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티브 유)] [목차] == 가수 데뷔 전 == 1976년 12월 15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당시 잠실은 서울 [[강남구]]에 속했다가 이후 강동구로 편입되었고 1988년 송파구 분구와 함께 송파구에 편입되었다.] [[잠실동]](現 [[송파구]] 잠실동)에서 태어났다. 가족으로는 어머니와 아버지 유정대, 형 유승환(1975년생)이 있으며 조카는 유한나(女)가 있다. 본관은 [[유(성씨)|강릉 유씨]](劉씨 32세손 승(承)자 항렬.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 성씨는 모화사상으로 중국 성씨를 빌린 것이라 중국 유씨하고는 관련이 없다.[* 참고로 [[제19대 대통령 선거]]에 [[바른정당]] 후보로 나섰다가 4위로 낙선한 정치인 [[유승민]]과 같은 항렬이며, [[유재석]]의 손자 항렬이기도 하다.])이다. 한국 출생 후 [[서울]]에서 거주하다가 중학교 1학년이었던 [[1989년]] 겨울, 가족 모두가 [[미국]] [[로스엔젤레스]]로 이민을 가게 된다. 미국에서 여자친구[* 현재 그의 아내다.]를 사귀게 되었는데, 어느 날 한국에서 촬영 온 연예인[* 듀스의 김성재였다고 한다.]을 여자친구가 응원하는 것을 보며 유승준은 질투를 느꼈다고 한다. 그렇게 유승준은 가수가 되어야겠다는 꿈을 가졌고, 그의 여자친구 역시 유승준에게 가수가 되라고 힘을 실어줬다.[* 이 여자친구는 어린 나이에 미국으로 이민하게 된 후 방황하던 유승준에게 충격 요법으로 헤어지자 하기도 했다. 여자친구와 헤어진 유승준 본인도 여자친구의 빈 자리를 크게 느끼며 정신을 차렸다고 한다.] 미국에서 가수의 꿈을 키우며 혼자 춤과 노래 연습을 하다 여자친구의 권유로 한국 연예 기획사 면접을 봤으나, 너무 미국 스타일이라는 이유로 탈락을 하게 된다. 그렇게 몇 번의 오디션을 보던 중 가위를 만든 이윤상과 만나게 되어 함께 일을 하게 되었고, 데모 테이프를 한국에 있는 기획사 50여 곳에 보냈다. 드디어 한 기획사로부터 연락을 받고 [[1996년]] 겨울, 혼자 커다란 배낭을 메고 다시 [[서울]]로 돌아왔다. 그의 아버지에 의하면, 이민 온 당시 미국 생활의 기틀을 잡느라 아들 뒷바라지를 제대로 못했고 가수가 되겠다는 아들의 꿈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한다. 때문에 피아노 학원에서 청소 아르바이트를 하며 피아노 연주를 배웠고 태권도 체육관에서 대리사범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댄스를 하기 위한 몸을 만들어갔다. 가수가 되겠다며 혼자서 한국으로 갈 때도 부모는 고생 좀 하고 오라는 생각으로 아들에게 단돈 10달러도 주지 않았다고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tv-RS8UDPM, height=240)]}}} || || '''데뷔하기 전, 소속사에 뿌렸던 데모 테이프''' || 그의 댄스 실력을 엿볼 수 있다. 곡명은 [[https://youtu.be/ZpS9XyyZg3U|'Black Street - Baby Be Mine']] [[1997년]], 만 20세의 나이로 가요계에 데뷔했다. 이후 2002년 초반까지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뒤 해외로 건너갔으며,[* 해외로 건너간 사유는 아래에서 후술. [[스티브 유 병역기피 사건|이 내용]]에서도 알 수 있다.] 2004년 크리스틴 오와 결혼해 4남매의 아버지가 되었다.[* 2006년과 2010년에 득남, 2018년 10월에 쌍둥이를 득녀했는데, 장남과 쌍둥이 자매의 나이 차이가 상당하다.] == [[가수]] [[전성기/목록/가요|활동]] 및 예능 활동 == 그의 인식이 매우 부정적으로 돌아선 현재까지도 대중들은 그가 많은 사랑을 받던 음악인이자 예능인이었다는 사실에만큼은 공감하는 편이다. '''노래, 댄스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능력자'''라는 평가를 받으며 [[박남정]] - [[현진영]] - [[박진영]] - [[김성재]] - '''유승준''' - [[비(연예인)|비]] - [[SE7EN]]으로 이어지는 [[1990년대]] 후반을 대표하는 남성 솔로 댄스가수로 [[조성모]], [[임창정]]과 더불어서 유승준[* 공교롭게도 셋 다 당대 최고 인기 예능 프로그램인 [[출발 드림팀]]의 에이스로 활약했다. 셋 다 운동을 특출나게 잘 했기 때문이다. 단, 임창정은 [[가수]]임과 동시에 [[배우]]라서 연기 활동과 가수 활동을 병행했기에 꾸준히 예능 프로그램에 나오지는 못했고, 가수 활동 시기에만 나왔다. 여기에 [[전진(신화)|전진]]과 [[김종국]]을 포함해 드림팀에서 무술인 이미지의 배우 [[이상인]]의 시대를 지나 가수 에이스 전성기 시대를 만든 인물들이다. 중간에 배우 [[박용하]]의 에이스 시기도 잠깐은 있었지만. 그리고 앞에 언급된 인물들 모두 드림팀 왕중왕전에 출전하였는데, 스티브 유가 병역기피 사건을 저지르지 않았다면 그도 왕중왕전에 초대받았을 가능성이 있었다. 그 김종국과 팔굽혀펴기 시합을 벌였을 정도니.]만이 거의 드물게 남성 솔로 가수로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현재까지도 상기한 가수 이후 남성 솔로 댄스 가수로 데뷔해서 성공한 사례가 2010년대에 들어서는 거의 전무한 점을 생각해본다면 그야말로 '''전무후무한 커리어와 실력을 보유했던 남성 댄스 가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QxSnvda0vs, height=240)]}}} || || '''신인소개 <가위> 무대 1997년 06월 14일 '''[* 참고로 이 방송분에서 유승준은 다른 출연자의 대타로 들어온 것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란한 [[춤]]을 추면서도 훌륭한 [[가창력]]을 보여주면서 그가 스타로 발돋움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었다. 영상을 본 사람들의 대부분의 반응은 '''욕하러 들어왔다가 감탄하고 돌아간다''' 혹은 '''누가 타임머신을 타고 저 때로 돌아가서 쟤 [[군대]] 가야 한다고 말 좀 해주고 와라'''일 정도이다. 훗날 그의 행보에 비난을 하는 대중들조차도 그의 재능만큼은 안타까워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다.] || [[1997년]] [[4월 1일]], 데뷔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21b5_7k5VPU|가위]]로 각종 방송사에서 1위를 여러 번 차지했고 이후 후속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4zeGKy1y3vs|사랑해 누나]]도 10위 권 안에 드는 등 대히트를 기록하면서 단숨에 메이저급 반열에 올라섰다. 가위춤은 나이를 불문하고 모두가 따라췄고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다. 당시 1990년대의 칼군무의 정점을 찍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굉장히 현란했다. 지금 봐도 굉장한 칼군무인데, 그 당시에는 그야말로 파장력이 엄청났다. [[http://blogfiles.naver.net/20150620_120/cool_1995_1434811730084QGHDs_GIF/%B0%A1%C0%A7_%282%29.gif|유승준의 안무.gif]]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s4AsGZBasw, height=240)]}}} || || '''인기가요 컴백무대 <나나나> 1998년 04월 26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gHQAbVGWNM, height=240)]}}} || || '''음악캠프 <열정> 1999년 05월 15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NdiuI7G7EQ, height=240)]}}} || || '''관객석 난입 레전드 무대 <비전> 1999년 11월 28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7DGXunog8I, height=240)]}}} || || '''음악캠프 <연가> 2000년 01월 29일''' || [[1998년]] 출시한 2집 타이틀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sRoR1rO0lyE|나나나]], [[https://www.youtube.com/watch?v=0LRrRxiRxEs|내가 기다린 사랑]] [[1999년]] 3집 [[https://www.youtube.com/watch?v=jWUlH4LN0qI|열정]][* 40초 부근에 [[스타크래프트]]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마린]]의 'gogogo' 효과음이 샘플링되는 등, 시류를 상당히 잘 타는 감각이 있었다.], [[1999년]] 4집 [[https://www.youtube.com/watch?v=0IA6HHiFjec|비전]], [[https://www.youtube.com/watch?v=SsCCWPR1uOo|연가]] [[2000년]] 5집 [[https://www.youtube.com/watch?v=ztbAUCOBOzU|찾길 바래]] [[https://youtu.be/jhpqjH0OZf4|어제 오늘 그리고]] [[2001년]] 6집 [[https://www.youtube.com/watch?v=_VgT0l50CDE|WOW]]와 같은 곡들도 연속으로 히트시키면서 당대 최고의 인기 가수 중 한 명으로 군림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트콤]],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 다양한 장르의 방송계를 섭렵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xYk2iMYxok, height=240)]}}} || || '''음악캠프 <찾길 바래> 2000년 12월 16일''' || 그는 춤꾼 스타일의 옷을 입긴 했지만, 안무 자체가 기본적으로 굉장히 격렬했고[* 실제로 그 당시의 유승준은 [[동아시아]] 최고로 손꼽히는 춤꾼이라 평가받기도 했었다.], 대중성을 꽤나 의식했기 때문에 [[원타임(그룹)|원타임]]이나 [[지누션]]과 같은 당대의 동료 가수들과 비교해 보면 옷차림이 단정한 편이었다. 더불어 항상 미국식의 짧은 남자머리(Buzz Cut) 혹은 [[반삭]]을 고수했기 때문에 중장년층 이상의 어른들에게도 큰 호감을 샀다. 그 당시에는 음성적으로 유행하던 일본 [[비주얼계]]의 간접적 영향으로 머리를 길게 하는 게 유행이어서 지저분해 보이고 그래서 당연히 두발 제한을 두었지만, 유승준과 같은 경우에는 머리도 짧은데다 깔끔하고 깨끗하고 얼굴은 물론 두상까지 멋있었기 때문에 굉장히 잘 어울렸고, 유행도 순식간에 뒤바뀌기도 했다. 당시 중고교들은 두발 규정이 엄격했던 터라 학교에서 두발 단속 문제도 꽤 심각했지만, 유승준의 반삭머리가 남학생들에게 유행을 타면서 알아서 단정한 머리를 만드니 이때만큼은 학생부가 두발 단속에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기사가 나왔을 정도였다. 또한 보컬 부분에서도 유승준은 댄스 가수 치고도 상당히 호평을 받았는데, 당장 당시의 여느 발라드 가수들과 비교해봐도 전문 장르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뛰어난 가창력을 보여주었다. 유승준은 호소력 있는 타고난 미성에다 파워풀함까지 겸비한 보컬이었다. 심지어 라이브 무대에서도 그 격렬한 댄스와 빠른 랩을 선보이면서도 후렴부에서는 흠 잡을 데 없이 가창력이 매우 안정적이고 좋았다. 심지어 대부분의 곡들이 빠를뿐만 아니라 2옥타브 시 ~ 3옥타브 레의 높은 음역대였고 처럼 도입부부터 2옥타브 후반대의 음으로만 채워져 있는 경우도 많았다. 당연히 유승준 본인도 가창력이 정말 좋은 가수로 평가 받았으며, [[김종서(가수)|김종서]], [[김건모]], [[김경호]] 등 높은 음역대를 자랑하는 선배 가수들의 노래 커버도 역시 잘 소화했다. 노래 퀄리티나 음반 구성은 지금 들어봐도 역대급이고, 요즘 나오는 곡들과 비교해봐도 정말 세련된 편이다. 오히려 댄스 가수가 비교적 저평가되었던 시절에 활동했기 때문에 당시에는 가창력에 엄청난 포커스가 맞춰져 있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평가가 높지 않았지만, 현재 관점에서 본다면 가수 중에서도 가창력이 매우 우수한 사기캐였다. 뿐만 아니라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해서도 만인의 슈퍼스타같이 같은 [[연예인]]들조차도 우러러 보는 위치인 듯하면서도, 나름대로 웃기고 재미있는 모습과 더불어 입담도 굉장히 좋은 편이었다. 무대에서는 카리스마 포지션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예능에서는 오히려 무게 있는 이미지를 버리고 자주 망가지기까지 하면서 친숙한 모습을 보여줬다.[* 지금으로 치면 [[이승기]]의 허당 이미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당시 흔하던 드라마 타이즈 계열의 예능에서 바보 연기 같은 코믹 연기도 종종 할 만큼 오락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서슴지 않아서 성별과 세대를 가리지 않고 사랑받았고[* 당시 현재 20대 후반에서 30대에 해당하는 남자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인기 원탑이었던 건 자명하나, 여자 어린이들과 청소년들도 학교 장기 자랑에서 [[S.E.S.]], [[핑클]] 같은 인기 여가수들만 따라하는 것이 아닌, 유승준의 가위 춤을 추는 경우가 엄청 흔했으니 말 다했다. 당시의 유승준은 여자 어린이들한테도 인기가 역대급으로 높아 [[H.O.T.]] 팬들과 유승준 팬들이 [[학교]]에서 대놓고 싸울 정도. 유승준 노래와 흉내를 개인기로 삼는 연예인들도 많았다. 당시 예능 단골 유승준 흉내 드립은, 유승준의 노래 '열정' 도입부에 나오는 영어 가사를, 한국말처럼 바꾼 '김밥에 김이 없대'.], 종종 단기로 오락 프로그램 진행도 했었다. 그야말로 친근한 웃음과 카리스마 있는 멋이라는, 남들은 하나도 얻기 힘든 두 마리 토끼를 완벽하게 잡은 역대급 스타 중의 스타였다. 실제로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 - [[쟁반노래방]]의 초대 MC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 후술할 사건으로 인한 부득이한 하차 이후 그의 공석은 [[이효리]]가 꿰차게 된다.] 그래서, 슈퍼스타같이 분위기와 무게잡고 우러러보는 위치가 아니라 마치 옆집에 사는 친근한 동네 형같이 망가지는 이미지도 있었고 끼와 재주는 물론이고 탄탄한 춤 실력과 격렬한 안무 속에서도 고음의 곡을 깔끔하게 소화해 내는 수준급 가창력까지 겸비했었다. 따라서 그는 그때 활동하던 댄스가수들 중에서도 누가 뭐래도 단연 독보적이었고 발군의 재능을 뽐냈었던 가수였다. 게다가 잘생긴 외모에다 탄탄한 근육질 몸매도 역시 그의 인기 요인 중 하나였다. 요즘에야 워낙에 몸이 좋은 가수들이 많지만, 90년대 그 당시 그는 한때 의류모델이었던 [[듀스(음악그룹)|듀스]]의 [[김성재]]와 더불어 가요계에서는 거의 독보적인 존재였다. [[뮤직비디오]]만 봐도 탄탄한 몸매를 과시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또한, 예능 프로그램이나 각종 인터뷰를 통해서 데뷔 초기부터 성실하고 예의 바른 모습을 보였던 터라 대외적인 그의 이미지 역시 상당히 좋았다. 더불어 [[출발 드림팀]]에서 좋은 활약을 보이면서 건강한 스포츠맨 이미지를 잘 쌓았다. [[스타 서바이벌 동거동락]]에서도 멋있으면서도 마이크웍이나 입담도 좋아서 코믹한 옆집에 사는 동네 형 같은 이미지도 잘 보여줬고 무엇이든지 열심히 하는 '''잘생긴 팀'''의 주장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고 '''우승'''까지 하면서 '''[[최후의 생존자]]'''가 되었다. 게다가 [[담배]]를 끊고 [[금연]] 홍보대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embed/nzg52ortBoU|금연 캠페인]] 이러한 좋은 이미지가 최고조에 달한 전성기 시절에는 '''아름다운 청년'''[* 당시 방송가에서 주로 사용하곤 했덩 전성기의 유승준에 대한 대중들의 이미지를 한 줄로 표현한 캐치 프레이즈였다. 아름다운 청년이라는 호칭 자체의 원조는 노동 운동가인 [[전태일]] 열사, 그 시기에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이라는 [[홍경인]] 주연의 [[한국 영화]]가 개봉했었다.]이라 불렸고, 다른 연예인들에게는 흔한 안티조차도 거의 찾아보기 힘들 정도였다. 그의 대중적인 인기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고 광범위하였다. 심지어 댄스에 큰 관심이 없거나 낯설은 중장년층 ~ 노년층도 그의 대표곡과 얼굴 정도는 대부분 기억하며 호감을 가지고 있을 정도였다. 더하여, 나이도 어린 인기 연예인임에도 불구하고 그 흔한 연애 스캔들도 없이 사생활도 무척 깨끗한 편[* 현재 아내인 크리스티나 오(한국명 오유선)와 무려 그가 데뷔하기 7년 전인 1990년도부터 교제 중에 있었고 그가 국내 활동 공백기 동안에는 영주권 유지를 위해 미국에 머무르곤 했기 때문이다.]이었고, 무대 뒤에서도 항상 겸손한 태도를 유지했던 터라 선후배 연예인들 사이에서도 [[평판#s-1|평판]]이 매우 좋았다. 또한 [[크리스천]]이였던 점을 여러모로 어필한 점도 이에 한 몫 했는데, 당시 개신교 신자라면 "[[술]], 담배를 안 하거나 적게 하고 검소하게 사는 등 자기 절제를 하는 사람"으로 여겨질 만큼, 지금보다 이미지가 좋았기 때문이다. 그의 앨범 마지막 곡은 항상 직접 부른 [[찬송가]]였는데, 이는 [[테이프]]나 [[CD]] 재킷에는 써 있지 않았기에 이에 게재되어 있는 마지막 곡을 들은 뒤 테이프나 CD가 꺼질 걸 생각하던 감상자들이 뜬금없이 찬송가가 나왔으니 크게 당황하기도 했다. [[MBC]]에서 그의 데뷔 스토리와 데뷔 이후의 삶을 취재한 [[다큐멘터리]]까지 제작했을 정도였다. 한마디로 전성기 시절엔 대중적인 호감과 건전, 건강한 흠잡을 데 없이 좋은 이미지로 큰 인기를 얻었다.[* 다만, 당대에는 크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그와 관련된 잡음이나 루머가 존재하긴 했는데, 그가 [[로스앤젤레스]]의 [[갱스터|한인 갱단]] 출신이라는 루머였다. '코리안 프라이드'라는 갱 조직으로서 1992년 초반에 결성되었고 1990년대 중반 전성기였으나 이후 더 거대한 세력의 아시안 프라이드에 흡수되었다. 하지만 그가 갱단 소속이라고 단정할 근거는 전무하다. 게다가 갱단에 들어갔으면 쉽게 빠져나오지도 못한다.] 또한 2001년이 어찌보면 그에겐 인기 최전성기이자 가장 이익이 많았던 해인데, 2000년대 당시의 쟁쟁한 라이벌들이었던 [[H.O.T.]]와 [[젝스키스]]가 해체된 이후였다. 또한 CF도 10편 이상 찍었고, 당시 잘 나가던 음반회사와 무려 37억 원에 해당하는 엄청난 액수를 가진 돈을 받고 전속계약까지 했으니, 그야말로 유승준에게는 인생이 탄탄대로를 달리고 엄청난 최고의 전성기를 보여줬던 한 해였다고 보면 된다. 심지어 그 인기 덕택에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조추첨식의 축하공연같은 거대한 무대도 서게 되었다. === 평가 === 언론에선 그를 가요계 '핵폭탄' 급의 가수로 소개했다. 데뷔하자마자 [[가위]](97), [[나나나]](98), [[열정]](99)이 3연타로 돌풍을 일으키며 각종 음악차트를 휩쓸었고, 청소년들의 유행을 선도하면서 명실상부 당대 최고의 남성 댄스가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동시기 가요 대상을 석권한 [[젝스키스]], [[핑클]], [[임창정]]과 비교해보면 공식 집계된 음반 판매량과 가요 프로그램 지배력은 이들보다 우위를 점할 정도로 높은 수준이었다. 커리어 하이를 달성했던 1999년의 3집 [[열정]]은 [[조성모]], [[H.O.T.]]에 이어 그해 음반 판매량 연간 3위에 랭크될 정도로 높은 기록을 세웠는데 특히 강력한 팬덤을 보유한 아이돌 그룹이나 대중적 장르의 발라드 가수에 비해 음반에서 불리한 1인 댄스 가수의 태생적 한계를 생각해 본다면 더더욱 높게 평가될 성과인 것이다. 그러나 4집 음반 '[[비전]]'을 기점으로 그의 음반 성적이 하락세에 진입하게 되면서 코어 팬덤 또한 점진적으로 이탈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사실 그가 건재하던 시절에도 [[H.O.T.]]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최고 전성기를 보내던 시기였다. [[H.O.T.]]는 당시에는 영세 기획사였던 [[SM엔터테인먼트]]를 한국 최고의 기획사로 키워낸 그룹으로, 엄청난 규모의 팬덤을 거느리고 있었다. 유승준의 등장 이전부터 이미 대중가요계는 [[아이돌]]이 주도하는 시장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었고, 이후 발라드 황제 [[조성모]]가 음반 시장을 장악하면서 가요계의 경쟁은 더더욱 치열해져갔다. 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의 가요계는 그야말로 춘추전국시대라 불리었다. 유승준이 당대 최고의 1인 댄스 가수로서의 역량과 지위를 굳히고 있는 한편 4~6명의 팀으로 이루어진 1세대 아이돌의 물량공세와 한해 200만 장 판매량에 달하는 음반 시장의 거물 조성모, 문화 대통령 [[서태지]]의 솔로 컴백 등 이들을 주축으로 한 막강한 경쟁자들이 대거 합류하면서 그의 가수로서의 입지도 서서히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유승준의 수상 실적이 저조한 이유가 단순히 강력한 경쟁자들 때문만은 아니다. 당시 미국 이민법상 미국에 6개월 이상 거주를 해야 [[영주권]]을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주로 상반기에는 국내 활동을 하고 하반기에는 미국으로 돌아가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던 터라 1997년과 1998년 연말 시상식에는 단 한번도 참석을 하지 못했다. 특히 1998년에 발매한 2집 타이틀곡 [[나나나]]는 그의 최전성기의 시작을 알리는 곡이었고, 그 해 대중 지표 순위에서 1~2위를 다툴 정도로 큰 인기도를 달리고 있었지만, 결국 그 해 연말 시상식에 불참하게 되면서 어떠한 상도 받지 못하게 되었다. 유승준은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점을 강조하지만, 그런 측면에서는 조성모도 비슷하다. [[https://ko.wikipedia.org/wiki/MBC_가요대제전|10대 가수 가요제]]에서의 30대 이상이 뽑은 가수 명단에 들어간 횟수도 조성모가 앞서고, 위의 리스피아르 설문조사도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였다. '''하지만 이는 유승준이 고평가 받는 이유를 잘 파악하지 못한 분석'''이다. 애초부터 유승준이 대외적으로 높게 평가를 받았던 이유는 가요계에서 독보적인 원탑이었기 때문에 고평가를 받았던 것이 절대로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독보적으로 원탑을 찍은 분야는 없었더라도, 연예계 전반에서 두루두루 인정을 받고 톱스타의 이미지를 쌓았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를 받는 것이다. 실제로 음반 관련 지표들은 그 당시 대세였던 가수들에게 밀렸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런 가수들 뒤에는 항상 2위 포지션으로 자리잡았던 것도 엄연한 사실이었다. 즉, '''"독보적인 원탑이었다는 것이 과장되었다는 점도 분명히 있지만, 그렇다고 톱스타 반열의 가수가 절대로 아니었다는 표현도 잘못되었다."'''라고 할 수 있다. [[파일:hmfgipotrbm.png]] 음반이 아니라 인기도 측면에서 봐도 1998년 [[https://news.v.daum.net/v/19981001153500357?f=o|한국갤럽]] 인기도 조사에서 가수 부문 1위를 차지했으며, [[http://www.leespr.co.kr/bbs/board.php?bo_table=3030n|리스피아르 조사연구소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살펴보면 당시 설문조사 자료의 순위에서도 조성모, H.O.T., 유승준이 엎치락뒤치락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유승준은 헬게이트급으로 경쟁이 치열했던 [[1세대 아이돌]] 전성시대에서도 솔로 댄스 가수라는 약한 입지로 당당하게 혼자 경쟁을 하면서도 엎치락뒤치락하던 수준까지 올라간 것이 정말 대단했기 때문에 절대로 저평가되어야 할 인물이 아니다'''. 특히 1990년대 중후반에 국내 PC 시장이 최정점을 이루던 시기에는 [[삼성전자]]가 메이저 PC 제조업체로서 '''업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기 위해 당시 최고 스타였던 유승준을 전속모델로 기용하여 3회 연속 출연하는 진기록을 세우게 된다. 당시만 해도 고급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해 톱배우들이나 출연해 왔던 '''삼성전자 CF에 [[가수]]가 출연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CF 개런티는 톱배우들마저 다 제치고 '''국내 최고액'''을 받았다는 기사가 나올 정도였으며,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에서 전국 소비자 6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예인, 스포츠인, 정치인 통합 광고 모델 선호도 조사에서 6위를 기록했고, 가수 중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eveyoo&no=1148|#]],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200363|#]] 즉, 10대와 20대로 한정된 연령대에 인기가 쏠려 있던 기존 댄스 가수 인식의 틀을 깨고 중장년층과 노년층까지 포섭할 수 있는 대중성과 스타성까지 모두 겸비한 톱 댄스 가수였다는 점이 그의 고평가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아름다운 청년이라 불렸던 만큼 그를 싫어하는 이가 거의 없었다는 점도 그가 매우 유니크한 캐릭터였음을 반증한다. 지나가는 시민들에게 '''"당신은 유승준[* 인용문]을 좋아합니까?"'''라고 물어보면 '''"내가 유승준[* 인용문] 팬은 아니지만 싫어하지는 않는다, 좋다, 잘 생겼다, 멋지다."'''라면서 긍정적인 답이 오는 분위기였다. 누구나 좋아하지만, 특정 세대에 압도적인 팬덤이나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음악성을 갖춘 건 아니었기에 사회 전체적으로는 엄청난 인지도와 인기를 보유한 것처럼 보였지만, 개인의 음반 판매량 화력은 당대 인기 가수들에 비해 다소 약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음악방송에서의 성적은 1990년대 뮤지션들 중에서도 독보적인 수준'''이다. 1집부터 5집까지 활동할 때 1위 후보에 꾸준히 올랐고, 커리어 하이를 달성했던 1999년 3집 당시에는 [[뮤직뱅크]], [[SBS 인기가요]], [[쇼! 뮤직탱크]] 등 당시 순위제를 시행하던 음악방송들에서[* 당시 [[생방송 음악캠프]]만큼은 유일하게 순위제를 시행하지 않았다.] 전부 '''최고 타이틀에 해당하는 업적을 남겼다'''. 유승준의 부재 이후 솔로 가수로 슈퍼스타가 된 후발주자는 [[비(연예인)|비]]였고, 비는 지금도 스티브 유와 자주 비교되곤 한다.[* 2020년 [[놀면 뭐하니?]] 프로그램에 출연 후 [[깡(노래)|깡]]이라는 노래가 뜻밖의 역주행을 하게 되면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와중에 스티브의 부재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 일부 의견들도 있다.] 그러니까 한 마디로 말해서 흔히 말하는 가요계의 [[엄친아]]로 인정받았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그는 '''[[국적법/미국#s-2.3|미국시민권 취득]]'''을 저지른 탓에 한 때 "전 국민에게 호감을 받고 사랑받던 가수"에서 지금은 "전 국민이 가장 미워하고 증오하는 가수"로 변모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여전히 한국인 유승준이 남긴 명곡들도 워낙 많았고, 퍼포먼스도 뛰어난 인재가 쉽게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냥 4급 받았으니 [[사회복무요원|공익]]으로 병역의무 수행할 것이지, 왜 공익조차도 안 갔느냐?"는 지적도 있다. 지금은 연예인이 공익 간다면 특별한 문제가 아닌 한 무조건 [[병역비리]] 아니냔 소리가 대놓고 나올 정도지만, 당시엔 [[연예인]]들이 [[군대]]를 어떻게든 빼는 일이 워낙 자연스럽게 여겨졌기에 그가 공익을 갔다 해도 "춤을 저리 격하고 많이 추는데 허리 좀 나가서 공익 갈 수도 있지."[* 저 시절은 출산율 100만을 넘기던 시절에 태어난 세대들이 군대에 갔을 90년대 초반만큼은 못하지만, 그래도 아직은 출산율이 (현재에 비하면) 비교적 높았을 때 태어난 세대들이 군대에 갔을 때였기 때문에 공익을 가는 것이 2010년대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수월했던 시절이기도 했었다.]라고 자연스럽게 대중들이 받아들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병역기피 사태 이후 대부분의 남자 연예인들이 공익 판정을 받았거나 외국인 영주권이 있어도 포기하고 자신있게 현역으로 자원 입대하는 경우들도 많이 보였다.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유승준이 지금처럼 병역기피로 인해 나락으로 떨어지게 된 사건은 [[반면교사|오히려 다른 이들의 병역기피를 막는 것에 순기능을 제공한 셈]]이다. === 가요 프로그램 수상내역 === ||
'''{{{#ffffff 날짜}}}''' || '''{{{#ffffff 곡명}}}''' || '''{{{#ffffff 음악 방송}}}''' || '''{{{#ffffff 비고}}}''' || || {{{#ffffff 1997. 08. 09.}}} ||<|6> {{{#ffffff 가위 '''6관왕'''}}} || {{{#ffffff 인기가요베스트50}}} || {{{#ffffff '''첫 1위'''}}} || || {{{#ffffff 1997. 08. 16.}}} || {{{#ffffff 인기가요베스트50}}} || {{{#white '''2주 연속'''}}} || || {{{#ffffff 1997. 08. 20.}}} || {{{#ffffff 가요톱텐}}} || || || {{{#ffffff 1997. 08. 24.}}} || {{{#ffffff TV가요20}}} || || || {{{#ffffff 1997. 08. 27.}}} || {{{#ffffff 가요톱텐}}} || || || {{{#ffffff 1997. 09. 03}}} || {{{#ffffff 가요톱텐}}} || {{{#white '''3주 연속'''}}} || || {{{#ffffff 1998. 06. 07.}}} ||<|4> {{{#ffffff 나나나 '''4관왕'''}}}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1998. 06. 14.}}}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1998. 06. 21.}}}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1998. 06. 28.}}} || {{{#ffffff 인기가요}}} || {{{#white '''4주 연속, 왕중왕'''}}} || || {{{#ffffff 1998. 06. 16.}}} ||<|3> {{{#ffffff 내가 기다린 사랑 '''3관왕'''}}}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1998. 06. 23.}}}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1998. 06. 30.}}} || {{{#ffffff 뮤직뱅크}}} || {{{#white '''3주 연속'''}}} || || {{{#ffffff 1999. 04. 14.}}} ||<|9> {{{#ffffff 열정 '''9관왕'''}}}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1999. 04. 20.}}}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1999. 04. 27.}}}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1999. 05. 04.}}}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1999. 05. 09.}}}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1999. 05. 11.}}}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1999. 05. 16.}}}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1999. 05. 18.}}} || {{{#ffffff 뮤직뱅크}}} || {{{#white '''6주 연속'''}}} || || {{{#ffffff 1999. 05. 30.}}} || {{{#ffffff 인기가요}}} || {{{#white '''3주 연속, 왕중왕'''}}} || || {{{#ffffff 1999. 07. 06.}}} ||<|2> {{{#ffffff 슬픈침묵 '''2관왕'''}}}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1999. 07. 11.}}}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1999. 12. 14.}}} ||<|8> {{{#ffffff 비전 '''8관왕'''}}}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1999. 12. 19.}}}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1999. 12. 21.}}}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1999. 12. 26.}}}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2000. 01. 02.}}} || {{{#ffffff 인기가요}}} || {{{#white '''3주 연속, 왕중왕'''}}} || || {{{#ffffff 2000. 01. 04.}}}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2000. 01. 11.}}}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2000. 01. 18.}}} || {{{#ffffff 뮤직뱅크}}} || {{{#white '''5주 연속'''}}} || || {{{#ffffff 2000. 02. 13.}}} ||<|2> {{{#ffffff 연가 '''2관왕'''}}}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2000. 02. 20.}}} || {{{#ffffff 인기가요}}} || {{{#ffffff '''2주 연속'''}}} || || {{{#ffffff 2000. 12. 21.}}} ||<|9> {{{#ffffff 찾길바래 '''9관왕'''}}}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2000. 12. 23.}}} || {{{#ffffff 음악캠프}}} || || || {{{#ffffff 2000. 12. 24.}}}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2000. 12. 28.}}} || {{{#ffffff 뮤직뱅크}}} || || || {{{#ffffff 2001. 01. 04.}}} || {{{#ffffff 뮤직뱅크}}} || {{{#ffffff '''3주 연속, 골든컵'''}}} || || {{{#ffffff 2001. 01. 06.}}} || {{{#ffffff 음악캠프}}} || || || {{{#ffffff 2001. 01. 07.}}}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2001. 01. 13.}}} || {{{#ffffff 음악캠프}}} || {{{#ffffff '''3주 연속, King of the Camp'''}}} || || {{{#ffffff 2001. 01. 14.}}} || {{{#ffffff 인기가요}}} || {{{#ffffff '''3주 연속, 왕중왕'''}}} || || {{{#ffffff 2001. 10. 07.}}} ||<|2> {{{#ffffff Wow '''2관왕'''}}} || {{{#ffffff 인기가요}}} || || || {{{#ffffff 2001. 10. 21.}}} || {{{#ffffff 인기가요}}} || {{{#ffffff '''2주 연속'''}}} || ||<-4> '''총 45회 수상''' || == [[스티브 유 병역기피 사건|병역기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티브 유 병역기피 사건)] 이 사건 하나로 인해 유승준은 더 이상 한국인 유승준이 아닌, '''미국인 스티브 유'''로 불리게 되었으며, 한국에서의 입지가 사실상 소멸했다 == [[스티브 유/생애/병역기피 이후|병역기피 이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티브 유/생애/병역기피 이후)] == 해외 활동 == [[성룡]]이 제작·각본·주연을 맡은 영화 '대병소장(大兵小將: Little Big Soldier)'에 출연했을 때에도 그에 대한 안 좋은 이미지는 여전했고 결국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든 채 영화는 스크린 뒤편으로 사라졌다. 영화 개봉에 앞서 국내 영화잡지와 인터뷰를 했다. ||스티브 유는 "이전에 갖고 있던 경험과 스스로에 거는 기대까지 다 내려놨다. 이전의 나를 부수고 완전히 새로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 완벽하게 신인의 자세로 시작해야 한다고 다짐했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비하 발언으로 논란이 된 [[2PM]]의 [[박재범]]에 대한 말도 했는데 "일단 참 마음이 아팠다. 내가 이런 말을 해도 될 지는 모르겠지만 한 젊은이의 실수를 안아줄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사람이면 실수도 할 수 있다. 기회를 주면 훨씬 더 크게 성장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그는 병역 사태와 관련, 8년 전 자신을 비난했던 여론에 대해 "그 정도로 크게 사회적 파장이 일어날 지 몰랐다. 시민권을 따고 나서 바로 한국에 들어와 7집 앨범을 내려고 했다. 왜 내 마음이 변했는지 충분히 설명하면 괜찮을 줄 알았는데 입국 금지를 당하게 됐다"며 당시의 상황을 해명했다. 또 "한국에서 다시 활동하고 싶다. 방송을 보기만 해도 내가 예전에 거기 있었기 때문에 가슴이 참 많이 뜨거워진다. 아직도 한국만 생각하면 눈물이 난다. 그런데 한국에 들어가서 다시 일을 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는 없다. 다만 국민 여러분께 용서 받고 싶다"고 용서를 구했다.|| 대병소장의 경우 중국 현지에선 1억 위안을 벌어들이며 흥행에 성공했는양 기사가 나오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다. 사실 1억 위안이 수치는 개봉 2주차에 1억 위안 돌파라는 이야기고...한국 돈으로 170억 원 정도 된다. 그 정도면 최종으로 약 2억 위안 정도는 될것으로 보이며, 한국 돈으로 350억 정도란 이야긴데...성룡이라는 이름으로 따지면 흥행이 그럭저럭인 셈이다. 게다가 해외가 실패라서 전반적으로 보면 상업적으로는 실패에 가깝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권의 흥행은 성룡 영화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의 [[http://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country=MY&id=_fLITTLEBIGSOLDIER01|참패]]를 기록했다. 이는 그야말로 성룡의 굴욕이라고 할 만한 결과였다. [[http://www.asiae.co.kr/news/view.htm?sec=ent2&idxno=2010031508595404527|관련 기사]] 이는 역대 한국 성룡 영화 관객 동원 기록을 봐도 알 수 있는데 성룡이 주연을 맡은 극장 개봉작 중 전국 관객 10만도 모으지 못한 영화는 이 대병소장이 처음이었다. 차이니즈 조디악이 다시 10만명 이상을 넘었으나 예전만 못한다. 게다가 성룡과 [[제이든 스미스]][* [[윌 스미스]]의 친아들이다.]가 주연으로 등장한 베스트 키드는 30만도 못 채웠다. 그렇다고 단순히 스티브 때문에 실패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데 [[http://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country=MY&id=_fLITTLEBIGSOLDIER01|대병소장의 해외 흥행]]을 보면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망했으며 [[http://www.boxofficemojo.com/movies/?page=intl&id=karatekid2010.htm|가라테 키드의 해외 흥행]] 또한 한국에서만 흥행을 못한게 아니라 스웨덴, 우크라이나, 폴란드, 터키등에서도 흥행 실패를 하였으며 중국은 평가가 좋지 않았고 '''박스오피스 집계 기록도 없다.''' 해외 국가들 중에서도 '''2천만달러 이상을 기록한 나라가 한곳도 없기 때문'''에 한국만 망하게 아니라 '''미국을 제외한 해외 흥행'''이 전부 망했다고 봐야 한다. 그러나 베스트 키드는 저예산 영화(제작비 4천만달러)라서 해외 흥행을 제외 하더라도 미국 흥행(1억 7천 8백만달러)이 크게 성공했기 때문에 현재 속편 제작을 하고 있다. 요악하자면 스티브 유가 '''한국에서의 흥행에 영향에 미쳤다'''고 할 수는 있겠지만, 한국 뿐만 아니라 스티브를 모르는 '''해외 국가'''에서도 흥행이 기대 이하였던 것으로 보아 단순히 스티브 때문에 실패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 [[취권]](1979): '''서울 89만'''([[국도극장]] '''1개관''') 이 흥행은 당시 역대 흥행 1위 격인 초대박 흥행이었다. 참고로 단관 상영관에 2001년 이전까진 서울 관객만 집계하는 체제였고, 지금의 멀티플렉스 극장으로 치면 1000만 관객 쯤 되는 엄청난 관객 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 저 기록을 서울 관객 90만으로 깨기 전까지 무려 22년이 걸렸으며, 지금은 [[하울의 움직이는 성]], [[너의 이름은.]] 등이 그 기록을 연이어 깨버리며 비영어권 외국 영화 흥행 4위를 기록하고 있다. 아니 그냥 더 갈 것도 없이 중화권 영화 중에 서울에서만 89만을 동원한 영화는 '''[date] 현재까지 하나도 없다.''' 한국영화 기준으로 봐도 14년 뒤인 1993년에 [[서편제(영화)|서편제]]가 서울 관객만 103만 명을 동원하며 초대박을 치기 전까지 약 14년 가까이 역대 흥행 1위를 오랫동안 유지했던 영화인 셈. 훗날 2004년에 개봉한 [[1978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 막바지에 20살이 된 현수와 햄버거가 극장 앞에서 햄버거가 취권을 안 봤다는 현수에게 '''"아직 [[취권]]도 안 보고 뭐했냐"'''며, [[이소룡]]빠인 현수를 도발하는 대사가 나오기도 했다. * [[용형호제]](1987): 서울 20만 지금 보아도 서울 관객 20만은 꽤 대박난 수준이다. * 홍번구(1995): 서울 30만 성룡의 [[할리우드]] 성공적 진출작. 이미 성룡은 80년대에 [[프로텍터]]를 비롯한 영화로 미국 진출을 시도했으나 흥행이나 평은 참혹했다. 버라이어티 지로부터 아시아에서 온 D급 배우라고 비아냥을 받았으나 11년 뒤 홍번구가 미국에서 3239만 달러 대박을 거둬들이며 버라이어티 지는 그 D급 배우가 이젠 A급으로 돌아왔다라고 호평했다. * 폴리스 스토리4(1996): 서울 35만 1996년 구정 연휴에 개봉했다. [[은행나무 침대]]와 함께 설 연휴 최강자로 군림할 거라는 예측이 대세였으나 [[은행나무 침대]]가 초장기상영을 하며 초대박을 치는 동안 이 쪽은 상당히 부진했다. 은행나무 침대가 대략 50만쯤 찍었다고 하니... * 턱시도(1998): 서울 33만 * 러시아워 2(2001): 전국 76만 * 턱시도(2002): 전국 170만 이 당시 흥행한 영화의 척도는 대개 100~150만 정도였다. * 신화: 진시황릉의 비밀(2005): 전국 47만 * 러시아워 3(2007): 전국 80만 * 포비든 킹덤(2008): 전국 100만 * 대병소장(2010): '''전국 9만''' * 베스트 키드(2010): 전국 29만 * 차이니즈 조디악(2013): 전국 31만 [[파일:external/www.imaeil.com/20130218_144936000.jpg]] 차이니스 조디악에 출연한 스티브 유. 이후 경한 2(硬漢2奉陪到底)에 악역으로 출연, 개봉 10일만에 6천만 관객을 기록했다고 기사가 떴으나 결국 오보로 판명났고 <중국영화보>에 의하면 약 40만 명의 관람객을 모았다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47&aid=0001979480&date=20110414&type=1&rankingSeq=2&rankingSectionId=106|#]][* 또한 경한 2에서는 스티브 유보다 [[칠협오의]]의 주인공인 초은준(焦恩俊), 유엽(劉燁), 장쯔린(張梓琳) 등이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 2012년에는 성룡의 용형호제 3편 격인 차이니즈 조디악에 [[권상우]]를 비롯한 다른 한국 배우들과 같이 나올 예정이라고 했지만... [[http://www.imdb.com/title/tt1424310/fullcredits?ref_=tt_ov_st_sm#cast|정작 출연자 명단]]에는 보이지 않았다. 이밖에도 맨 오브 타이치(2013)라는 [[키아누 리브스]]가 첫 감독을 맡은 영화에 출연했으나 해당 영화는 imdb 평점 6.1, 로튼토마토 관객점수 50%를 기록하는 등 평론가에게서나 관객에게서나 혹평을 받으며 흥행에서 참패했다. 사실 키아누야 워낙에 커리어 기복이 심한 편인데다 스티브 역시 주연도 아니고 출연진 목록 끄트머리에나 보일 정도의 단역으로 출연한 탓에 영화가 흥행했어도 커리어에 큰 이득은 되지 않았겠지만, 할리우드에 얼굴도장을 찍는 데에 실패한 셈이다. 스티브 유의 성룡 영화 두 편의 정확한 흥행 수치는 찾기 어려우나 차이니즈 조디악 같은 경우 최근 성룡 영화 중에서 가장 대박난 영화이지만, 대병소장은 외국 흥행은 망했고 중국 흥행에서도 그럭저럭이다. 차이니즈 조디악은 중국에서 8억 위안, 한국 돈으로 약 1400억원 내외의 극장매출을 올렸고, 역대 랭킹에서도 10위 안에 들어갈 정도로 대박이지만, 대병소장은 최종 약 2억 위안 내외의 흥행으로 나쁘지는 않으나 성룡을 생각한다면 그럭저럭이라 할 수 있다. 어쨌든 그가 성룡 영화 흥행의 큰 변수는 아니라고 할 수 있으나, 국내 흥행만으로 따지자면 성룡 영화가 나오면 의리로라도 극장에 들어가던 골수 남성팬들의 이탈을 가속화시킨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2015년 개봉한 성룡 영화 [[드래곤 블레이드]]는 아예 홍보물 전반에서 스티브를 전혀 언급하지 않고 꽁꽁 감추었다. 그는 비중있는 단역 정도로 짧게만 출연했으며, 이와 상관 없이 이 영화는 한국에서 흥행에 실패했다. 2018년에 재개봉했는데도 마찬가지. 2020년 2월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의 주인공 샹치를 뽑는 오디션에 참가하여 최종 후보군에까지 들었다가 결국 [[시무 리우]]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2020년 [[성룡]] 제작 드라마 '성화 14년'에 출연했는데, 작중 등장하는 의상들이 너무나 [[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한국 사극 복장과 비슷하여]] 논란이 되었다. 시기상 명나라 복식이 [[한푸#s-3.6|한복과 비슷할 때]]가 있긴 했지만, 이건 중국 내에서조차 조선 고려 스타일과 지나치게 흡사하다며 한드 따라하기냐는 지적이 나올 정도니 말 다 했다. 최근 중국 드라마 [[동궁(드라마)|동궁]], 드라마 [[태자비승직기]], 드라마 연운대(원작가 [[미월전]] 제작), 드라마 [[치아문단순적소미호]] 작가 혐한 논란 등 현대에도 문화적 침범 형식으로 [[동북공정]]이 진행되고 있다는 우려가 많다 보니 한국 내 여론은 더욱 싸늘하다. 안 그래도 논란이 많은 판에 이런 작품에 출연하면서 자신이 한국인이고 입국시켜 달라는 요구를 하는 모습이 뻔뻔하기 그지없다는 평. == 의외의 나비효과 == 스티브 유의 병역기피는 실로 어마무지하게 크고 오래가는 파장을 일으켰다. 스티브 유의 후견인이 된 [[성룡]]은 야심차게 [[보이그룹]] [[JJCC]]를 데뷔시켰고 성룡 본인의 이름을 걸었지만 이 '성룡의 이름'이 희한하게 '스티브 유의 이름'으로 전환되면서 JJCC 멤버들은 생판 스티브 유를 단 한 번도 만나본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성룡|스티브의 뒤를 봐주고 있는 사람]]이 데뷔시킨 보이그룹'이라는 이상한 악명 아닌 악명이 붙어버렸다. 그 바람에 대형 신인으로 데뷔한 것과는 대조되게 폭망했는데 [[JJCC]] 자체가 딱 [[소나무(아이돌)|소나무]]의 남자 버전이 되었다. 소나무 역시 성별만 여자일 뿐 JJCC와 모든 게 닮았다. 결국 [[JJCC]]는 모든 걸 포기하고, 산청 이외의 한국인 멤버 전원이 [[군대]]에 입대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티브 유, version=2915)] [[분류:스티브 유]][[분류:인물별/생애]]