타는 거의 쓰지 않았다. 해머 엘리트 기타를 연주하는 사진이 레어 취급되고 있고 사진을 보면 슈퍼스트랫 기타가 스티브 클락에게는 어색한 느낌도 있다.]('Love Bites'에서는 특징적으로 평소에 잘 안 쓰던 펜더 스트라토캐스터 사용.)[* 이 펜더 스트라토캐스터는 그 유명한 레드 제플린의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가 선물로 준 기타라고 밝혔다.] [[분류:데프 레파드]][[분류:영국의 기타리스트]][[분류:1960년 출생]][[분류:199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